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김유정의『동백꽃』의 갈등과 소통의 문제

        김은정 ( Eun Jeong Kim ),장도준 ( Do Joon Ja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16

        Kim Yu Jeong`s "Dongbaekggo" was analyzed for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love relationship between the boy and Jeomsun was analyzed. The boy who was from a poor family, and the girl, Jeomsun, who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er mouth, had problems with communication during her time of slumming; the problems were dealt with very humorously in "Dongbaekggo." "Dongbaekggo" structural and content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the difficult relationship between the boy and Jeomsun, have mainly focused on the class contradictions.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oblems and reconciliations, and the failures and successes which come with such a situation. The background is an old, rural village, and those who are involved in the unfolding of the romance between a boy and a girl help bring laughter during the time of the love tug-o-war, which makes everything feel more beautiful. In "Dongbaekggo," the extroverted, aggressive, and strong minded Jeomsun`s own love is represented through the potato and the cockfighting (both signifiers), and through those actions Jeomsun wants to reach the boy, who is a sharecropper`s son. Symbolically, Jeomsun is aggressive with the potato (signifier) and the warm feelings (the signified). However, the boy can`t quite grasp and misreads the true meaning of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Jeomsun aggressively pulls the boy`s attention through the chicken (signifier). Even though the chicken is a signifier of Jeomsun`s own opinions, to the boy, because of the value he puts on life, problems appear more quickly. The problems between the clever and active young girl and the simple and honest adolescent boy progress throughout "Dongbaekggo" to a more exciting climax. The communication between Jeomsun and the boy becomes more ironically fun in the story, and help maximize the fun as the accomplishment of the love approaches. In the end, "Dongbaekggo" the pure love between the boy and Jeomsun bring about many conflicts, which help achieve the fulfillment of the love as the resolution of the story progresses.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의 항균효과

        김진우,이동건,전혜선,김승준,김석찬,안중현,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신완식,송정섭,박성학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6

        목적 :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인 lidocaine과 내시경시 지혈목적으로 사용되는 thrombin과 epinephrine이 각종 균주에 미치는 항균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균주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2004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임상검체 에서 동정된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각각 42, 42, 42, 43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감수성 검사는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2002)의 기준에 따랐다. 결과 : Lidocaine은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에서 MIC_(50), MIC_(90) 모두 20,000 ㎍/mL 이었다. K. pneumoniae는 각각 10,000 ㎍/mL이었다. Thrombin은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MIC50 500 lU/mL 과 MIC_(90) 500 IU/mL 이상이었고, K.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이 모두 500 lU/mL이상이었으나 S.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은 125 IU/mL이었다. Epinephrine은 K. pneumoniae, S. pneumoniae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고,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쓰이는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등의 약제들이 호흡기 질환의 흔한 병원균인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균주들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세균배양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 Background : We performed this stody to find out about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which is commonly used local anesthetic, and thrombin and epinephrine used for hemostasis during bronchoscopic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microorganisms that were cultured from specimens obtained during bronchoscopy were Staphylococcus aureus (n=42), Streptococcus pneumoniae (n=42), Klebsiella pneumoniae (n=42), and Pseudomonas aeruginosa (n=43) collected from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to Sep 2004 were used for susceptibity testing. Susceptibility to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sult : MIC_(50) and MIC_(90) of lidocaine for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 were all 20,000 ㎍/mL and that for K. pneumoniae were 10,000 ㎍/mL. MIC_(50) and MIC_(90) of thrombin for both S. aureus and P. aeruginosa was 500 IU/mL and above 500 IU/mL, respectively; that for K. pneumoniae were all above 500 IU/mL and for S. pneumoniae they were 125 IU/mL, MIC_(50) and MIC_(90) of epinephrine for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were above 500 ㎍/mL; that for S. aureus and P. aeruginosa were 500 ㎍/mL. Conclusion : We observed possible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in vitro against pathogens such as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which are common respiratory microorganisms. The use of these agants could affect the result of bacterial culture.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초발 정신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체중 및 대사성 지표의 변화 : 후향적 연구

        김우진,심주철,공보금,강제욱,문정준,김정은,김민걸,박민경,김성진,김현정,정도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Objectives:This study was to identify weight & metabolic changes in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with antipsychotics use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weight & metabolic changes between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and controls with antipsychotics use. Method:In this retrospective study, twenty eight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and twenty eight controls with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or bipolar disorder defined by DSM-IV criteria were included.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gathered from the medical records. Also body weight, sBP, dBP,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and WBC count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s use. R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ssess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Results: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showed more weight and BMI changes than controls after antipsychotics use, and these changes continue over 12 month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Conclusion: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antispychotics is one of the major causes inducing weight gain of psychotic patients and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is more vulnerable to drug-naive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골격근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의 결함

