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온라인평생학습 방향과 추진과제

        오재호,성영조,천영석,송승현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sought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growing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in Gyeonggi-do. Now people study to satisfy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or to acquire the necessary knowledge, rather than learning only for admission and employment. The scale of online lifelong learning in Gyeonggi-do has grown to 660,000 people since its opening in late October 2016. With the explo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residents can improve their lives by learning what they want. In particular, the aging of highly educated retirees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pure learning, rather than vocational means. Lifelong learning policies should be designed to recognize opportunities for choosing and participating in learning. It is difficult to plan topics and content and continue recruiting learners. Online learning is efficient, but difficult to communicate, so it must be designed to complete learning in a specific place. Even if the quality of the content is improve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learning effect more than getting the information. GSEEK must re-establish its identity as a starting point rather than completing lifelong learning. The advantage of an online platform is that it can efficiently navigate learning programs and match learning demand and supply. Loc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people to choose learning topics and, if necessary, to plan and evaluate themselves. Gyeonggi-do should aim as a regional learning community where local residents can freely lead learning and ultimately continue and expand learning without local government support.

      • 통일대비 남·북한 기상업무 협력방안과 기상청 역할 모색

        오재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기상 업무는 국가의 경제, 사회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 필수적인 기상정보를 생산하고, 재해와 관련하여 시간을 다투는 공익 업무이며, 하루도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국가 업무이다. 따라서 통일 이후의 기상인력 공백 상태 및 혼란을 최소화하고, 통일한국의 위상에 걸맞는 지속적인 대국민 기상서비스를 극대화하는 방안의 모색은 물론 북한의 낙후된 기상관측·기술을 보완하기 위하여 통일을 대비한 투자계획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대북 정책과의 연관 속에서 먼저 남북한 기상업무협력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남북한의 기상인력 및 기술력을 평가하고 이어 통합을 가상한 기상관측업무를 설계하면서 이와 관련된 국제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그 목적은 남북한간의 기상업무를 협력하여 상호의 이익을 증진하고, 북한의 식량문제 해결하는 일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더 나아가 통일 한국에서 필요로 하는 기상 정보 생산 및 공급 방안을 사전에 검토하여 점진적으로 기상업무를 동화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내용제 Ⅱ 장 정부의 통일 대비 정책 방향 ■ 정부의 대북정책 ■ 남북한 기상업무협력 기본방향 설정 ■ 남북한 기상업무 협력 방안 ■ 통일한국 기상업무의 국제협력 방안 제 Ⅲ 장 최적 통일 한국 기상관측업무 설계 ■ 지상기상관측 ■ 고층기상관측 ■ 해양기상관측 ■ 항공기상관측 ■ 위성기상관측 ■ 레이더 기상관측 ■ 지진관측 ■ 기상통신망 구축 제 Ⅳ 장 북한의 기상 인력 및 기술력 제 Ⅴ 장 통합 기상업무 체계 구축 및 소요예산규모 ■ 남북한 기상법령체계 ■ 통합 기상행정조직의 인원 ■ 통합 기상행정조직의 개편방향 ■ 단계별 북한 기상업무 지원방안 결론 또는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기상 업무 협력 방안과 기상청의 역할 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남북한 기상 업무 협력 방안 남북한 기상업무 협력은 다음과 같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추진되어야 한다. 즉, 기상재해의 경감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공동협력한다. 북한의 농업 생산성 향상에 주력한다. 북한 지역의 관측 기반을 현대적으 로 개선하여 관측자료 생산에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기상정보의 상호 교 환에 체계를 구축한다. 