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영향 요인

        김순옥,라진숙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8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3 No.2

        배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방법: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전국 300병상 이상 8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 2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은 개인적 특성으로는 임상 경력이 3년 미만의 간호사에 비하여 3년 이상의 간호사가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수준이 높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인지도가 증가할수록 감염관리 활동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근무 부서 중 통합 중환자실에 비하여 내과계,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조직적 특성으로는 병원 내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지침의 존재에 대한 인지 하고 있는 수준이 높고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한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조직 문화일 때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향상이 되었다.결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 경력이 3년 미만인 간호사에게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질 좋은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감염관리 활동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조직적 차원에서는 감염관리 활동을 위한 지침과 긍정적 조직 문화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원내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임상-역학적 연구(2001년-2005년)

        윤영아,이승우,이경일,황자영,강진한,이준성,임정우,윤유숙 대한소아감염학회 200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6 No.2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nosocomial rotavirus gastroenteriti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28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rotavirus gastroenteritis between 2001 and 2005.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mmunity-acquired group [528 cases] and the nosocomial group [100 cases].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indices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sed. For clinical comparison, 100 agematched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community-acquired group. Results : The male-to-female ratio was similar (1.4:1 vs. 1.5:1), but the mean age was lower in the nosocomial group compared to the community-acquired group (21.9±15.5 months vs. 16.6±10.3 months, P <0.001). The patterns of age distribution, annual frequency, and seasonal distribution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 proportions of nosocomial cases in each year ranged from 9.8% to 22.4% of annual rotaviral infections, and these were not proportional to annual cases. The duration of fever appeared more prominent in the nosocomial group, and the severity of diarrhea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cases with a BUN >20 mg/dL were more in the community-acquired group (16% vs. 4%, P =0.01).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teristics of nosocomial rotavirus gastroenteritis were similar and correlated to those of the community-acquired gastroenteritis. 목 적: 원내 감염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역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지역사회 획득 감염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5년간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환아 들 중, 원내 감염군(100명)과지역사회 획득 감염군(528명)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획득 감염군 중 연령을 일치시킨 10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양군 간에서 남녀비는 1:4 및 1:5를 보였으며, 원내감염군의 평균 연령이 지역사회 획득 감염군에 비해 더 낮았다(21.9±15.5개월 vs.16.6±10.3개월, P <0.001). 연령별, 연도별 분포와 계절별 발생은 양군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5년간 연도별 발생 수에 대한 원내 감염 비율은 9.8-22.4 %를보였으며, 원내 감염 발생 수는 2003년에, 지역사회획득 감염발생 수는 2002년에 가장 많았다. 임상 양상 비교에서 원내감염군에서 발열 기간이 길었으나(P<0.001), 설사 중등도에서는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 =0.07). 검사실 소견에서 원내 감염군의 백혈구 수가 더 높았으나(P =0.04), BUN의 평균값(P =0.02) 및 20 mg/dL 이상인 환아의 수(16% vs. 4%, P =0.01)는 지역사회 획득 감염군에서 더 많았다. 결 론: 원내 감염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은 사회획득 감염위장염과 비교하여 연령별, 연도별, 계절적 발생 양상 및 임상양상에서 유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 중환자실 부문 결과 보고: 2009년 7월부터 2010년 6월

        곽이경,조용균,김진용,이미숙,김효열,김영근,박은숙,진혜영,김홍빈,김의석,정선영,엄중식,김성란,이지영,홍혜경,성주헌,어영,이영선,오희복,김의종,전국병원감시체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1 의료관련감염관리 Vol.16 No.1

        배경: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중환자실 부문에서 2009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감시를 수행한 세 번째 연간 자료를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전국의 63개 병원에서 116개 중환자실이 KONIS에 참여하여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에 대해 전향적으로 감시를 수행하였다. 병원감염률은 1,000 재원일수 또는 기구일수 당 감염 건수로 구하였다. 결과: 총 3,965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였는데, 요로감염이 2,156건, 혈류감염이 1,110건, 폐렴이 699건이었다. 요로카테터 관련 요로감염은 2,119건으로 기구일수감염률은 4.75 (95% 신뢰구간, 4.55-4.95)이었고, 기구사용률은 0.86 (0.859-0.861)이었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948건으로 기구일수 감염률은 3.28 (3.07-3.49)이었고, 기구사용률은 0.56 (0.559-0.561)이었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410건으로 기구일수 감염률은 1.95 (1.77-2.15)이었고, 기구사용률은 0.41 (0.409-0.411)이었다. CAUTI와 VAP 기구일수 감염률은 400-699병상의 병원 중환자실에서 그 이상 규모의 병원 중환자실에 비해 기구사용률이 낮았음에도 감염률은 의미 있게 더 높았다. 주요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을 분석하였을 때 A. baumannii의 imipenem에 대한 내성률이 82.5%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였다. 결론: 병상 규모가 작은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큰 병원의 중환자실에 비해 CAUTI, VAP 기구일수 감염률이 높았고, A. baumannii의 imipenem 내성률이 증가 추세여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감시와 적극적인 감염관리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투석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

