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조사

        진기원(Ki Won Jin),이가영(Ka Young Yi)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비의료종사자와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저시력에 대한 이해 정도와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의료종사자 137명(저시력 환자 25명, 비저시력 환자 38명, 정상대조군 74명), 의료종사자 167명(안과의사 51명, 비안과 의사 56명, 간호사 24명, 의료기사 36명), 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저시력의 정의(3문항), 저시력 환자의 보조(3문항), 저시력 환자의 불편 사항에 대한 인식(3문항), 보조기구에 대한 이해(1문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안과의사를 제외한 의료종사자들의 저시력의 이해도와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부분 비슷했으며, 전반적으로 저시력에 대해 낮은 인지 비율과 이해도를 보였다. 안과의사는 다른 의료종사자들에 비해 높은 저시력에 대한 이해도와 재활에 대한 인식정도를 보였지만, 저시력 보조기구의 이해도는 다른 의료종사자들과 차이가 없었다. 저시력 환자들은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대중교통과 야외활동에서 가장 큰 불편을 느꼈다. 결론: 안과의사들은 높은 저시력에 대한 이해도와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보였지만 저시력 보조기구에 대한 이해도는 낮아, 이에 대한 안과의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고양을 위해 홍보와 교육 캠페인이 필요하며, 저시력 환자를 위한 주변환경의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Purpose: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nd awarenes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of non-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using a survey. Methods: The present survey included 304 individuals; 137 non-health care providers (25 low vision patients, 38 non-low vision patients, and 74 normal controls) and 167 health care providers (51 ophthalmologists, 56 non-ophthalmic physicians, 24 nurses, and 36 medical technician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pertaining to the definition of low vision (3 items), assistance of low vision patients (3 items), awareness of the difficulties of low vision patients in daily life (3 items), and the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ids (1 item).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except ophthalmologists, were unaware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e perception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between non-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except ophthalmologists were not different. The ophthalmologist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nd awarenes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an other health care provider group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regarding low vision aids. Low vision patients showed the lowest rate of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around them and most experienced the greatest difficulties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outside activities. Conclusions: Although ophthalmologist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ei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ids was poor. Thus,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mprove the ophthalmologists’ understanding regarding low vision care. To enhance low vision rehabilitation awareness, promotion of low vision services and education campaigns is necessary and a strategy concerning social welfare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low vision patient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대한민국의 안과 취약 지역 실태에 대한 연구

        이행진(Haeng-Jin Lee),김현아(Hyuna Kim),김응수(Ungsoo Samuel Kim)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대한민국 전체 의료 기관의 약 90%가 도시에 분포하여 도시와 농촌 간 의료 자원 분포가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형평성있는 보건의료제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의료 기관 분포와 진료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과 보건 정책의 토대를 만들고자 안과 의료 기관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 지역별 안과의원,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안과 공중보건의, 군의료시설에서 안과 전문의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취약지역에서 안과 진료가 가능한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 및 취약 지역의 인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우리나라 안과의원 수는 2021년 2/4분기 기준으로 1,658개였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순으로 분포하였다. 안과전문의는 3,610명이었고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순으로 분포하였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 안과의원이 없는 시군구는 20개, 안과전문의가 없는 시군구는 13개였다. 안검진을 위해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 시간은 자차로 48.0 ± 38.1분, 대중교통으로는 75.1 ± 40.0분이었다. 해당 안과 진료의 빈곤 지역 내에서 총 인구는 558,336명이었으며 취약한 10세 이하의 소아는28,358명이었다. 결론: 안과 진료에 대한 취약 지역 현황을 바탕으로 지리적 접근성, 형평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보건의료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영유아와 노인 안질환에 대한 검진의 중요성을 감안하고 이를 보완해 나갈 중장기적인 대책 수립과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겠다. Purpose: Approximately 90% of the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are located in cities, so there is a disparity in medical resource distribu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order to establish an equal healthcare syst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treatments offered by medical institutions and to investigate access to these facil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medical institutions offering ophthalmic examinations for children in Korea. Method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gional eye clinics and ophthalmolog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public health offices, and military medical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cities and counties. In addition, the population status and ophthalmic facilities in vulnerable area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the second quarter of 2021, there were 1,658 regional eye clinics in Korea located in Seoul, Gyeonggi, Busan, and Daegu, respectively. There were a total of 3,610 ophthalmologists in Seoul, Gyeonggi, Busan, and Daegu, respectively. Among the 250 counties, 20 did not have eye clinics while 13 did not have an ophthalmologist. The average time required to reach the closest eye examination center was 48.0 ± 38.1 minutes by car and 75.1 ± 40.0 minutes by public transportation. The total population in vulnerable areas was 558,336, including 28,358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year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vulnerable areas for eye examin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with improved accessibility, equity, and efficienc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ophthalmic examinations in children and the elderly.

