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골반 골절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동원,서정열,안무업,이재성,이태헌,김남호,조준휘,문중범,박찬우 대한노인병학회 201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4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aspects of pelvic fractures in an aged group with a non- aged group and to delineate its characteristics to improve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s: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of 100 cases were reviewed. Two groups were created, older than 65 years and younger than 65 years. In addition, the following were carefully examined and recorded-gender distribu- tion, cause and types of fractures, associated injuries, Injury Severity Score(ISS), Glasgow Coma Scale, need for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rate. Results: A difference in gender distribution was seen with 12 males and 26 females in the aged group and 35 males and 27 females in the non-aged group(p<0.05). The mechanism of injury for the aged group in decreasing order was pedst- rian accidents, falls, and passenger accidents while it was passenger accidents, pedestrian accidents, and falls for the non-aged group(p<0.05). Level of severity was higher in the non-aged group for fracture type, ISS, Glasgow Coma Scale,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hospitalization duration. However, when ISS was greater than 15, this was seen in the aged group with also a higher mortality rate in the same group. Conclusion: Education and prevention, particularly about gender distribution and mechanism of injury, of pelvic fractures in the aged population are needed, and because of the potential seriousness of fractures in the elderly, active assessment and treatment are also necessary. 연구배경: 골반 골절은 다른 외상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사망률이 높다. 이 연구 목적은 노인 인구에서의 골반 골절의임상 양상을 비 노인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고 예방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방법: 저자들은 2007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응급센터에 골반 골절로 내원한 100예에 대해 의무 기록, 방사선학적검사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과65세 미만의 비 노인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연령에 따른성별분포, 손상 원인, 골절 유형, 동반 손상,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 중환자실 입원 여부, 입원 기간,사망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성별 분포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남성 12명,여성 26명, 65세 미만의 비 노인군에서는 남성 35명, 여성27명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손상 원인으로는 65세이상에서는 보행자 사고, 추락, 탑승자 사고 순이었으며,65세 미만에서는 탑승자 사고, 보행자 사고, 추락 순이었다(p<0.05). 동반 손상은 65세 이상에서는 두경부가 16예로가장 많았으며, 65세 미만에서는 사지가 37예로 가장 많았다.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에서 비 노인군이더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환자실 입원도 비노인군에서 더 많았다. 그리고 입원 기간 역시 비 노인군에서더 길었다. 하지만 ISS 15점 이상에서는 노인 군에서 ISS 점수가더 높았으며, 사망률 또한 노인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성별 및 손상의 원인에 차이를 생각할 때 노인군에대한 교육 및 예방이 필요하며, 중증도가 높기 때문에 고령의골반 골절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 및 처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김선욱,정희원,박미란,정재용,이근욱,김지현,이종석,김광일,김철호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Background: Clinical trials are widely used to approve the efficacy and discover adverse reactions of new drugs. However, there has been much concern about the unjustified exclusion of the older adults in clinical t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geism in clinical trials and to find solution to any discovered discrimination. Method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650 experts including doctors, pharmaceutical staff, and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members. An offline inquiry was conducted by 250 experienced professors from a single tertiary hospital and other allied professions. The questions covered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participation, possible reasons for under-representation, and plans for its solution. Results: Among 1,900 subjects, 246 (12.9%) individuals completed the survey. We excluded the six subjects who did not answer more than 10 questions, and analyzed the remaining 240 respondents. They agreed that there are tendencies to exclude the aged from clinical trials (69.2%), and that under-representation would cause difficulties for doctors and geriatric patients. Most people (84.6%) thought that treating older adults with the results from trials which exclude aged participants is inappropriate. Because respondents had difficulties explaining the trial process and obtaining informed consent, they thought establishing a geriatric clinical trial team would be highly effective. Experts also believed that financial inducements and legal regulations are required to increase elderly enrollment. Conclusion: Because the elderly have a unique physiology,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clinical research is indispensable for verifying efficacy and determining potential adverse reactions. Consequently,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participation of older subjects, and the authorities must begin to care about age discrimination in research fields. 연구배경: 새로운 약품이 개발될 때 그 효과나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하게 되는데, 결과를 돋보이게 하거나 연구 진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를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노인임상시험 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방법: 의사, 제약 업계 종사자, 임상시험 수탁기관 종사자등 전문가 1,650여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노인 관련 임상시험 경험이 많은 일개 종합병원의내과, 신경과, 정신과 교수 250명을 상대로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246명 중 20% 이상의 문항에 무응답한 6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69.2%가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응답하였고, 다른 직종들(64.1%)에 비해 임상의사(83.8%) 가 더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했다(p=0.003). 상당수의 응답자들은 노인의 저조한 임상시험 참여율이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86.1%), 노인들에게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78.3%) 대답하였고, 성인을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를 추론하여 곧바로 노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데 84.6%가 공감하였다. 전문가들은 노인 피험자 모집에 있어 ‘임상시험을 설명하거나, 동의를 받기 어려운점’ 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피험자 중 일정 비율을 노인으로할당하는 방법’과 ‘노인 피험자 모집에 경제적인 동기를 제공’, ‘노인 전담 연구 인력 충원’, 그리고 ‘임상시험 추적 관찰 시 교통편의나 유연한 일정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었다. 결론: 노인은 약물의 작용 및 대사 과정이 젊은 성인과는다르며, 동반 질환이 많고 다약제 사용이 흔하므로, 성인만을대상으로 얻어진 임상시험 결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임상적용에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노인의임상시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연구자는 노인 친화적인 연구 설계 및 진행에 힘쓸 필요가 있다. 감독 당국이나임상시험 윤리위원회는 피험자 선정 과정에서 노인을 부당하게 차별하지 않는지 살펴야 하며, 제약업계 또한 노인에 대한효능 및 부작용 검증이 신약 개발에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 노인의료팀에 의뢰된 정형외과 노인 입원 환자의 포괄적 노인평가

