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태아섬유아세포와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돼지 생산 효율
김효정,김민주,박수현,주예은,허창기,심보웅,김명후,서자겸,김병우,조병욱,신택순,조성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2022 동물자원연구 Vol.33 No.1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in pigs has been used as a very important tool to produce transgenic for the pharmaceutical protein, xenotransplantation, and disease model and basic research of cloned animals. However,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SCNT embryos is very low in pigs and miniature pigs. The type of donor cell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se cloned pigs. Here,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efficiency of SCNT embryos to blastocysts and full term development using fetal fibroblasts (FF) an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to identify a suitable cell type as donor cell. We isolated each MSCs and FF from the femoral region and fetus. Cultured donor cell was injected into matured embryos for cloning. After that, we transferred cloned embryos into surrogate mothers. In term of in vitro development, the SCNT embryos that used MSCs had significantly higher in cleavage rates than those of FF (81.5% vs. 72%) (p<0.05), but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s and apoptotic cell ratio was similar (15.1%, 6.18% vs. 20.8%, 9.32%). After embryo transferred to surrogates, nine and nineteen clone piglets were obtained from the MSCs and FF group, respectively,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and birth rate (50%, 40% vs. 52.3%, 45.4%) (p>0.05).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pus hemorrhagicum numbers of ovary, according to pregnancy, abortion, and delivery of surrogate mothers between MSCs and FF groups. Therefore, the MSCs and FF are useful donor cells for production of clone piglets through SCNT,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of transgenic clone pigs in the future. 돼지에서 체세포 핵이식은 복제동물의 기초연구와 더불어, 유전자가 편집된 세포를 활용하여 유용 의료용 단백질의 생산, 이종장기이식 그리고 질환 모델 등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하는데 핵심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복제동물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돼지에서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복제동물의 생산 효율이 낮은 실정이다. 체세포 핵이식에 있어 공여세포는 이러한 복제동물의 생산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핵이식 효율 향상을 제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와 태아섬유아세포를 공여세포로 사용하여 복제수정란의 체외 발달률과 산자생산효율을 비교하였다. 먼저, 대퇴부와 태아로부터 각각 중간엽줄기세포와 태아섬유아세포를 분리한 후, 구축된 세포주를 이용하여 체세포 핵이식을 수행하여 이를 체외 배양하였으며, 복제 산자를 얻기 위하여 대리모에 이식하여 효율을 확인하였다. 핵이식수정란의 체외배양 2일째의 할구분할률은 중간엽줄기세포군이 태아섬유아세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81.5%와 72.0%) (p<0.05). 하지만 배반포배로의 발 달률(15.1%와 20.8%) 및 배반포의 할구(30.2±7.24와 34.3±6.46) 분석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리모에 수정란이식을 통해 중간엽줄기세포 및 태아섬유아세포 군에서 각각 9마리와 19마리의 산자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관련된 임신율(50%와 52.3%), 출산율(40%와 45.4%)에서는 유사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정란 이식 시 대리모 난소의 출혈체의 수가 임신, 유산,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중간엽줄기세포 및 태아섬유아세포군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중간엽줄기세포 및 섬유아세포는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복제 수정란 및 산자 생산에 모두 유용한 공여세포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복제 돼지 생산의 효율 증진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마트 셀프 계산대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 거부감에 관한 연구
김효정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연구는 대형마트에서 사용되고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이용 거부감을 중심으로 이용 거부감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 계산대의 비용과 혜택 요인을 살펴보았다. 소비자 집단을 20대, 30대, 40대로 구분하고, 연령대에 따라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이용 거부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20대 집단은 30-40대에 비해 셀프 계산대의 이용 비용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반면, 셀프 계산대의 이용 효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20대 집단에서 그림자 노동, 지각된 위험, 피로감,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그리고 사회적 이미지 고양이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이용 거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0대 집단에서 그림자 노동, 피로감, 사회적 이미지 고양이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이용 거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40대 집단에서 그림자 노동, 피로감, 인지된 용이성과 사회적 이미지 고양이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이용 거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셀프 계산대에 대한 이용 비용과 혜택 그리고 이용 거부감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합사회 교과서의 세계화 내용 분석
김효정,이윤미,송원섭,조철기 한국지리학회 2024 한국지리학회지 Vol.13 No.1
이 논문은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 하나인 ‘세계화’에 초점을 두고,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반영된 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핵심어들 간의 언어네트워크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서술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부합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세계화를 국가 중심주의 관점에서 서술하였으며, 세계화의 양상을 경제적・문화적 측면에 국한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교과 역량 향상을 위해 도입된 활동 자료들은 단편적인 세계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 나열과 지식적 측면의 질문 수준에 머문 경우가 다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인 세계시민 의식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에서 중심성과 출현 빈도가 낮게 나왔으며, 가치 및 태도와 관련된 활동이나 서술이 부족하였다. 세계화의 진전으로 글로벌 쟁점들이 부각되면서 지리교육에서도 세계시민으로서 전 세계를 공동체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책임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화 시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설명을 조사함으로써 미래 교육과정 및 교과서 설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적장애를 가진 어머니와의 가정기반 실천을 통한 협력적 실행연구