        김의종,김미나,최정실,유소연,김재석,정윤성,노경호,이혜경,장숙진,이혜수,이성희,염준섭,이상오,이선화,정재심,김정욱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0 의료관련감염관리 Vol.15 No.2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심각한 기저질환이있는 상태에서 혈관에 유치도자를 가지고 있고,투석 중 혈액과 체액누출이 빈번한 점, 수혈을받는 경우가 많은 점 등 혈류감염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의료관련감염에 취약하다. 또한 혈액투석환자들은 장기적으로 투석실을 이용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병원균과 지역사회감염의 병원균이 만나서 섞여 혼재하는 곳이다. 이에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에 의해 투석실에서 표준감염관리지침서를 개발하였다. 이지침은 투석용 혈관통로 감염관리, 투석용수관리, 투석액과 투석용수의 미생물학, 화학적 감시,투석액 구성요소 및 이동체계, 투석기, 투석과정에서의 소독, 폐기물 처리와 혈액이 묻은 튜브관리, 환자감시무균술과 표준주의, 기타환경관리등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 감염관리술기를 위한 5개의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이 지침은 국내에서 최초로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와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승인한 투석실의 표준감염관리지침이다. 여기에서는 부록을 제외하고지침서를 출판하며, 전문은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http://www.kosnic.org/)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에 대한 전향적 조사연구

        정희진,김우주,김민자,박승철,조경환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2

        저자들은 1993년 1월부터 4월까지 고대 구로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1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감염의 발생률 및 사망률, 위험요인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률은 총 146명의 환자중 58예로서 39.7였다. 각 부위별 병원감염은 폐렴 23예(39.7%), 기관지염 12예(20.7%), 요로 감염 8예(13.8%), 패혈증 6예(1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균은 MRSA 13예(27%), Klebsiella species 14예(24%)의 순으로 나타났다. 2)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신경외과에 입원한 경우, 두부외상이 있는 환자인 경우, 쇽이나 혼수등의 심각한 상태로 내원한 경우, 항균제 사용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혈중 알부민의 감소, 백혈구수의 증가, 크레아티닌의 증가,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이었다. 3)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중 사망한 환자는 총 58예중 23예로서 40%에 달하는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었다. 4)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에서의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는 내원 당시 쇼크나 혼수가 있었던 경우,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길수록,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진단 당시 백혈구증다증이 있었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이 증가한 경우등이었다. 5)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볼때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등의 각종 침습적 조작의사용이나 혈중 알부민 농도의 감소 및 크레아티닌 농도의 증가등이 중환자실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이나 사망률증가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위의 관찰을 토대로 하여 볼 때, 중환자실 환자들은 39.7%의 높은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을 보이고, 일단 병원감염이 발생하면 40%가 사망하는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병원감염의 현황 및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경험적 항균제 치료 및 예방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ntensive care units(ICUs) probably represent the single largest identifiable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 Although nosocomial infection has become a maor health problem because of excessive morbidity, personal distress, and cost, no previous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 and the case-attributable mortality in Korea.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incidence, the attributable mortality an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patients receiving intensive care, we have peformed a p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ll patients who developed nosocomial infections in the ICU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uring a 4-month period(from January 1993 to April 1993). Result: 1)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ICU was 39.7(58 infections/146 admissions), and the percentage distribution by site was as follows: Pneumonia consitituted 39.7% of all nosocomial infecitons, tracheobronchitis 20.7%, urinary tract infection 13.8%, bacteremia 10.3%, phlebitis 6.9%,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5.2%, and others 3.4%. 2)Frequently isolated causative microorganisms of nosocomial infection were Methicllin-resistent Staphylococcus aureus(27%), Klebsiella species(24%), and Pseudomonas aeruginosa(17%). 3)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 were long duration of ICU stay, admission to neurosurgery, the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previous use of antibiotics, use of invasive procedures, peripheral leukocytosi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4)The mortality rate in patients with nosocomial infection was 40%(20 deaths/58 infections) compared with 11%(10 deaths/88 non-infected patients) in patients without nosocomial infection: attributable mortality was 22%. The risk factors that attributed to the increment in the mortality rate were the 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long duration of ICU stay, use of invasive procedures, and steroid,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Conclusion: Nosocomial infections are frequent problems in critical care patients and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morbidity, mortality, and cost. In addition, use of invasive procedures, previous use of antibiotic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are closely relate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CU and nosocomial infection-related deaths.