        김고은,김선영,원장원,최현림,김병성,조윤제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4

        Background: With a rapidly aging population, more elderly patients are being hospitalized than before. Thus,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medium is needed to carefully evaluate geriatric patients. The author’s university hospital has a geriatric medicine team to where patients are referr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s. Their services will be introduced here. Methods: From December 2010 to January 2012, the team performe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s comprising of a thorough review of systems, physical examination, and surveys, and reviewed past medical records of the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aged 65 or over, referr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pedics. Results: Of total 58 patients, 4 patients (6.9%) had severe dysfunction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the score of 16 or higher. Twenty-two patients (73.3%) ha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upon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after excluding those previously diagnosed with dementia or those within 5 days after surgery, thus predisposed to delirium who had teste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level test. Fifteen patients (31.3%) had milddepression, while four (8.3%) had moderate depression; and 37 patients (67.3%) were at moderate risk and five (9.1%) were at high risk for developing delirium. Conclusion: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status of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was helpful in detecting medical problems other than the initial diagnosi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elderly patients we assessed were suspected to have cognitive impairment.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입원 환자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건강상태를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포괄적 노인 평가가 필요하다. 저자가 소속된 대학병원에서는 노인의료팀을 구성하여 의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괄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이러한활동 내용 및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개 의과대학 부속병원 가정의학과에 노인 평가 의뢰된 입원 환자 중 65세이상의 정형외과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의료팀에서 문진및 신체검사와 설문조사가 포함된 노인 포괄 평가를 시행하고대상자들에 대한 기존의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58명의 환자 중 입원 전 일상생활기능(K-ADL) 16 점 이상의 중증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던 환자는 총 4명(6.9 %)이었고,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한 55명 중 치매의 과거력이있거나 섬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수술일로부터 5일 이내인환자를 제외하고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는총 22명(73.3%)이었다. 우울증 선별검사에서 경증 우울 상태가 의심되는 환자는 15명(31.3%), 중증 우울 상태가 의심되는환자는 4명(8.3%)으로 나타났다. 섬망 위험도는 37명(67.3%) 이 중등도 위험군, 5명(9.1%)이 고위험군이었다. 결론: 입원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괄적 노인 평가를 시행하여 기존의 질환 외의 새로운 의학적 문제점들을 발견할수 있었고, 특히 인지기능 장애가 의심되는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임지연,이호준,권범선 대한노인병학회 2012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3