      • KCI등재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김성호(Seong Ho Kim),박정현(Jung Hyun Park),유나경(Na-Kyung Ryoo),공민귀(Mingui Kong),송수정(Su Jeong Song),함돈일(Don Il Ham),한국포도막학회(Korean Uveitis Society )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의 포도막염에 대한 진료와 치료 경향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내 포도막염의 실제 진료와 치료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11월 한국포도막학회에서 회원 300명에게 총 11문항의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다지 선다형 또는 양자택일형의 문항에 대한 답변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응답률은 59.7% (179명)였고, 응답자 중 망막 세부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92.7%로 가장 많았고,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에서외래 진료 환자 중 포도막염 환자의 비율은 10% 미만이라고 하였다(66.9%).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추가로 시행하는 영상검사로는 안저 사진 촬영 및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83.8% vs. 73.2%). 전신검사가 필요한 경우 시행하는 항목으로는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순이었다.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의 경우 테논낭하주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74.9%), 전신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 사용 시 대다수 0.5-1 mg/kg으로 시작하였다(83.7%). 스테로이드 불응성 포도막염 환자의 치료 시 2차 약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을 선호하였다(36.2%). 결론: 본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해 실제 국내 포도막염 환자들에 대한 진단과 치료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한점이있으나, 한국포도막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시행한 첫 포도막염 실제 진단과 치료 행태 조사라는 연구 의의가 있겠다.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a 2021 questionnaire survey assessing the curr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conducted by the Korean Uveitis Society (KUS). Method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atment and trends for uveitis in Korea, a total of 11 questions were surveyed in November 2021 among 300 members of the KUS. This survey comprised 11 multiple choice and dichotomy questions. Results: Of 300 participants, 179 responded, and the response rate was 59.7%. Among the respondents, 92.7% were retina specialists and 66.9% reported less than 10% of uveitis patients among outpatients. As imaging tests performed in patients with anterior uveitis, fundus phot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typically performed (83.8% vs. 73.2%, respectively). The frequently performed blood tests for general screening were complete blood count, blood chemistry tes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89.9% vs. 86.2% vs. 85.5% vs. 82.4%, respectively). Regarding local steroid treatment, subtenon injection was the most preferred (74.9%). Regarding systemic oral corticosteroids, 83.7% of respondents commonly used initial doses of 0.5-1 mg/kg. Cyclosporine, methotrexate, mycophenolate mofetil, and azathioprine were used for steroid-refractory uveitis patients in that order (36.2% vs. 34.8% vs. 21.7% vs. 7.3%, respectively). Concerning the currently used biologic agent, adalimumab was the most preferred, at 96.7%. Conclusions: This survey highlights the rec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in Korea.

