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면무호흡증 예측을 위한 선별검사 개발

        이성훈,이희상,이정권,김경수,Lee, Sung-Hoon,Lee, Hee-Sang,Lee, Jeung-Gweon,Kim, Kyung-Soo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연구목적 :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한데,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를 검사의뢰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와 치료가 필요한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코골기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수면 다원검사가 의뢰된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밤 동안 1회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은 18개의 문항으로 된 설문지로 평가하였고, 우울증은 Zung's 척도, 졸리움증은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불면증은 이성훈 등(14)이 개발한 불면증척도 등을 이용하였다. 그외 혈압, 키, 체중, 목둘레 등을 측정하였고, 코골기의 가족력, 얼마나 오랫동안 코골기가 있었는지, 술, 담배를 어느 정도 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digit symbol test, trail making B test 등의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 변수들과 호흡장애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SPSS-PC 의 Pearson's correlation 으로 조사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들을 가지고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호흡장애지수에 대한 이 변수들의 판별계 수를 구하고, 그것으로 판별식을 만들었다. 또한 판별분석상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들에 대해 각각 기준점을 정하고, 호흡장애지수 20을 기준으로 하여 선별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판별분석결과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6가지 변수 즉, 목둘레, 수면전 수축기혈압, 음주정도, 자다가 숨을 멈추는 정도, 잠잘 때 입안이 마르는 정도, 수면무호흡 설문지 점수를 가지고 판별식을 만들어 보았을 때,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92.8%의 민감도로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 이상, 잦은 음주, 수면중 잦은 숨멈춤, 수면중 잦은 구갈증, 코골기 및 수면무호흡증 설문지 총점수 35점 이상 중 3개 이상 해당시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87.6%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이상, 잦은 음주, 체중 80kg이상 중 2가지 이상 해당 시 호흡장애지수 20 이상인 환자를 83.5%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결론 :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설문지조사와 이학적검사를 이용한 위의 방법으로 호흡장애 지수 20이상인 환자를 높은 민감도로 구별해 낼 수 있었다. Objective : Patients with sleep apnea should be diagnosed with polysomnography(PSG).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ommend PSG for all patients suspected with sleep apnea in practice. Therefore, we tried to develop the screening test for referral of PSG. Method : 140 patients with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were studied by the PSG. Sleep apnea questionnaire. Zung's scale for depression.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insomnia scale and neuropsychological test were administered. Also, blood pressure, height, weight and neck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nd some histories were taken. Correlations betwe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and various parameters mentioned above and discriminant coefficients of the parameters to RDI were computed. And, we investigated sensitivities of screening tests for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Results : Usi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before sleep, degree of alcohol drinking, frequency of breath-holding during sleep, degree of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in 92.8% sensitivity. In case of more than two amo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frequent breath-holding during sleep, frequent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of above 35), same pati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87.6% sensitivity. And, in case of more than one among four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body weight of above 80kg), discrimination sensitivity was 83.5%. Conclusions :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by above parameters with high sensitivity. Therefore, the screening test using above parameters can be applied in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sleep apnea for PSG in practice.

      • KCI등재

        글로벌 위기인식전이의 존재와 방향성에 대한 연구

        이성훈,이정진,이재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국제경영리뷰 Vol.19 No.4

        본 연구는 시장상황을 정상국면과 위기국면의 마코브 연쇄로 가정하고 투자자들이 현 시장의 상태를 위기상황으로 인지하는 위기인식의 정도를 지수화한 ‘위기인식지수’를 이용하여 글로벌 위기인식전이의 존재와 그 방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는 세계 금융시장이 글로벌화 되어감에 따라한 시장에서 나타난 투자자들의 위기인식은 다른 지역시장의 투자자들에게 전 파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글로벌 주식시장을 금융시스템의 발달 정도에 따라 나눈 MSCI 지역지수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위기인식지수를 산출 한 후 이를 토대로 Granger 인과관계분석 을 시행하여 투자자 위기심리 전이의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기간에서는 선진시장과 신흥시장간 위기전이가 상호의존 관계를 보였으나 최근 10여년에서는 신흥시장, 개발도상국시장으로부터 선진시장으로 위기가 전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MSCI 국가지수를 이용하여 국가별 위기인식지수를 산출하고 위기인식전이를 분석한 결과 수익률정보와는 다른 보편적으로 타당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We study global contagion confined as the spreads of bearish investor sentiment(BIS) across regions and also between countries. Classifying the global equity markets into three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 systems which follows MSCI classification, we investigate the role of BIS as an alternative channel for contagion and reveal the direction of bearish investor sentiment using Granger causal relationships. The key findings are first, that the investor’s perception of crisis spreads from the developed to emerging markets during the pre sub-period (from 1988 to 2002), but the direction is reversed in the posterior to June 2002. However, the result coincidently shows that post sub-period has more to do with the global fund flows. According to World Bank’s foreign direct investment data for this period, it indicates that fund flows into the emerging and frontier market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the developed markets have acted as a precursor to a crisis before investors flocked to the emerging and the frontier markets, but this tide has been reversed in the recent periods where the emerging and the frontier market have become epicenters of crisis. On the other hand, the contagious pattern is not detected significantly in terms of volatility, and interconnectedness is detected in return. Also these tests are conducted in country level and the results show consistency in validity. These results allude that psychological contagion of investor sentiment has a different feature from that of return.