        Background: Along with the recent greater number of medical devices for the elderly in the market, there has been a parallel increase in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for these devices. It is uncertain, though, whether the target population has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se clinical trials and the possible adverse events of the devices. Methods: A total of 147 elderly subjects (mean age, 65.8±8.3 years; 39 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 pilot study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2009 with the actual survey taking place from June to November 2011. The questionnaire included 22 items-10 items o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trial; 4 items on the understanding of adverse events; and 8 items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responders, 62.5% had participated in at least one clinical trial and had heard about the clinical trials through a doctor, newspaper, or television. And 63.3% of the responder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the trial was to show efficacy and safety for the medical de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wareness of the trial by gender and life leve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se events awareness. Conclusion: Although elderly subjects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it seems they do not receive enough information when involved in clinical trials of medical devices. In the future, before these trials are carried out, medical device companies need to ensure that they provide their elderly subjects with better education and information. 연구 배경: 최근 국내에서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 및 고령화사회로 노인 대상 의료기기 임상 시험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는 연구는있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노인들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와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4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기임상 시험과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를위한 설문지 작성을 위하여 2009년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고그 내용을 기반으로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는 여러차례에 걸쳐 의료기기 임상 시험 센터 및 부작용 보고 자문위원단으로 구성된 전문가들로부터 검토를 받았다. 이 설문지를이용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2010년6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의료기기임상 시험의 인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경험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 시험용어 들은 경로’,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목적’에 따라 유의하게차이가 나타났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대상’에 대한 질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목적’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력 수준에 따른차이는 없었다. 생활 수준에 따라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용어를 들은 경로’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고, 종교에 따른 차이는없었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인지 여부와 의료기기 부작용 인지 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조사되어 지속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약품의 경우에 비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인지도가낮은 것은 임상 시험의 규모가 작으므로 예상된 결과이지만,의료기기 산업이 부가가치가 높고 친고령 의료기기 산업의발전 양상을 고려하면 노인군을 대상으로 한 의료기기 임상시험 인지도 제고가 시급하다.