        최준혁,이관우,김효정,이동훈,이종우,김정은,엄현채,김경미,최성이,정윤석,김현만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은 간, 지방, 근육 같은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제2형 당뇨병의 발생기전에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 저하가 같이 관여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인슐린의 세포내에서의 저항성을 규명하기 위한 인슐린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골격근육에서 IRS와 관련된 PI3-kinase의 활성감소와 Akt kinase의 활성감소를 보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그 기작이 설명되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검사 및 인슐린 클램프검사를 시행하고 인슐린 클램프 검사시 대상인의 근육을 채취하여 인슐린 신호전달 체계(IR-β, IRS, Akt(PKB, Rac) kinase, GSK-3)를 연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한국인으로서 경구당부하검사상 정상인 및 당뇨병 환자 각각 11명,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인은 건강인으로 과거력상 당대사에 영향을 줄 질환이 없고, 현재 당대사에 영향을 줄 약물 복용 및 다른 소견이 없는 경구당부하검사상 정성 내당능을 보이는 대상자로 하였다. 당뇨병환자는 모두 제2형 당뇨병 환자로 이환기간이 만 5년 이내인 경우로 하고, 인슐린으로 치료하는 대상자는 제외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공복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HbA1c, 인슐린, C-peptide를 측정하였고, "HOMA model"을 이용하여 베타세포의 기능와 인슐린저항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정상혈당클램프 검사(euh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를 시행하고 인슐린 투입 전과 인슐린 투입 30분후, 두차례에 걸쳐 대퇴부 근육생검을 실시한후 western 법으로 IR-β, IRS, Akt kinase, GSK-3의 인산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인 11명과 당뇨병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평균 연령, 평균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허리/엉덩이 둘레의 비(waist hip ratio; WHR)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 공복혈당은 정상군 98.0±0.3㎎/dL, 당뇨병군 208.1±16.5㎎/dL(p<0.05), HbA1c는 정상군 5.4±0.5%, 당뇨병군 9.2±0.6%(p<0.05)였다. "HOMA model"을 이용한 베타세포의 기능과 인슐린저항성은 정상군 56.4±8.5%, 1.4±0.2, 당뇨병군 72.2±52.3%(p<0.01), 10.2±6.3(p<0.01)였으며 정상혈당클램프 검사상 포도당 이용률은 정상군 8.2±0.6㎎/㎏/min, 당뇨병군 3.7±1.1㎎/㎏/min(p<0.01)로 정상군과 당뇨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Western blot법으로 IR-β, IRS, Akt kinase, GSK-3의 인산화량을 인슐린 투입전과 인슐린 투입 30분후 측정하였을 때 IR-β에서는 정상군이 103.9±2.3에서 241.3±18.6, 당뇨군이 108.9±2.2에서 198.7±6.3으로 증가하였다(p=NS). 이는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RS에서는 정상군이 111.6±7.3에서 295.6±17.2, 당뇨군이 114.5±6.1에서 222.0±23.2로 증가하였으며(p<0.05),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24% 감소하였다. Akt kinase에서는 103.4±6.0에서 416.8±29.5로 증가하였으며(p<0.01),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43% 감소하였다. GSK-3에서는 정상군이 107.7±6.7에서 595.7±28.1, 당뇨군이 104.3±4.8에서 443.3±12.9로 증가하였으며(p<0.01),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25% 감소하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인과 비교하여 인슐린 자극후 IR-β는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RS, Akt kinase, GSK-3에서는 인산화량의 증가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 인슐린 신호전단체계부터 결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glucose uptake rate is the limiting step in glucose utilization and storage. The failure of insulin to stimulate glucose uptake in muscle appears to be a primary defect of insulin resistanc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ological hyperinsulinemia on the phosphorylation of the insulin receptor (IR-β),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Akt kinase and GSK-3 in isolated skeletal muscl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n=9) and control subjects(n=11). Methods: 75g OGTT and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 were don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was obtained before and 30 min into the euglycemic clamp. Western blots were performed for tyrosine phosphro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and phosphorylation of the insulin receptor(IR-β), Akt and GSK-3.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n age, BMI and body fat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diabetic patients. The fasting blood sugar and HbA_1c in controls and diabetic patients were 98.0±0.3 and 208.1±16.5ng/dl, and 5.4±0.5 and 9.2±0.6%, and 1.4±0.2 in the control subjects, and 72.2±52.3%(p<0.01) and 10.2±6.3(p<0.01) in the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 The insulin resistance from the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 were 8.2±0.6㎎/㎏/min and 3.7±1.1ng/㎏/min in the control subjects and in the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p<0.01).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insulin-stimulated IR phosphorylation was no different to that in the diabetic patients. However, insulin-stimulated IRS phosphorylation, insulin-stimulated Akt phosphorylation and insulin-stimulated GSK-3 phosphorylation were reduced in the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by 24, 43 and 25%, respectively(p<0.05). Conclusion: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insulin resistance may be due to the impairment of the upstream insulin signal molecular network. Further studies will focus on determining whether these signaling defects are the 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or secondary to the altered metabolic state,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 Soc Endocrinol 17:685∼697, 2002).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