      • KCI등재

        조선 후기 생사당(生祠堂) 건립과 생사당 봉안용 초상화의 제작: 평양(平壤) 지역을 중심으로

        이성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0

        In portraits, the literati were represented in their formal attires in the late Joseon period. Among those, portraits of local magistrates were of great interest. They were enshrined in the shrines for living persons (saengsa 生祠) which were mostly established by the local people including low-level officers in provincial administration (hyangni 鄕吏) or local yangban family (hyangban 鄕班). The local people wanted to commemorate the magistrate’s remarkable achievements by building the shrine. Meanwhile, the local magistrate responded actively to the shrine-building project by the local people in the hope of making his name and image widely known to others and being remembered as a loyal subject or a generous, competent public official to future generations. The shrines for living persons were the most popular in Pyongyang, where the locals built the shrine for Lee Wonik (李元翼, 1547-1634) to commemorate his perfection as a governor in 1595. Shrines had been continuously established in the city for a number of its governors or specially dispatched officials, and their portraits had been painted and enshrined there for about 130 years (1595-1730). .

      • KCI등재후보

        벨라르민 대(對) 투레틴: 칼빈의 섭리론에 대한 논쟁

        이성훈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Robert Bellarmine criticizes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Calvin’s two propositions: that God is the first cause of all things, and that God is not responsible for the second causes’ committing sin. Bellarmine blames that Calvin renders God as the author of sin because he cannot renounce that God is the first cause. Bellarmine’s accusation is mainly based on his reading of Calvin’s passages out of their context without paying enough attention to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concepts that Calvin employs. Against Bellarmine’s criticism, Francis Turretin points out Bellarmine’s fault for decontextualizing and misconstruing Calvin’s explanation about God’s permission. Clarifying the meanings of Calvin’s concepts within their context, Turretin provides two arguments for Calvin’s doctrine of providence. First, by distinguishing various modes of the divine will’s engaging in human beings’ comminting sin, Turretin proves that Calvin’s doctrine does not make God the author of sin. Second, by redefining God’s permission as a physical permission, he explains that God, while not willing sin itself, does not hinder the occurrence of sin by second causes. In this way, Turretin shows that Calvin’s doctrine of providence does not render God as the author of sin. 로버트 벨라르민(Robert Bellarmine)은 섭리에 관한 칼빈의 두 가지 주장, 즉 하나님이 모든 일에 대해 제일 원인이시라는 주장과 제이 원인의 범죄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는 주장은 서로 모순이라고 지적한다. 벨라르민이 이해한 칼빈의 체계에서는 하나님이 제일 원인임을 부정할 수는 없으므로, 결국 칼빈은 하나님을 죄의 조성자로 만든다고 비난한다. 그런데 칼빈에 대한 벨라르민의 비판은 주로 칼빈이 전통적 개념을 사용한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아는 대로 해석한 데서 비롯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프란시스 투레틴(Francis Turretin)은 문맥을 벗어난 벨라르민의 해석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칼빈이 사용하는 개념들의 문맥적 의미를 분명히 밝혀 그 섭리론을 두 가지로 변호한다. 첫째로 투레틴은 인간의 범죄에 하나님이 의지를 행사하는 방식을 세분하여 칼빈의 섭리론이 하나님을 죄의 조성자로 만들지 않음을 논증한다. 둘째로 투레틴은 범죄의 허용이 윤리적 허용이 아닌 물리적 허용이라고 재규정하여, 하나님이 죄 자체를 원하시지 않지만 제이 원인이 죄를 저지르는 행위를 막지 않으신다고 설명한다. 이와 같이 투레틴은 인간의 범죄에 관한 칼빈의 섭리론에 대한 벨라르민의 비판에 맞서, 칼빈의 설명을 그 맥락 안에서 보다 체계적인 개념의 구분을 통해 상술하여, 칼빈의 섭리론이 하나님을 죄의 조성자로 만들지 않음을 밝힌다.