      •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및 사회적 요인

        전경숙,조숙희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Background: Frailty, a multidimensional geriatric syndrome, confers a high risk of falls, disability,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railty in older people dwelling in rural communities are unknown. Methods: We examined frailty, as defined by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and social correlates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n=419) aged 65 or older. Results: The prevalence of frailty and prefrailty was 11.5% and 38.7%, respectively. Among eight frailty criteria, the prevalence of multiple medications was highest (57.3%), while self-rated health as “unhealthy” was the second highest (45.1%). In contrast, the prevalence of exhaustion was the lowest (10%) among the eight frailty criteria. The prevalence of frailty was 12.6% among women and 6.3% among men (p=0.02). Uneducated older adul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frailty (13.1%) than any other educational groups (6.3-9.2%). In addition, older adults with high social support showed lower frailty than the other groups. After adjustment for other factors; however, a lack of social support (odds ratio for frailty, 1.98; 95% confidence interval, 1.14-3.44)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frailty. Conclusion: Frailty is not uncommon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 men and women in Korea. In the rural community, females with a lack of social support might be at a higher risk of frailty, as those were two of the strongest risk factors discov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calls for more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frail older adults with a lack of social support in rural communities. 연구배경: 고령화사회에서 허약은 주요 보건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인구의 양적 증가 및 노인인구 구성의 변화가 급격한 농촌지역의 허약인구 규모 및 이에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이해는 전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 유병률 및 관련 사회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약의 측정은 대한노인병학회의 포괄적 허약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관련 요인은 인구학적, 경제적, 건강생활양식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을 포함하였다. 허약 규모 파악을위해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였으며,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을 위해서는 허약 수준을 허약, 전허약, 건강의 3개 범주하여 순서 로짓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결과: 농촌지역 노인의 허약 및 전허약의 성·연령표준화유병률은 각각 11.5% 및 38.7%로 나타났다. 8개의 허약 구성요인의 분포에 있어서는 다중복약(57.3%), 주관적 불건강호소(45.1%) 및 감각상실(43.2%) 순으로 높았으며, 우울호소(10.0%)가 가장 낮았다.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결과 사회적 지지가 중간 정도의 낮은 노인은 사회적 지지가높은 노인에 비해 허약 위험의 교차비가 1.9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농촌지역의 허약 및 전허약 노인의 규모는 10명 중5명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며, 여성 노인 및사회적 지지가 낮은 노인은 허약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에도 농촌지역의 허약의 규모에 대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과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추후연구가 반복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농촌지역 노인에서 낙상 경험과 낙상 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안은미,김계은,정유경,김정현,김지혜,이건아,임세진,정소원 대한노인병학회 2009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3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falls and to correlate if the fear of falling results in avoidance of activities in a rural community elderly popul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done in 299 rural residents in Korea aged >60 years, between June 19, 2007 and June 21, 2007. Questionnaires about basic demographics, falling events, fear of falling (K-ABC), and limitations of daily activities (K-IADL) were completed. Results: Among the 299 participants, 26.1% had experienced a fall. 197 participants confirmed that they experienced fear of falling (66.9%). This was further broken down to participants who were 'a little concerned’ (31.4%), ‘much concerned’ (20.7%), and ‘very much concerned’ (13.7%). 183 people (61.2%) had limited daily activities caused by a fear of falling. Faller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fear of falling than non-fallers (p<0.001). Comparing fear of falling with limited daily activities shows that the greater the fear of falling, the larger the limitation in daily activities and the lower the K-IADL score. After adjusting for fall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fear of falling and limited daily activ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001). Among groups with fear of falling, non-fallers, exercise group (p=0.024), and good perceived health group (p=0.022) had no limitations in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Modifying drinking habits, diet habits, and soci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es may improve daily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communities, even though they have the fear of falling. 연구배경: 최근 노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 질환의 증가와 의료비 상승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 두려움 정도를 조사하고, 낙상 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 여부와 연관성이 있는가를 조사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07년 6월 19일에서 2007년 6월 21일까지 춘천시 사북면 5개 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9명이며,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299명 중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78명(26.1%)이었고, 낙상 경험 노인과 비경험 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고혈압, 골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구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197명(66.9%)에서 있었고, 대상자의 183명(61.2%)에서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상활동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 두려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낙상 경험 집단이 주관적 염려도 높고, 균형 자신감이 낮아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낙상 비경험 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낙상에 대한 두려움 유무에 따른 노인의 일상활동 제한 정도를 비교한 결과 두려움이 커질수록 주관적 일상활동 제한이 크게 나타나고, K-IADL(도구적 일상활동 수행능력) 점수도 낮아졌다. 낙상 경험을 보정하더라도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커질수록 일상활동 제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1),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있더라도 일상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 교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알아본 결과 낙상 비경험집단, 운동을 하는 집단(p=0.024),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은 집단 (p=0.022)에서 낙상 두려움이 있더라도 일상활동 제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자신감의 결여이며, 낙상경험과 무관하게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체로도 일상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 활동을 억제하게 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낙상의 두려움이 있더라도 운동을 하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은 집단에서는 일상활동 제한이 없다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교정을 통해 주관적 건강수준을 높인다면 낙상 두려움이 있는 노인일지라도 일상활동을 영위하는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사회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의 관계

