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레나이트로 유도되는 백내장에서 선삼 성분에 따른 백내장 억제효과의 비교 분석

        이상목,정문선,정진호,김미금,위원량,박정일,이진학,Sang Mok Lee,MD,Jung Moon Sun,MD,Jin Ho Jeong,MD,Mee Kum Kim,MD,Won Ryang Wee,MD,Jeong Hill Park,PhD,Jin Hak Lee,MD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5

        Purpose: To compare the protective effects of saponin and non-saponin Sun-ginseng extract fractions in a selenite-induced rat cataract model. Methods: A total of 101 Sprague-Dawley rat p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reatment: Sun-ginseng, saponin fraction, non-saponin fraction, and control. For induction of cataracts, sodium selenite 15 nmol/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in 13 day-old rat pups. Sun-ginseng extract 100 μg/g (Group I, Ginseng Science, Seoul, Korea), saponin fraction 100 μg/g (Group II), non-saponin fraction 100 μg/g (Group III),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rol group)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every two days for a total of seven injections. The rats were sacrified and their lenses were dissected and photographed at day 7 and 14, and the cataracts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ataract area to the total lens area. The blind method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ataract area. Results: At day 14, cataract formation rates (CFR) were 33.3% in group I, 76.4% in group II, 41.2% in group III, and 77.7%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 cataract area (MCA) was 13.4±20.8% in group I, 14.4±11.7% in group II, 5.7±7.7% in group III, and 15.8±12.1% in the control group. Group II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CFR p=0.001, MCA p=0.001). We observed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and smaller mean cataract area in Group I and Group III at day 7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roup I, CFR p=0.018; Group III, CFR p=0.032, MCA p=0.005). Conclusions: The protective effects of Sun-ginseng extract are caused by the components in the non-saponin fraction, not by those in the saponin fraction, in a selenite-induced cataract rat model.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5):733-739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임상실습 교육개선을 위한 간호학생의 간호활동시간 분석

        이애경,김정애,주미경,정안순,장은정,김정수,강정희,이정애 경복대학 2001 京福論叢 Vol.5 No.-

        신규간호사의 능력은 간호학생 때의 다양한 임상경험에 기초를 둔다. 따라서, 간호대학의 교수, 병원 지도자, 임상지도자는 간호학생들이 다양한 지식을 획득하고 간호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 수행하는 간호활동과 간호활동 시간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간호학생 1인당 직접간호활동 시간은 185.5분(직접간호비율은 56.7%)으로 141.65분(간접간호 비율은 43.3%)인 간접간호활동 시간보다 많았다. 직접간호활동 시간 중 활력징후 측정이 51.9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고, 간접간호활동 시간 중에는 차트보기가 22.98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다.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임상간호 수행기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고도의 숙련된 간호기술을 수행하는데 드는 시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의 지도자와 병원의 지도자 및 임상지도자가 함께 임상실습 교육과정의 지침서와 평가서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The competence of newly graduated nurses is based on various clinical experiences gained when they were students. Therefore, professors in nursing schools, directors in hospitals or preceptors must play a critical role in assisting them to obtain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d nurs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rsing care activities and nursing care hours practic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rect nursing care hours per each nursing student are 185.5 mins(direct nursing care rate 56.7%) and it is higher than indirect nursing care hours, 141.65 mins(indirect nursing care rate 43.3%). The hours of checking vital signs are the longest(51.9mins) among the 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and the hours of reviewing chart are the longest(22.98mins) among the in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In general, the time of performing basic clinical nursing technique was higher than that of performing high skilled nursing technique. And nursing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directly performing task. So, we sugg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It is needed for nursing instructors in nursing schools and hospitals together to evaluate the guidelines and check-list of clinical practice courses.