      • KCI등재후보

        급성 백혈병 환자의 감염양상 : 관해유도 및 재관해유도 화학요법 환자군의 비교 Comparison of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einduction Chemotherapy Group

        최수미,이동건,박윤희,김유진,김희제,이석,최정현,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증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여러 요인에 의해 그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감염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고, 화학요법별 감염 합병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급성 백혈병 환자를 관해유도와 재관해유도 화학요법 군으로 나누어 감염증의 빈도, 유형, 감염장소, 원인균 및 항균제 내성 양상, 감염에 의한 사망률 등을 살펴보았고, 이를 과거 자료와 비교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 이식센터에서 급성 백혈병으로 관해유도 화학요법 또는 재관해유도 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26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 자료들을 1994년, 1999년에 보고한 자료와 비교하였다. 결과 : 관해유도 화학요법군이 173예, 재관해유도 화학요법군이 153예였다. 기저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211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115예였고, 두 군간에 기저질환의 차이는 없었다. 환자 연령의 중앙값은 33세(15-68)였으며, 재관해유도군 환자들의 연령이 더 적었다(P<0.05). 284예(87.1%)에서 화학요법 중 발열이 있었고, 두 군간에 발열 빈도, 기간, 호중구 감소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발열시작시 백혈구 수의 평균값은 각각 477/㎣, 293/㎣으로, 재관해유도군에서 백혈구 수가 더 낮았다(P<0.001). 감염의 형태는 MDI 131예(46.1%), CDI 102예(35.9%), UF 51예(18.0%)였다. 관해유도군에서는 호흡기 감염증이 재관해유도군에서는 소화기 감염증이 가장 흔하였고, 카테터 관련 감염증이 재관해유도군에서 좀 더 빈번한 경향(P=0.058)을 보였을 뿐 감염 형태와 장소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관해유도군에서는 그람 양성균 분리 빈도가 더 높았고, 재관해유도군에서는 그람 음성균이 더 빈번하게 분리되었다. 두 군에서 모두 대장균이 가장 흔히 분리되었고, 대장균을 포함한 그람 음성균이 재관해 유도군에서 더 빈번하였다(P<0.05). 전체 326예 중 감염에 의한 사망은 30예(9.2%)였고, 재관해유도군에서 감염관련 사망률이 더 높았다(6.9% vs. 11.8%, P=0.03). 과거 자료와 비교하여 발열일수와 MDI의 빈도는 증가하였고, 화학요법에 따른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전체 사망에 대한 감염관련 사망률은 여전히 높아 75%에 해당하였다. 결론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감염증은 여전히 중요한 사망원인이며, 화학요법간 그 양상이 다르다. 특히 예방적 향균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증가와 그람 양성균의 증가는 꼭 극복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보다 효과적인 예방적 항균제 요법의 시행, 감시 배양, 감염관리 등 새로운 예방법의 재정립과 조기진단을 통한 적절한 항균제의 사용 및 면역 요법 등 감염 치료방법에 있어서도 새로운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recent advance in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trends of infection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a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infectious features of each chemotherapy group.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total 326 cases with acute leukemia who had received induction or reinduction chemotherapy at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during Jan. 1998 and Dec. 1999,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our previous data published in 1994 and 1999. Results : Out of total 326 cases, 173 cases received induction chemotherapy (IC) and 153 cases received reinduction chemotherapy (RC). Underlying diseases were 211 cases of acute myeloid leukemia and 115 cases of acute lymphoid leukemia.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33 years (33 in the IC group vs 31 years in the RC group, P<0.05). Overall, 87% of the cases experienced at least one febrile episodes. Mean leukocyte count at the onset of f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477/㎣ vs 293/㎣, P=0.001). Infections were classified as: 46.1% of microbiologically defined infection, 35.9% of clinically defined infection and 18.0% of unexplained fever. Most common site of infection was respiratory tract in the IC group, and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RC group.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organism in each group, and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E. coli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P< 0.05). Infection-associated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6.9% vs 11.8%, P=0.03). Comparing with our previous data, the overall mortality was reduced from 50% (early of the 1980s) to 12.3%, whereas the infection still contributed major fraction of mortality and morbidity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Conclusion : The patterns of infection between IC group and RC group are somewhat different and has been changing due to many factors. New preventive, diagnostic, and treat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phylactic antimicrobials should be meticulously used to prevent the emergence of resistant organisms.