      • KCI등재후보

        안과 진료 의뢰된 입원 환자에 대한 고찰

        배주영,이종혁,백세현 대한안과학회 2004 대한안과학회지 Vol.45 No.2

        Purpose: To study profiles of inpatients and eye problems evaluated and managed by the ophthalmology consultation service of a large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Methods: We evaluated one thousand fourteen patients from April 2002 through December 2002. We recorded demographic information, hospitalization information, and eye exa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ason for consultation, type of consultation, ophthalmologic diagnosis. Results: Approximately half the patients were male. Patients in 7th decade were 199. Endocrinologic devision of internal medicine services accounted for 19.0% of all consultations. Twenty-two percent of all consultations was to rule out diabetic retinopathy. We recorded 64 primary ophthalmologic diagnoses and 40 secondary ophthalmologic diagnoses. The top five common primary ophthalmologic diagnoses were diabetic retinopathy, conjunctivitis, cataract, refractive error and dry eye. Cataract was the most common secondary ophthalmologic diagnosis. There were 266 primary hospital discharge diagnoses. The most common primary hospital discharge diagnosis was diabetes mellitus. Conclusions:. Many people requiring examina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had no history of previous ophthalmic examination. Therefore,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s needed. This study profiled the typical patients and eye problems seen by an ophthalmologist when inpatient consultation is requested. We hope that this report provides a basic source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nsultation services in residency training programs. 목적 : 대학병원의 안과 진료 의뢰된 입원 환자의 안과적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2년 4월부터 12월까지 본원에 입원 중 안과 진료 의뢰된 1014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안과 진단, 의뢰과 진단을 기록하였다. 결과 : 남자가 501명, 60대가 199명이었다. 가장 많이 의뢰한 과는 내분비내과였고 가장 많은 의뢰 이유는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선별 검사였다. 64종류의 1차적 안과 진단과 40종류의 2차적 안과 진단이 기록되었다. 1차적 안과 진단은 당뇨망막병증, 결막염, 백내장, 굴절이상, 건성안 등이었다. 가장 흔한 2차적 안과 진단은 백내장이었다. 의뢰과의 1차적 진단은 266종류이고 가장 흔한 진단은 당뇨였다. 결론 : 당뇨망막병증 선별 검사를 의뢰받은 환자 중 입원 후 처음 안과 진료를 받은 환자들이 많았으며 당뇨망막병증 선별 검사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입원 환자의 안과 진료가 의뢰되었을 때 안과 의사가 접할 수 있는 전형적 환자 유형과 그들의 안과적 문제에 대한 자료는 안과 전공의 교육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인식 변화: 2007년과 2017년의 비교 분석

        전제휘,조은영,손준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8

        Purpose: With regard to the process by which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choose medical care,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heir perceptions changed after the department name was changed to oculoplasty. The study involv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a 10-year period from 2007–2017, to assess whether the name change led to better medical service. Methods: Questionnaires, which were the same as those distributed in 2007, were distributed to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surgery for epiblepharon and ptosis. The results from 100 guardian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collected in 2007. Results: The average age of respondents was 38.1 years, and most respondents were mothers. Most had become aware of the primary symptoms after medical examinations of infants and school eyesight tests. The ophthalmologist had the most direct effect on the decision for oculoplastic surgery. With regard to economic status, most respondents were middle-class. Most had a college degree or higher,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educational levels in 2007. Conclusions: Overall, guardians’ perceptions had improved due to continuous education about oculoplasty, including notification of the name change to the Department of Oculoplasty,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fforts, such as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medical consultations, to encourage patient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when selecting medical care. 목적: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의료 선택 과정에 대한 10년 만의 인식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성형안과로의 명칭 변경 이후의 인식 개선 여부를 평가하고,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덧눈꺼풀 및 눈꺼풀처짐 수술을 위해 입원한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에게 2007년 연구와 동일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완벽하게 설문조사를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과거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보호자의 평균연령은 38.1세였고 대부분은 어머니였다. 영유아 검진 및 학교 시력 검사를 통하여 주 증상이 처음 발견된 경우, 안과의사가 수술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경우, 그리고 성형안과의 존재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경우가 과거 연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경제적인 상태는 중, 최종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2007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 지난 10년 동안 안과의사를 비롯한 1차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한 성형안과적 진단, 치료 및 수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안성형에서 성형안과로 개명하는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가 비교적 잘 이루어져 성형안과 분야에 대한 생소함을 해소하고 적절한 인식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안과적 이상을 동반한 Williams 증후군 2예

        이승기(Seung-Ki Lee),홍현규(Hyunkyu Hong),유인정(In Jeong Lyu)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8

