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기부적응도식과 도박 심각도의 관계에서 금전 동기의 매개효과
김영훈,김영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Severity(G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EMS), which is the principal concept in Young's schema-focused therapy (1990). It also examined the role played by Monetary Motive(MM), a factor known to massively influence Severity of Gambling (Lee, Hongpyo, 2002). A survey was conducted on 181 persons who were banned from entering casinos for three months due to their excessive gambling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EMS, MM and the GS. The result showed that 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S, and the MM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S.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MM between EMS and GS, revealed that the MM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S and GS. 본 연구에서는 Young(1990)의 도식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이론의 주요 개념인 초기부적응도식과 도박의 심각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박 심각도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금전 동기(이흥표, 2002)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과도한 도박 행위로 인해 3개월간 카지노 출입이 제한된 18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초기부적응도식, 금전 동기, 도박 심각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은 도박 심각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금전 동기와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금전 동기는 도박 심각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초기부적응도식이 도박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금전 동기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한 결과, 금전 동기는 초기부적응도식과 도박 심각도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몇 가지 제한점을 덧붙였다.
무도대학의 발전방향 탐색을 위한 비대면 체육교육 수업의 개선방안 및 평가항목 도출
김영훈 대한무도학회 2023 대한무도학회지 Vol.24 No.4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the non-contact education class that has spread around the world due to COVID-19,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and evaluation item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studies in which user opin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As a result, 20 items related to lecture material production, class content, class operation, mutual communication, academic schedule and evaluation, lecture ability, ICT application ability, university measures and learning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o systematize online physical classes at Martial Arts University, it needs to construct qualitative content by instructors, to restore trust through systematic guidance and regular class operation, to create an infrastructure for learning environment, and to develop operating guidelines.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전세계에 확산된 비대면 교육수업 방식에 대한 문제 파악 및 개선방안과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적 통계 방법으로 사용자의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의자료 제작, 수업내용과 운영, 상호소통, 학사일정/평가, 강의/ICT 활용능력, 대학조치 및 학습환경과 관련된 20개의 항목을 파악하였다. 향후 무도대학의 온라인 체육수업의 체계화를 위해 교수자의 질적 내용 구성, 수업 방식의 체계적 안내와 규칙적인 운영을 통한 신뢰 회복, 학습환경의 인프라 조성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