        남기덕,김영설,박철영,오승준,김덕윤,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성호르몬과 상호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연령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등은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산인과 비교해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를 측정하고 연령에 따른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 환자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중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면역방사계측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Diagnostic System Laoratories, Wbster, TX, USA). 결과:1)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104.1±35.0 vs 25.7±3.5 mole×10??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p<0.001),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13.7±9.5 vs 13.6±6.5 ng/dL로 차이가 없었다. 2)연령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40로 중등고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01),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0.11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08,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0.17로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와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차이가 없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증가 폭이 의미있게 컸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변화가 없었다.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sulin lowers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there i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in women. However, in m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re avail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sex hormone on age and insul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ree testosterone,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ge in type 2 diabetic men and control subjects. Method: Age, body mass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on 89 type 2 diabetic men and 47 control subjects. The free testo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 (Radioimmunoassay). The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also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1)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ree testosterone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4, p <0.00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ree testosterone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in control sujects. 3) Fre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We observed increase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 in diabetes man, and was a positively related to 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insulin resistanc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J Kor Diabetes Asso 24:699~707,2000).

      • 독성물질의 세포사 기전 및 세포사 유발물질의 검색법 개발에 관한 연구(Ⅰ) : 독성물질로 인한 파킨슨병 모델에서의 세포사 기전 연구 Study on the cell-death mechanisms of toxin-induced parkinsonism

        강태석,김종민,서경원,김영옥,김준규,오재호,이윤동,김규봉,오정자,송연정,임종준,전범석,문전옥,최광식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MPTP 독성물질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산화성 손상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일으키는 것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의 동물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서 아폼토시스를 비롯한 포사의 기전에 대한 연구 및 너코틴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여부를 판정하는 실험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파킨슨꾐의 동물모델을 MPTf 독성 물질을 이용하여 확립하였으며, MPTP(30mgag, i.p.)를 투여한 후 1, 2,3, 4, 5일째 흑질 조직을 채춰하여 tarm로 박걸하여 tyrosine hydroxylase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여 cell countif우한 결과, control은 57.635ce11s, 1일째 친.OfDells,2일째 57.9±6cells,3일릴 없.3±죠ells, 4일째 49.0츠3cells, 5일째 39.4±Scells료 4, 3일째 뚜렷한 신경세포 수의 감소를 보였다. 신경세포사 기전 규명을 위한 아폼토시스 분걱에서는 벼PTP 투여 후 1, 2, 3, 4, 5일째 조직을 채취하여 Hoechst staining, TUNEL staining을 수곡하였는데 양성 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는 관찰되지 않아. 아폼토시스로 인한 세포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bIPTP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nicotine 보호효과 탐색에 관한 실험은 nicat푸e 0.2mgAg을 5일 퐁안 투여 후 리『fP(30mgag)를 CS7Bt/6 마은스에 복강 내주사로 nicotine과 병용 투여한 후 1, 2, 3, 4, 5일째 뇌를 적출하땄다. 신경세포사가 뚜렷이 관찰되기 시작하는 4, 5일째의 신경세포 수의 감소 정도를 20. 30% 정도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nicotine 보호효과에 대한 추가 실헝이 현재 수행 중에 있다. The cause of Parkinson's disease (PD) is largely unknown. However, free radical toxicit? may plaf a role ip. the degeneration of substantia nigra, which is the Hajorfocus of pathological damages in PD. Recently, a neuroprotective effect of nicotine in PD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the mechanism of neurodegenerafion and protective potential o( nicotine in PD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modeB of Pll using a neurotoxin, C57BL/6mice were administered with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30 mg/kg,j.p.). The degree of neurodegeneraf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HB oftyrosine hydroxylase (TH). TH-positive cells on nigral sections were found 56.0 ±4, 57.9 ±6,52.315ce11s, 49.0±3cells, and 39,4±Scells at days 1, 2, 3, 4, 5, respectively (controls : 57.6±Scells). Hoechst and TUNEL staining showed no evidence of apoptosis. The exandnation on themice co-adrunistered with nicotine(0.2mgAg) and MPTP(30mgag) revealed a tendency ofnicotine protective effects. At days 4 and 5, the degree of TH-positive cells was decreased by20-30%, In corclusiffn, the role of apoptosis was not evidenced in this MPTP modeB of PB.The possible proteccon by nicotine should be elucidated with further studi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