        목적: Williams 증후군(Williams syndrome)에서 나타나는 안과적 이상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 보고된 바가 없기에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Williams 증후군을 진단받은 5세 남아가 안과 검진을 위하여 내원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0.6, 좌안 0.6이었으며, 양안 근시성 난시와 8프리즘 디옵터의 내사시가 있었다. 또한 양안 성상의 홍채 기질 소견과 망막혈관 구불거림 증가가 관찰되었다. 다른 증례는 Williams 증후군을 진단받은 8세 남아로 양안 근시가 있었고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0.7, 좌안 0.4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양안 성상의 홍채 기질 소견과 망막혈관 구불거림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Williams 증후군은 특징적인 홍채소견 및 굴절이상, 사시, 약시 등 안과적 이상을 동반할 수 있는 유전 질환으로 진단 시 안과적 검사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Williams syndrome with ocular manifestations Case summary: A 5-year-old boy who was diagnosed with Williams syndrome visited our hospital for ophthalmic examinatio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n both eyes was 0.6. He had myopic astigmatism and 8 prism diopters of esotropia. Oval-shaped pupil with a stellate pattern of the iris and increased retinal vascular tortuosity were seen in both eyes. Another case of an 8-year-old boy with Williams syndrome also had myopia in both eyes. BCVA was 0.7 in the right eye and 0.4 in the left eye. A stellate pattern of the iris and increased retinal vascular tortuosity were also seen in both eyes. Conclusions: Williams syndrome, deletion of 7q11.23, has ocular anomalies including a stellate pattern of the iris, refractive er-rors, amblyopia, and strabismus. Therefore, careful ophthalmic 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children are diagnosed with Williams syndrome.

      • KCI등재

        녹내장의 진단 경로

        이관복(Kwan Bok Lee),김민경(Min Kyung Kim),김미진(Mi Jin Kim),안상일(Sang Il Ahn),황영훈(Young Hoon Hwa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5

        목적: 녹내장 환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녹내장을 처음 확진 받은 환자 484명(여 223명, 남 261명, 평균 나이 55.3세)을 대상으로 어떤 경로로 녹내장을 진단 받았는지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진단 경로는 1) 녹내장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안압 상승 관련 통증 또는 시각 증상이 녹내장 외에 다른 이상에 의해서 설명되지 않을 때), 2) 다른 증상 때문에 안과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발견된 경우, 3)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4) 녹내장 가족력 때문에 본인이 검사를 원한 경우로 나누었고,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1) 시신경유두 이상, 2) 높은 안압, 3) 두 가지 모두로 구분하였다. 결과: 녹내장 진단경로는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 11.8%, 안과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 74.2%,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12.4%, 본인이 원해서 발견된 경우 1.7%의 분포를 보였다.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시신경유두 이상 84.2%, 높은 안압 15.8%였고, 그중 7.4%는 시신경유두 이상과 높은 안압이 동반된 경우였다. 결론: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을 통한 시신경유두검사였다. 녹내장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 정기적인 안과진료를 통한 시신경유두의 자세한 검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vents leading to a diagnosis of glaucoma. Methods: Medical records of 484 subjects (223 women, 261 men, mean age, 55.3 years) who visited a glaucoma clinic without previous glaucoma diagnosis were reviewed. Events were classified into: 1) glaucoma-related symptoms, such as ocular pain accompanied by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or visual disturbance without other ocular abnormalities except glaucoma, 2) ocular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for other symptoms, 3) routine health examination, or 4) patient request due to family history of glaucoma. Ocular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and led to detailed glaucoma assessment were classified as: 1) an optic disc abnormality, 2) high intraocular pressure, or 3) both. Results: Events that led to the diagnosis of glaucoma were glaucoma-related symptoms in 11.8%,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in 74.2%,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12.4%, and family history in 1.7% of subjects.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in ocular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s were an optic disc abnormality in 84.2% and high intraocular pressure in 15.8%, both of these findings were found in 7.4% of subjects. Conclusions: The most common path to glaucoma diagnosis was optic disc assessment by an ophthalmologist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of glaucoma, regular detailed optic disc evaluation by an ophthalmologist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빅 데이터를 이용한 뚜렛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안과적 임상양상의 유병률 조사

