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치교육의 재구조화 방안 - 입법 중심의 고등학교 『정치와 법』
김명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4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politics and law appear in different forms at different perio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was separated into 『Politics』 and 『Law and Society』 in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 was reintegrated into 『Law and Polit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title of the course was changed to 『Politics and Law』, but it was basically a subject in which politics and law content were exactly divided in half. The 『Politics and Law』, which features this type of integr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defects such as fragmentation of content and excessive learning elements. This study suggested a new 『Politics and Law』 content scope and sequence that takes ‘Legislative Education’ as a basis for integra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such deficiencies. The legislation-centered curriculum is suitable for organically restructuring the current curriculum and promotes the participatory experience of students to cultivate citizenship in terms of value and attitude as well as cognitive learning.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proposed contents scope and sequence from a alternative point of view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Politics and Law』 in the future.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치와 법은 교육과정 시기별로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정치』와 『법과 사회』로 분리되었다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법과 정치』로 다시 통합되었다.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정치와 법』으로 과목 명칭을 바꾸었지만, 기본적으로 정치와 법 내용이 반으로 분할된 형태의 과목이다. 이러한 형태의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와 법』 과목은 내용의 분절성, 학습 요소의 과다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입법교육을 통합의 준거로 삼는 새로운 『정치와 법』내용 체계를 제안한다. 입법을 중심에 둔 교육과정은 정치학과 법학으로 구분된 현행 교육과정을 유기적으로 재구조화하기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촉진함으로써 인지적 학습은 물론, 가치와 태도 측면에서 시민성을 함양하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새로운 관점에서 제안한 내용 체계가 향후 『정치와 법』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유아 과학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1)
김명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유아 과학음악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유아 과학음악극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구성하고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4년 8월 25일부터 12월 12일 총 16주간 서울시의 유치원 두 곳의 유아 39(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음악적 표현능력에 대한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유아과학음악극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과학교육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