김효정,김용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4
본 연구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기혼 지적장애인과 연구자의 가정기반 실천의 과정과 이를 통한 기혼 지적장애인과 연구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약 6개월 동안 기혼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를 가진 어머니와 연구자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를 가진 어머니와 가정의 상황은 빈곤, 장애, 자녀양육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고, 외부로부터 재정적, 비재정적 지원을 받으면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견디고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의견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실천초점을 ‘요리’로 정하였다. 실행의 전 과정에서 연구자는 어머니와 함께 어머니의 필요에 맞는 조리법을 제작하였고, 어머니는 연구자와 함께 조리법의 내용 그대로를 실제 가정상황에서 구현해 내면서 조리과정을 익혔다. 셋째, 어머니는 요리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요리를 잘하고 싶은 목표가 생겼다. 이를 위해서 어머니는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조리법과 자신이 이해할 수 있도록 조리과정을 잘 알려주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연구자는 어머니를 돕는 막연함 속에서 실천의 안목을 키울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서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가정 전체로 실천의 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가정기반 실천을 통한 지적장애를 가진 어머니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는 어머니와 연구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어머니에 대한 가족의 반응과 어머니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지원서비스 및 사회 환경은 변화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치매공공후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치매공공후견인의 활동경험을 중심으로 -
김효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public guardianship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through activity experience of public guardians and to discuss its future directions. In order to address these purposes, focus group interviews was done with specific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people participated in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for elderly with dementia. A total of 7 public guardians for elderly with dementia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 main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Public Guardian for Dementia Started with Expectations', 'Role as a Public Guardian for Dementia', and 'Looking at a Public Guardian for Dementia'. Public guardians for elderly with dementia play a role of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elderly and supporting decision-making while playing a wide range of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are deeply aware of the need for a system.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person in charge of supporting dementia public guardians, the reality that they are not recognized even though they demonstrate professionalism, and the lack of education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ublic guardianship for elderly with Dementia. 본 연구는 치매공공후견인들의 활동경험을 통해 치매공공후견제도의 성과와 한계를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매공공후견인으로 활동하였거나 현재 활동하고 있는 7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통해 주제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대를 안고 시작한 치매공공후견’, ‘치매공공후견인으로서 역할하기’, ‘치매공공후견인을 바라보는 시선’ 등 3개의 중심주제와 11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치매공공후견인들은 치매노인의 광범위한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면서 치매노인의 권익보호와 의사결정지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치매공공후견인 지원 부서의 변동성, 직업적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음에도인정해주지 않는 현실,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의 부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공공후견제도의 향후 개선 및발전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트렌드컬러 분석을 통한 연도별 헤어컬러 경향에 대한 연구 2006년∼2020년 헤어컬러 중심으로
김효정,홍보경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us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air color and suggest a direction to select and express more trendy color after analyzing trend color and hair color from 2006 to 2020. For this, the concept of trend color and annual trend color announced by PANTONE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nalyze domestic hair color trends, colors released by the nation’s leading hair dye manufacturers ‘AMOS’, ‘WELLA’ and ‘LOREAL’ every year were classified, and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focusing on VOGUE, CECI and COSMOPOLITAN pictorials. Then, such annual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and reviewed through online websites, magazines, hair trend-related academic papers, theses and technical books to examine hair color by brightness and color. The results found that hair color trends change over time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t is also confirmed that PANTONE colors and three domestic hair-dye manufacturers’ trend colors have revealed similarity since 2015 and had some influence on trend hair color in magazine picto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