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희와 이이의 붕당설과 그것에 관한 인조와 신하들의 논쟁

        이종우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8 No.-

        In Zhu Xi letter to Liu Zheng, a prime minister at the time, “faction having to be maintained”, criticizing removal of faction. According to him, king should classify not only between superior man and inferior man, but also king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faction. When do so, the state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Zhu Xi. This mean reformist politics. The argument of Zhu Xi influenced to Yi I. However, Yi I did not claim such Zhu Xi’s claim, the king having to participate in the faction. That after, Yi Gui claimed basing on Zhu Xi that King Injo having to participate in the faction, quoting that of Zhu Xi. However, he did not quote Yi I, the king not having to participate in the faction. Because he want carry out faction politics. Unlike Yi Gui’s argument, King Injo regarded the faction as not public faction but private one. Therefore, he criticized for the mention of Zhu Xi. Therefore, he criticized Zhu Xi’s factionalism because this cannot be disturbed the king-centered politics. So he did not quote King Seonjo’s saying, wanting to participate the faction Yi I and Seong Hon. Unlike that, Jo Ik claimed the faction of Zhu Xi not to be private faction, so King Injo accepted that of Jo Ik. However, King Injo refuted the faction. He was chosen as the king by scholar-officials, including Yi Gui, having removed Gwanghae. Thus, he hope to carry out the king-centered politics. By contrast, Yi Gui hope to carry out faction-centered politics.

      • KCI등재

        각일기성(各一其性)에 관한 율곡 만년정론 논쟁: 이현익 대 권상하ㆍ한원진의 논쟁

        이종우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2

        As the root of debate whether human and animal nature is the same or different, a debate between Ho-Rak groups on whether the individual nature is li or, uniting li and ki, had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topic was the main point of Horak debate. Yulgok Yi I said the nature is li: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On the other hand, Yi I said the nature is uniting li and ki in Reply to Seong Howon, a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On those, Jeongam Yi Hyeonik, a member of Rak group, claimed Yi I’s established theory on the nature is li, the Essential Sage Learning. By contrast, Suam Gwon Sangha claimed the individual nature of Yi I is uniting li and ki. The individual nature means only li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whereas both li and ki in Reply to Seong Howon. That after, Namdang Han Wonjin, a disciple of Gwon Sangha and Ho scholar, claimed that of Yi I is the same as uniting li and ki, criticizing Yi Hyeonik’s argument and supporting for Gwon Sangha’s. They believed Yi I’s sayings are consistent, so his latter year establishing theory is not. Han Wonjin regarded the nature as not two but one. When some see only li, it is li. But he sees both li and ki, it is uniting li and ki, according to Han. Therefore, the former is Original Nature, while the latter Original Nature or Physical Nature. The individual nature is only li meaning Original Nature of first principle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whereas both li and ki of function from principle in Reply to Seong Howon. Yi I saw the individual nature with both original nature and physical nature, so the interpretations of Yi I by Yi Hyeonik, Gwon and Han is difficult regarding as correct. 호락(湖洛)논쟁의 쟁점으로서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의 이론적 근거인 각일기성(各一其性)이 리(理)인가 합이기(合理氣)인가 라는 문제는 중요한 주제였다. 낙학의 이현익은 호학의 권상하에게 율곡 이이는 「성학집요」에서 각일기성을 인의예지신의 리, 「답성호원」에서 그것을 합이기라고 서로 다르게 썼기 때문에 전자를 율곡의 만년정론(定論)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권상하는 이이가 각일기성을 합이기라고 일관적으로 여겼기 때문에 그의 만년정론과 초년미정론이란 없다고 이현익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그는 「성학집요」의 각일기성을 리, 「답성호원」의 각일기성을 기 속의 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훗날 그의 문인 한원진은 「성학집요」에서 각일기성을 리라고 쓴 것은 리만을 본 것이고, 「답성호원」에서 그것을 기지리(氣之理)라고 생각하여 인간과 개ㆍ소의 성이 다르다고 쓴 것은 리와 기를 함께 보고 쓴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 때문에 이이의 그러한 설을 초년미정론과 만년정론이라고 구분한 것이 잘못되었다고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한원진은 성을 삼층으로 구분하여 전자를 일층, 후자를 이층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성은 여러 가지가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뿐인데 단지 인간이 리만 보거나 리와 기를 함께 보는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여겼다. 이 때문에 그는 이현익이 이이의 각일기성을 잘못 해석하였다고 비판했던 것이다. 한원진에 따르면 「성학집요」와 「답성호원」의 각일기성은 둘 다 본연지성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한원진은 일층과 이층의 성 둘 다 본연지성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이는 각일기성을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서 두 가지로 보았기 때문에 이현익처럼 초년과 만년이 다르다고 하기도 어렵고, 권상하와 한원진처럼 일관성이 있다고 평하기도 어렵다.

      • 간염치료제인 민간제제(NP)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이종우 전주대학교 1999 論文集 Vol.24 No.2

        An oriental drug, named NP, traditional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epatitis B was characterized with separating into volatile and non-volatile fractions. The major components of NP were ammonia in volatile fraction and peptides and cyclooctasulfur (S_(8)) in non-volatile fraction. The drug showed antioxidant activity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ng substances (TBARS) method and this activity seems to have an effect on hepatitis B. The major antioxidant material in the NP was identified as cyclooctasulfur (S_(8)) by TLC and mass spectrum.

      • KCI등재
      • KCI등재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거짓 공유를 줄이는 호출지 추적 기반 공유 메모리 할당 기법

        이종우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7

        sharing is a result of co-location of unrelated data in the same unit of memory coherency, and is one source of unnecessary overhead being of no help to keep the memory coherency in multiprocessor systems. Moreover, the damage caused by false sharing becomes large in proportion to the granularity of memory coherency. To reduce false sharing in a page-based DSM system, it is necessary to allocate unrelated data objects that have different access patterns into the separate shared p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call-site tracing-based shared memory allocator, shortly CSTallocator. CSTallocator expects that the data objects requested from the different call-sites may have different access patterns in the future. So CSTallocator places each data object requested from the different call-sites into the separate shared pages, and consequently data objects that have the same call-site are likely to get together into the same shared pages. We use execution-driven simulation of real parallel application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ur CSTallocator. Our observations show that by using CSTallocator a considerable amount of false sharing misses can be additional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echniques. 공유는 공유 메모리 다중 처리기 시스템에서 여러 처리기들이 일관성 유지의 단위 메모리 영역을 공유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써, 메모리 일관성 유지의 정확성에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면서 그 비용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메모리 일관성 유지의 단위가 커질수록 그 피해가 더 커진다고 할 수 있다. 페이지-기반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거짓 공유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유 페이지에 할당되는 객체들의 특성을 미리 예측하여 참조 패턴이 상이한 객체들이 하나의 공유 페이지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 내에서 공유 메모리 할당자를 호출한 위치를 추적하여 서로 다른 호출지에서 요청된 공유 객체가 같은 공유 페이지에 할당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출지-추적 기반 거짓 공유 감소 기법(CSTallocator)을 제시한다. CSTallocator는 서로 다른 코드 위치에서 할당 요청된 공유 객체들은 각각 상이한 참조 패턴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이 기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거짓 공유 감소 할당 기법들의 성능과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거짓 공유 폴트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은 실제 병렬 응용에 기반한 실행-기반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