      • 이행성 협심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이정우,박형서,박용규,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재환,최시완,정진옥,성인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목적 :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이형성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이형성 협심증으로 확진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내경이 50% 미만의 협착이 있고, 에르고노빈(ergonovine) 유발검사도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233명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83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의 판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전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5예)이나 하강(8예)이 있는 경우 EH한 T파의 역위(19예)가 있는 32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1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는 Marquette사의 case 15 답차를 이용하였고, Bruce protocol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최대로 실시하였으며 각 stage 및 운동후의 혈압을 측정하고 12 유도 심전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임상적 특성 - 내원시 임상 상은 안정형 협심증이 39예(25.8%), 불안정형 협심증이 103예(68.2%), 심근경색증이 9예(6.0%)이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 양성 군과 음성군간에 있어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 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연축의 수 등을 조사하였는 바 어떠한 인자들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51명의 환자중 음성인 경우는 134예(88.8%)이었고, 양성인 경우는 17예(11.2%)이었다.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들중 ST 분절의 상승이 4예(2.6%), ST 분절의 하강이 13예(8.6%)이었다. 3) 관상동맥조영술 -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혈관 경력 위치는 우관상동맥이 70예(46.1%), 좌전하동맥이 44예(28.9%), 좌회선동맥이 17예(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예중 Ⅱ, Ⅲ, aVF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 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V2-V4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2예중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전하행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난 예는 1예이었으며 다른 1예는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고, V5-V6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V5 또는 V6에서 ST 분절의 하강이 있엇던 13예중 6예(46.1%)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3예(23.1%)는 좌전하행동맥에서, 1예(7.7%)는 좌회선동맥에서, 나머지 3예(23.1%)는 2개의 혈관이나 기타 분지에서 경련이 발생하였다. 결론 : 1)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에서 11.2%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중 ST 분절의 상승은 2.6%이었고, ST 분절의 하강은 8.6%이었다. 2) 이형성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이형성 협심증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ST 분절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에 대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등 어떠한 인자들도 3그룹(ST 분절의 상승, ST 분절의 하강, 음성)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ST 분절의 상승 부위와 관상동맥조영술상 관상동맥의 연축이 일어나는 혈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No reports in the literature describe the results of exercise testings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pure variant angina(coronary stenosis <50%)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results of treadmil exercise testing in 151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151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spasm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ST-segment response to exercise were analyzed. Of 151 patients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negative result was seen in 134 patients(88.8%) and positive result was in 17 patients(11.2%). Of 17 patients saw positive result,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was present in 4 patients(2.6%) and ST segment depression was seen in 13 patients(8.6%).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 segment response to exercise and the clinical variables(diabetes, hypertension, obesity, total cholesterol, current smoking, effort angina, clinical diagnosis, and degree of stenosis) assessed. Of 4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treadmil exercise test, 1 patient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Ⅰ,Ⅲ,aVF had spasm in right coronary artery(100%) on coronary angiography, of 2 patients in V2-V4 had spasm 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1 patient(50%) and 1 patient in V5-V6 had spasm in left circumflex artery(100%). Positive treadmil exercise test was present in 11.2% of variant angina patient. If we have negative treadmil exercise result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may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If we have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th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artery involved is quite good.

      • 간호 학생의 임상실습 효율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이애경,김정애,주미경,정안순,배경진,김정수,이정애,장은정 경복대학 2000 京福論叢 Vol.4 No.-

        임상실습 교육은 간호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으로서 임상실습이 간호교육의 중요한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상실습 교육에 즉각적인 해결이 어려운 많은 문제점이 있음도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에 임상실습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실습목록표에 대한 간호 학생들의 실습목표의 명확한 이해와 더불어 이론과 실습의 연계성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성인간호, 모성간호, 이동간호 3개 영역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기본임상간호 항목이나 기본간호술과 관련된 항목에서 직접수행의 빈도가 높았고 숙련된 기술적인 처치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항목에서는 관찰과 수행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Clinical performance is not only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applying nursing theory into practice but also it is a well-known fact that clinical performance is an important part in nursing education. lnspite of this importance, it is also true that many problem with no immediate solution exist in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us, through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clinical experience of the nursing students, on the nursing checklist that is being used as the basic guide in clinical education, we tried to clearly understand the objectives of clinical performance and to emphas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directly performing tasks was high in all areas of adult health nursing, maternity nursing, and child nursing for the items of basics clinical nursing and items related with basic nursing techniques, and that the experiences of observation and execution were lacking in the items needing skilled treatment or speciality.

      • 완전 방실차단을 동반한 급성 심근염

        이유선,정진옥,박용규,박형서,노상필,정승현,김정희,이재환,최시완,성인환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급성 심근염환자에서 발행한 완전 방실차단을 영구 심장박동 조율기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yocarditis, an inflammatory process involving the myocardal wall, may be caused by most infectious agents. Irrespective of its etiology, it presents commonly with evidence of heart failure, hypotension, and various electrocardiographic abnormalities. Patient with myocarditis may be asymptomatic or may have a rapidly progressive fatal disease. Medic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yocarditis includes specific therapy for underlying infection and control of the complication of myocarditis such as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arrhythmia. Recently we had experienced myocarditis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in 37-year-old man. Although he had shown complete recovery of heart failure, he had shown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so we inserted permanent pacemaker. We report it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위암 환자에서 세포성 면역 기능에 관한 연구

        이재익,윤일국,이종선,김종완,장준,안정기,송민호,정현용,이헌영,김삼용,김영건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1991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1 No.1

        We performed a variety of lymphocyte stimulation tests, delayed hypersensitivity skin tests, and enumeration of several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2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did not receive any form of anticancer therapy, and in 20 healthy controls. The gastric cancer patien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number and total score of positive reactions in delayed hypersensitivity skin tests compared with the healthy controls. The percent of CD_(4) positive lymphocytes in the gastric cancer pati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subjects, but it had no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ore of delayed cutaneous hypersensitivity reactions. The ratio of helper to suppressor cells was lower in the cancer group. The uptake of 3H-thymidine was markedly depressed in cancer patients when stimulated with various mitogens. Ther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e stimulation tests and any of the lymphocyte subpopulation proportions to delayed hypersensitivity cutaneous reactions. Optimal proliferative response was found in lymphocytes stimulated with 10 micrograms of concanavalin-A and 10 microgram of phytohemagglutinin. Advanced stage patients had greatly depressed delayed hypersensitivity skin reactions and proliferative responses to mitogens compared with localized dis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stric cancer patients have depressed cellular immune functions, which mainly result from the decreased helper cells and defects in functional proliferative response to mitogens. Interleukin-2 and interferon-gamma restored the in vitro proliferative response of lymphocyte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