        전경숙,장숙랑,박수잔 대한노인병학회 2012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2

        Background: The concept of frailty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social factors such as poverty and social support networks. The frailty index developed for elderly Canadians was recently examined in terms of the current broader concept of frailt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frailty in Korea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Methods: A total of 1,874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by judgment sampling of the population of Seochogu in Seoul and surveyed in 2011. The Korean Frailty Index, developed by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was used as an outcome variable. A proportional odds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The prevalence of frailty and pre-frailty were 7.7% and 25.5%, respectively. A total of 9.9% of older adults lacked a social network, and 13.6% were deficient in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networks were associated with frailty.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sex,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 lack of a social network and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frailty (social network: odds ratio 2.15, 95% confidence interval 1.58-2.92; social support: odds ratio 2.01, 95% confidence interval 1.54-2.63). Conclusion: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frailty being broadened to include social factors, frailty among elderly individual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networks. 연구배경: 최근 들어 허약과 관련된 생리적 과정 뿐 아니라, 사회 정서적 또는 환경적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모델 개념이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허약의 사회적 모델 개념을 확인하는실증적 연구와 근거의 축적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우리나라 지역 사회 거주 노인의 허약 수준 및 사회적 요인에해당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및 지지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사회적 지지와 네트워크가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 일개 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 1,874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허약 노인의 측정 및 판정기준으로 대한노인병학회(2010)가 개발한 ‘한국형 허약측정도구’의 8개 항목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측정은친구, 친척과의 만남 및 사회 단체 참여 여부를 포함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 (ESSI)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를 포함한 6개의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간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 교차표를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혼란 효과를 통제한 후 사회적 관계망 및 지지와허약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전 허약, 허약의3개 범주의 비례오즈 모델(proportional odds models)을 사용하였다. 결과: 친구 및 친척과의 만남 및 사회 단체 참여 여부의3가지 사회적 관계망 항목을 합산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점수가 1항목 이하인 노인은 전체 노인의 10%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점수를 산출한 결과 노인 10명 중 1.4명의 노인이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사회적 지지 체계부족 3점 이하 전체 노인의 14%). 사회적 관계망이 양호한노인에 비해 보통인 노인은 전 허약과 허약의 위험이 1.38배증가하였고, 부족한 노인은 2배 이상(odds ratio [OR], 2.15;95% confidence interval [CI], 1.58-2.92) 전 허약과 허약의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체계가 양호한노인에 비해 보통인 노인은 1.73배, 부족한 노인의 전 허약과허약 위험은 약 2배 가량(OR, 2.01; 95% CI, 1.54-2.63)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은사회적 요인이 허약의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으로 허약 노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및 네트워크 부족 등의 다양한 사회적 요인의 특성들을 확인하는데 임상 분야 및 보건 분야에서 관심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과계 질환으로 내원한 노인 환자의 주증상 및 관련된 특성

        정시경,임지용,홍성엽,최세민,최승필 대한노인병학회 2013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7 No.3

        Background: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chief complaints and related features of elderly patients who are presented to emergency department with medical problem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65 years or above, who visited Uijeongbu Hospital Emergency Center between January 1, 2012 and June 30, 201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ge, gender, mode of transportation to the hospital, chief complaints, and diagnosis were among the subjects analyzed. Results: Elderly patients with medical problems, 3,468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constituting 12.66% from 27,396 patients in total during the research period. Patients aged 70 to 74 were 28.45%, composing the most among the age groups. Ambulance was the mode of transportation used by 43.06% of the patients and 42.96% of them stayed overnight, while 11.13% sta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s were abdominal pain (16.81%), dyspnea (13.96%), and fever (11.16%). The most common diagnosi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was gastritis (20.75%), chronic heart failure (26.03%) for dyspnea, and pneumonia (28.96%) for fever. The main diagnoses of in-pati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frequency were cerebral vascular accident (16.38%), pneumonia (12.48%), and chronic heart failure (6.04%). Conclusion: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stayed overnight and sta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have increased comparing to younger patients. The top 10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s accounted for 78.92% by medical elderly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geriatric emergency medicine training programs and critical pathway for interns and residents. 연구배경: 내과계 질환으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주증상과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2년 1월1일부터 2012년 6월30일까지 중소도시의 일개 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 중 65세 이상노인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내원 수단, 내원 시간, 주증상, 퇴원 시 진단명 등을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내 총 27,396명의 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방문하였고, 본 연구 대상인 내과계 질환의 노인 환자는 3,468 명(12.66%)이었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70‒74세로 노인 환자의 28.45%를 차지하였다. 노인 환자의 43.06%가 응급의료센터 내원 시 구급차를 이용하였고 입원율은 42.96%, 중환자실입원율은 11.13%였다.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게 된 주증상은 복통(16.81%), 호흡곤란(13.96%), 발열(11.16%), 흉통(9.40%), 어지럼증(6.57%) 순이었다. 주증상이 복통인 경우위염(20.75%) 진단이 가장 많았으며, 호흡곤란은 만성심부전(26.03%), 발열은 폐렴(28.96%) 진단이 가장 많았다. 입원환자에서 주된 진단명은 뇌졸중(16.38%), 폐렴(12.48), 만성심부전(6.04%) 순이었다. 결론: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노인 환자의 입원율, 특히중환자실 입원율이 젊은 환자에 비해 높았다. 노인 환자가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게 하게 된 주증상은 복통, 호흡곤란, 발열 순이었고 가장 많았던 상위 10개 주증상이 전체 내원환자의 78.92%를 차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응급센터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노인응급의학 과정의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치료 표준화 구축 등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노인 급성 약물 중독 환자의 임상적 고찰