남북한의 적절한 역할 분담과 협조체제를 위하여 남·북한이 함께 참여하는 전문기상센터를 건립한다. 남북한간의 직접적인 대화는 물론, 국제기상사회에서의 활동도 극히 미약한 상태인 북한의 현실과 자세를 감안하여 북한과의 기상업무 협력 은 다음과 같은 3단계에 걸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제1단계는 화해·협력단계로서 WMO 총회 및 전문분과위원회 등 각 종 국제회의에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고, 대내적인 활동에 있어서 기상관 련 학술회의시 남북한 기상학자의 상호 초청 등의 접촉과 상호방문을 통 해 심리적 불안정을 해소시킴으로써 신뢰를 구축한다. 제2단계는 남·북 연합단계로서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자료교환과 부 족장비지원 및 공동연구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추진되는 경제적 협력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소요되는 예산은 자체예산, 남북협력기금 또 는 국제협력기금을 활용할 수 있다. 제3단계는 1민족 1국가 단계는 통합기상청의 기능을 재평가하여 민간 이양 가능 범위를 검토하고, 기상통합행정체제를 재구축한다. 그리고 기 상관련제도를 전면적으로 정비하고 서로 개방하여 통합기상청의 형성기 반을 확립·발전시키는 단계이다. 통일한국에서 최적의 기상관측 업무를 위한 단계별 남북 기상협력을 분야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 남북 상호간 장단점의 파악 및 이해, 상호 협력 필요성 인식 단계지상기상관측의 경우 먼저 금강산 관광코스 3곳 즉 장전항, 온정리, 만 물상 등에 무선통신이 가능한 자동기상관측장비를 설치 지원한다. 그리 고, 99년 말에 설치될 백령도 레이더 관측소에서 생산될 레이더의 영상 을 북한이 동의한다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를 북측에 지원한다. 지진업무의 경우, 1999년 9월 30일에서 10월 7일에 개최될 제 17차 태 평양 지진해일 경보체제 국제조정그룹회의(ITSU-XVII) 및 워크샵에 북 한을 초청한다. 무엇보다도 이 단계에서 시급히 해야할 것은 서울- 평양간 기상통신망 개설이다. 이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남북 항공관제용 통신망과 같이 판문 점을 통한 육상통신망을 이용하여 개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이 경제성, 신뢰성에서 가장 좋은 방안이다. 대안으로는 금산지구국- 아시아셋- 평양 지구국을 통한 위성통신망을 구축하는 방안이다. 마찬가지로 시급한 것 이 개인용 컴퓨터(PC)와 전산교육 지원이다. 북한 수문기상국의 1관서당 1PC 이상이 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50∼80대의 PC가 필요하다. 이 기 간에 북한 수문기상국 직원들이 PC 활용능력 배가등에 적극적으로 노력 하여 PC 활용 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제 2단계 : 남북간 자료교환 활성화, 부족장비 지원 등으로 북측 수문기상업무의 현대화를 위한 도약 준비기간지상기상관측의 경우 관측업무의 자동화를 위한 관서용 AWS 지원이 다. 매년 10대 정도의 장비를 지원하면 3년 내에 27개 기관이 관측자동화 가 가능하다. 고층기상업무의 경우 현재 평양과 함흥에서 운영하는 라디오존데의 부 족한 소모품 및 노후된 수신장비를 지원한다. 해양기상업무의 경우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8척의 해양기상관측용 선 박에 대한 선박 관측장비 및 통신장비를 교체 보강하도록 지원한다. 항공기상업무의 경우 순안, 함흥, 김책 등 민간공항에 공항용 자동기상 관측장비(AMOS)를 지원한다. 위성기상업무의 경우 각 도의 기상대 10소에 소형자료이용국인 SDUS 10대를 지원한다. 레이더기상업무의 경우 북한의 아날로그 레이더를 디지털화하는 남북 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지진업무의 경우 구성된 통신망을 활용하여 남북한 센터간 그리고 북 한의 지진국과 기상수문국간 지진자료를 교환한다. 기상통신업무의 경우 3가지 사업이 있다. 첫째로 서울- 평양간 기상통 신회선을 T1급(1.544Mbps)으로 개선하여 수치예보를 위한 방대한 양의 격자점 자료와 각종 다양한 위성과 레이더 영상을 받을 수 있게 한다. 둘 째로는 평양과 북한의 27개 기상대간 전용회선에 디지털 통신장비를 설 치하여 56Kbp s급 종합기상통신망을 구성하여 평양의 각종 그래픽 및 영 상예보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셋째로는 평양을 중심국으로 한 26개 기상대와 서울을 포함해서 28개소간에 저속위성통신망을 설치한다. 제 3단계 : 통합기상청 설립, 기상현대화를 위한 도약 단계이 단계에서는 해양 시스템 구축, 디지털 지진 시스템 구축, 수문 업무 일원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단계에서의 남북기상협력사업은 다음 과 같다. 고층기상업무의 경우 청진에 고층관측소를 1개소 증설하며, 이를 위한 라디오존데 소모품 및 수신장비를 지원한다. 해양기상업무의 경우 해양시스템구축이 과제이다. 이를 위해 서해북부 해상과 동해북부해상에 중형 부이 2대를 설치하고, 남포, 원산, 신포, 김책, 청진 등에 파고계 5대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들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해양장비관리선박 2척도 건조한다. 위성기상업무의 경우 극궤도위성 수신을 위한 HRPT 수신소 1소를 나진 혹은 선봉에 설치한다. 레이더의 경우 백령도 레이더 영상과 중복되지 않도록 평안북도 천마군 부근에 1개소, 함경남도 신흥군 부근, 함경북도 은덕군 부근에 2개소 등 모두 3곳에 우리측 C- 밴드 도플러 레이더 예비부품 및 교체분을 설치 하여 완전한 레이더 관측망을 구축한다. 지진업무의 경우 실시간 디지털 지진 관측망 구축을 위하여 디지털 지 진계로의 교체, 남한의 광대역지진계 12대중 6대를 북한으로 이전설치, 단주기지진계 25대 보강, 가속도 센서 50개를 설치하되 기존 지진관측소 31개소 설치분을 제외한 19개소는 기상대에 설치하도록 한다. 기상통신업무의 경우 2가지 주요사업으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북한 내 초고속기상통신망의 구축이고, 둘째는 전기관이 수치예보가능한 전산 망을 구성하는 것이다. 우리에 비해 열세인