      • KCI등재

        任希壽의 ≪七分傳神帖≫ 연구 −小北 南黨系 인사들의 재현과 그 의미−

        이성훈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5

        Album of Portrait Sketches,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portrait album made with portrait sketches drawn by Im Hui-su(1733∼1750) in 1749∼1750. His father, Im Wi(1701∼1762), composed some inscriptions about the sitters of the portraits and wrote down them on some leaves of the album at some point in 1754∼1760. The album is composed of 19 portraits and 17 portraits of them, excluding two such as Portrait of Kang Se-Hwang and Portrait of unknown man, are considered to be the works by Lim Hui-su. The portraits of the album have been known as paintings of prominent figures of the time who visited his house during the period of mourning. This makes it appear that his selection of the sitters and his painting them were made by chance. However, they were all Nam Party(Namdang) members of the Small North(Sobuk), and his relatives, teachers or seniors who all came from the same political and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he produced their portraits at ordinary time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se portraits need to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practice that the literati requested painters to represent their own teachers in portraits and people of the same class or party made their portraits toget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album there are five portraits of Im Wi, which show his face and costumes slightly differently. This proves that Im Wi wanted to get portraits that accurately captured his features with the help of his son, who had excellent painting skills. By the 18th century, the literati wanted to have their own portraits painted in perfect likeness of themselves, that’s why they believed that those portraits could represent their own soul, personality, character, virtues, or self-consciousness. Im Wi also tried to visualize in these 5 portraits his own personality, character and self-consciousness.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七分傳神帖≫은 任希壽(1733∼1750)가 1749∼1750년에 그린 초상화 草本들로 꾸며진 초상화첩이다. 임희수의 부친 任瑋(1701∼1762)는 1754∼1760년의 어느 시점에 아들이 남긴 초상화들을 화첩으로 장황하고 부기를 작성해 그 화첩에 직접 썼다. 이 화첩에 수록된 초상화들은 총 19점이며 이 중 화첩 마지막에 실린 <강세황 초상> 및 대상 불명의 초상화 등 2점을 제외한 17점의 초상화가 임희수의 것으로 파악된다. ≪칠분전신첩≫ 수록 초상화들은 張志淵(1864∼1921)의 진휘속고(震彙續攷)에 실린 임희수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그가 喪中인 자신의 집을 방문한 당대의 명사들을 사생한 그림들로 알려졌다. 이 기록은 그의 초상화 제작과 그 대상 인물의 선정이 우연히 이루어졌던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이 초상화의 주인공들은 모두 임위와 사승‧혈연 관계로 얽힌 소북 남당 소속 인사들이었으며, 임희수는 이들의 초상화들을 평시에 제작했다. 이 사실은 임희수가 자발적으로 이 인사들을 그린 것이 아닌, 부친 임위의 적극적인 주문 혹은 권유를 받아 그들의 초상화를 제작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화첩 초상화들의 제작은 조선 후기에 특정 붕당‧학파의 인사들이 자신들이 추앙하는 선사의 초상화를 제작했던 관행 및 동류의 인물들이 함께 초상화를 남겼던 관행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칠분전신첩≫에는 그 얼굴 모습과 복식이 조금씩 다르게 표현된 임위의 초상화가 5점이나 실려 있다. 이는 임위가 임희수의 화재를 빌려 자신의 모습이 정확히 포착된 초상화를 남기고 싶어 했음을 입증한다. 또한 조선시대에 사대부들이 초상화를 제작한 목적이 대상 인물의 모습을 정확히 재현해 후대에 그의 모습을 남기는 데 있었던 점도 보여준다. 사대부들이 이처럼 자신들이 완벽히 재현된 초상화를 얻고자 했던 것은 초상화에 한 인물의 학문적 성취나 고매한 정신이 고스란히 반영되고 담겨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즉 그들은 自誌類의 글처럼 초상화에도 어떤 기질이나 성격 그리고 신념이나 소신 등 그의 정신적인 면모가 반영될 수 있으며 후대의 사람들이 이를 알아차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임위는 그 초상화들을 이 화첩에 수록한 뒤에 자찬문 성격의 부기를 남겨 자신의 내면 의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과거 급제 후 줄곧 관로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찬문 성격의 부기에서 은거와 출세의 삶 사이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는가 하면 훌륭한 문사 그리고 강직한 관리로서 평가되고 후대에 기억되기를 바랐다. ≪칠분전신첩≫은 18세에 요절한 한 젊은 문인 화가의 畵才를 입증하는 작품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오히려 이 화상첩은 조선 후기에 사대부들이 초상화를 제작한 실질적인 목적과 초상화란 매체를 활용한 방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