        이운정,최세민,경연영,김형민,윤준성,정시경,우선희,박규남 대한노인병학회 2009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3 No.1

        Background: Incidents of suicide attempts and acute poisonings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rising. This study compared elderly and younger patien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ge on the clinical nature of acute poison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47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 ent within 6 hours of exposu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 adult (20-40 yrs) and elderly (≥55 yrs). Information on type of toxic material, age, sex, duration of time to arrive to the emergency departm ent (ED ) after poisoning, cause of poisoning, usage of activated charcoal and gastric lavage, previous suicide attempts, and past psychiatric history were collected. And, the mean arterial pressure, respiratory rate, base excess, aspartate am inotransferase (AST), serum creatinine, rate of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rate, discharge rate, duration in ICU, usage of mechanical ventilator, and death rate were analyzed. Initial and final Poisoning Severity Scores (PSS) of each patient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young adult group and the elderly group were 30.6±6.1 yrs and 66.6±8.2 yrs, respectively. Cause of poisoning was accidental more often in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 adult group. AST and creatinine levels were higher and base excess was lower in the elderly group. ICU admission rate, duration in ICU, usage of mechanical ventilator, death rate, and initial and final PSS were all higher in the elderly group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SS and death rate from acute poisoning were higher in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 adult group. 연구배경: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급성 약물 중독 환자 중 노인의 비율도 높아지는것을 임상적으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젊은 성인과 55세 이상의 노인의 약물 중독 환자의 임상 양상을 비교 연구하여, 노인 약물 중독 환자의 기초 자료 및 향후 치료 및 예후 평가에 도움이 되고자 계획하였다. 방법: 2004년부터 4년 동안 음독 6시간 이내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급성 약물 중독 환자 20세 이상 40세까지의 환자 107명과 55세 이상의 환자 40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중독 물질 및 나이, 성별, 음독 후 내원 시간, 두 군의 위세척 및 활성탄 사용의 유무, 자살시도 여부, 과거력상 신경정신과 병력을 조사하였고, 초기 평균 동맥압, 맥박수, 호흡수, 염기 결핍, AST, creatinine 및 환자의 경과 관찰 후 중환자실 입원, 퇴원 및 자의 퇴원율과 중환자실 입원 기간 및 인공호흡기 장착률, 사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군에 따른 초기 중독 중증도 지수 및 최종 중독 중증도 지수를 비교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젊은 성인군은 30.6±6.1세였으며, 노인군은 66.6±8.2세였다. 음독한 물질로는 젊은 성인군에서는 독실라민이 22명(20.6%)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군에서는 16명(40.0%)이 제초제 및 살충제인 농약류를 음독 후 내원하였다. 노인군에서 사고에 의한 중독이 7명(17.5%)으로 젊은 성인군보다 더 많았으며(p=0.010), AST, creatinine, 중환자실 입원율,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호흡기 장착률 및 사망률은 노인군에서 의미있게 더 높았다(p<0.05). 또한 초기 및 최종 중증도 지수는 노인군에서 젊은성인군보다 더 높았다(p<0.05). 결론: 노인군 약물 중독 환자에서 평가한 중독 중증도 지수가 젊은 성인군보다 더 높고, 사망률 및 인공호흡기장착률이 더 높아, 노인 약물 중독 환자가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경우 집중 모니터링 및 치료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입원 노인 환자들의 입원 직전 다약제 복용 실태와 시사점