      • KCI등재

        심혈관계 감염 진료지침 권고안

        대한감염학회,대한화학요법학회,대한임상미생물학회,대한심장학회,대한흉부외과학회,김태형 대한감염학회 2011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3 No.2

        There are many various diseases in the cardiovascular infections, and we tried to make a diagnosis and treatment guideline for several diseases which can be experienced by physician at clinical setting. Infective endocarditis (native and prosthetic valve), myocarditis, pericarditis,suppurative thrombophlebitis, and infective endarteritis and mycotic aneurysm are included in this guideline.

      • KCI등재후보

        국내 지역사회병원에서 감염내과에 입원하는 환자의 특성

        박상원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목적 : 지역사회 진료영역에서 감염내과의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며, 이는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활동을 준비하려는 감염내과의에게 도움이 될 것이며, 지역사회 감염증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24개월 동안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지역사회 질환을 잘 반영한다고 판단되는 일개 대학병원 감염내과에 입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특성, 내원 형태, 원인 질환, 감염증의 종류 및 원인 미생물, 감염증의 진단방법, 예후와 지역사회에서의 불명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362명이었는데, 96.1%가 첫 방문이었고, 64.1%는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으며 중증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 자의적 방문과 외부기관 의뢰가 비슷하였으며, 의뢰자는 내과의, 일반의의 순서로 높았다. 91.4%의 환자가 발열을 동반하였으며, 92.3%가 진단 및 치료가 내원 목적이었고, 51.1%에서 불명열이 주 의뢰사항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10.7일이었으나 중앙값은 5일이었다. 전체 환자 중 52.5%에서는 기저질환이 전혀 없었다. 원인 질환은 감염질환(81.8%), 비감염질환(5.2%), 원인미상(13.0%)의 순서였고, 감염질환은 쯔쯔가무시병(25.3%), 연부조직감염(16.6%), 하부호흡기감염(13.9%), 요로감염(10.8%), 복강내감염(5.1%) 등의 순서였다. 감염질환의 원인균 규명에는 배양(34.8%), 혈청검사(28.7%), 도말검사(5.6%)의 순으로 유용하였고, 임상적 판단(30.3%)도 중요하였다. 불명열의 원인은 감염질환(71.9%), 비감염성질환(6.0%), 원인미상(22.1%)의 순서였다. 전체 환자 중6.9%가 사망하였고, 이 중 68%는 내원 3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에서 감염내과에 입원 의뢰되는 환자들은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발열성 환자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들은 중증도가 높아 초기 집중치료의 필요가 높았다. 1차 의료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발열질환에는 다양한 일반적인 지역사회 감염증이 많아 전통적인 감염질환에의 접근원칙이 지켜져야 하겠고, 특히 연부조직감염의 빈도가 높아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겠다. 불명열의 경우 내원일주일 내에 진단에 이르지 못하면 환자가 타병원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이는 인지도가 떨어지는 지역사회병원에서 종합적인 판단 및 경과관찰이 필요한 불명열환자의 진료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Background : The infectious diseases physicians will increasingly make their way into the community. But there is few data about the role of the infectious diseases physicians in the community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admitting to a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a community-based tertiary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during 24 months from 2004. The analysis included patients characteristics, the pattern of referral, causative diseases, the type of infectious diseases, causative organisms, diagnostic methods, and the feature of fever of unknown origin (FUO). Results : 362 patients were included. 64.1% admitted via emergency room with significantly higher severity. 51.1% of patients had referral impression of FUO. The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was 10.7 days with median 5 days. The patients had infectious diseases in 81.8%, non-infectious diseases in 5.2%, and unknown causes in 13.0%. The causative infectious diseases included scrub typhus (25.3%),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16.6%),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13.9%)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10.8%). The diagnostic tools for the causative organisms included culture (34.8%), serology (28.7%), staining (5.6%) and the clinical decision (30.3%). The causes of FUO were infectious diseases in 71.9 %, non-infectious diseases in 6.0% and unknown in 22.1%.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6.9%. Conclusion : Most of the diseases referred to an infectious diseases physician in the community were community-acquired febrile infectious diseases with high severity, which needed conventional diagnostic principles in infectious diseases and an initial intensive therapeutic approach. The relative high incidence of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were notable. Self-transfer by patients to several well- known hospitals was noted if there was no definite diagnosis in about a week after admission. This indicated a limitation of sophisticated FUO work-up in a community-based hospital without high nam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