      • 평생학습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 방안

        오재호 경기연구원 2022 정책연구 Vol.- N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important in activating the ability to access and utilize digital media while producing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ncepts and policies surrounding media literacy and seek solutions for improvement. We must first establish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ability to read and produce media critically and the ability to handle digital well. By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within the category of media literacy, the terminology of literacy needs to be clarified. In order to increase the narrative competency of learners who have shallow and disorganized knowledge, opportunities to read linear text should be increased. Narrativ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reconstruct or deliver knowledge based on continuous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s digitalization progresses, more reading and discussion are required to develop imagination and creativity to subjectively reconstruct the situation. In a digital society, media literacy is a series of behavioral abilities that completely assemble fragmented information, encompassing technical manipulation and message reconstruction. As a result, we must improve media literacy by restoring analog formats. Media literacy is ultimate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others. 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increasing media literacy. First, We can define media literacy as ‘the ability to effectively handl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Second, appropriate indicators for diagnosing the level of media literacy should be constructed. Third,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so that analog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complement each other.

      • 안산·시흥 교육국제화특구 활성화 연구

        오재호,임형백,하봉운,김소윤,서종남,최성환,천영석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seeks to revitalize the Special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Zone of Siheung City designated in 2018. Ansan and Siheung have been jointly designated as special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zones, but this study seeks to revitalize business centered on Siheung City. The 1st Special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Zone has not received public support due to foreign language immersion education and privileged education. The second project has attempted to alleviate the educational gap and establish publicity in areas where foreigners and marriage migrants live. When we look back on the first project, the teachers feel a lot of fatigue in education policy, they do not agree with the necessity of the project, and the policy effectiveness is low. Meanwhile,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innovation school curriculum in the second project is focused on language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state-level programs and increas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culture in everyday life. Siheung City and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test the communication possibilities of membe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during the remaining three years. The perception of migrants should be gradually improved through repeated daily life rather than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s meet and communicate rather than throug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ndependence of the foreigner and his / her childr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