        서덕성,윤종률,김성재,박지상,이화진,김미영 대한노인병학회 2012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3

        Background: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growing in numbers in Korea. According to the high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in older persons, the issue of polypharmacy becomes one of the main problems in geriatric car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appropriate multiple drug prescriptions in old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general hospital. Methods: From July 1st 2010 to July 31th 2010, a total of 163 patients of 65 years of age or over who were admitted to one general hospital were investigated. Subjects were examin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y were reviewed with medical records, and all medications taken by patients were analyzed. Inappropriate prescriptions were evaluated by Beers criteria and drug-drug interactions guidelines. Results: Among the 163 participants, 146 patients took daily medication in the previous week, and the average numbers of pills taken by these patients were 7.95. 24 cases (16.4%) of inappropriate prescriptions were identified by Beers criteria, and 19 cases (13.0%) manifested a potential risk for drug-drug interaction. A total 7 cases (4.8%) of overlapping prescription of similar efficacy were also identified. Also, the risk of inappropriate prescription increased, when older patients visited 2 or more physicians (p<0.01). Conclusion: A considerable number of cases of prescriptions probable to cause adverse events in older patients were identified, which suggests physicians need to be thoughtful and alert for the harmful effects of polypharmacy, and the necessity of a well-structured drug monitoring system for older persons. A dedicated personal physician system for older pati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reduce inappropriate prescriptions. 연구배경: 노인 인구의 빠른 증가에 따라 노인들의 만성퇴행성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노인 환자에대한 의약품 처방 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은생리적 특성상 약물 유해 사례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나약물-약물 부작용을 포함한 부적절 약물 처방 및 중복 처방의위험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일개 종합병원에 입원하는65세 이상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입원 전 복용해 온 약물을대상으로 약물-약물 상호 작용의 위험 처방을 비롯한 부적절처방 사례와 중복 처방 사례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31일까지 4주간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의무기록 및 약제과의 약물 분석을 통해서 입원전 복용한 약물을 조사하였다. Beers criteria를 통해 부적절처방 사례를 분석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자료를 통해서약물-약물 상호 작용 위험 처방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163명 중 입원 전 일주일간 매일 약을 복용한 노인환자는 146명(89.6%)이었고, 평균 복용한 약물 개수는 7.95개였다. Beers criteria에서 언급된 부적절 처방은 24례에서 확인되었고, 약물-약물 상호 작용의 위험이 있는 처방도 19례에서확인되었다. 동일 효과 약물의 중복 처방 또한 총 7례에서확인되었다. 약물 개수와 부작용과의 연관성에서도 5개 이상복용 시 유의하게 부작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또한 2명 이상의 의사를 방문하는 경우에 부적절 약물처방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양상도 확인되었다(p<0.01). 결론: 약물 처방 지침에 근거했을 때 부적절 처방, 약물상호작용의 위험이 있는 처방 사례가 노인 환자에게 많으며,동일 효과 약물의 중복 처방 사례도 이뤄지고 있다. 그러므로노인 환자 치료에 있어서 약물 처방의 주체인 의사들의 다약제복용 위험성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노인약물 처방에 대한 감시 체계의 필요성이 중요하다. 또 약물다중 처방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노인 환자환자에 대해서는주치의 제도의 시행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