        정도희(Do Hee Jung),이수정(Soo Jung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뚜렛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안과적 임상양상의 유병률을 빅 데이터를 이용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국내에서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뚜렛증후군 진단코드(F95.2)를 받은 18세 이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뚜렛증후군과 관련되었다고 보고된 안과적 임상 양상인 틱 장애, 눈꺼풀연축, 불수의적 주시 이상, 사시와 더불어 조사된 적이 없었던 약시와 굴절이상을 안과적 임상 코드로 선정하여 심평원에서 추출한 표본을 바탕으로 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3,643명의 뚜렛증후군 환자가 연구 대상으로 포함되었으며 남자가 2,777명, 여자가 866명이었고, 틱 장애는 3,643명(100%), 눈꺼풀연축 진단코드를 받은 환자 수는 48명(1.3%)이었으며 불수의적 주시 이상 진단코드는 9명(0.2%), 사시 진단 코드를 받은 환자수는 109명(3%)이었다. 또한, 약시 진단코드를 가진 환자수는 29명(0.8%)이었으며, 굴절이상 진단코드를 가진 환자수는 1,306명(35.8%)이었다. 결론: 뚜렛증후군은 여러 안과적 이상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신경정신과 의사와 안과의사의 협력과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phthalmic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Tourette syndrome using big data based on samples extra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Korean patients under the age of 18 years who had received a Tourette syndrome diagnostic code (F95.2) between January 1, 2012, and December 31, 2016. Ophthalmic manifestations reported to be related to Tourette syndrome such as tic disorder, blepharospasm, involuntary gaze abnormality, and strabismus were selected as ophthalmic clinical diagnostic codes; amblyopia and refractive errors that had never been investigated in conjunction with Tourette syndrome were also selected. Prevalence was investigated using big data. Results: A total of 3,643 Tourette syndrome patients (2,777 men and 866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a tic disorder diagnostic code was 3,643 (100%); blepharospasm, 48 (1.3%); involuntary gaze abnormalities, 9 (0.2%); and strabismus, 109 (3%). In addition,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an amblyopia diagnostic code was 29 (0.8%),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refractive errors code was 1,306 (35.8%). Conclusions: Tourette syndrome can be accompanied by several ophthalmic manifestations. Thus, cooperation between a neuropsychiatrist and an ophthalmologist, and regular ophthalmological examinations, are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고중식(Joong Sik Koh),김성준(Seong Joon Kim)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2

        목적: 시각 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안과에 내원 후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두통의 양상 및 안과 검진 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38.1세(12-71세)이며, 남자 9명, 여자 22명이고, 증상이 처음 시작된 평균 나이는 35.7세(12-64세)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시각 흐림(35.5%), 암점(22.6%), 섬광(22.6%)의 순으로 나타났다. 16명(51.6%)의 환자에서 5분 이내로 시각적 증상이 사라졌으며 13명(41.9%)에서 항상 두통 이전에 시각 증상이 나타났다. 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던 17명 중 미약한 소혈관 질환이 관찰된 3명을 제외한 14명은 정상소견이었다. 사시검사상 외사시가 있던 1명을 제외하고는 안과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시각 증상이 있던 편두통 환자 대부분에서 안과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각 흐림, 암점, 섬광 등 다양한 시각 증상으로 안과를 내원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편두통의 조기 진단에 안과 의사의 역할이 있음을 인지해야겠다 Purpose: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Korean ophthalmology clinics complaining of visual symptoms and were diagnosed with migraine.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by evaluating the patterns of visual symptoms, timing of headaches, and results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s in 31 migraine patients who were recruited from a neuro-ophthalmology clinic. Results: The patients consisted of 9 men and 22 women, with a mean age of 38.1 years (range, 12-71). The average age of symptom onset was 35.7 years (range, 12-64 years). The most common three visual symptoms were blurred vision (35.5%), blind spots (22.6%), and flashes of bright lights (22.6%). Visual symptoms disappeared within 5 minutes in 16 patients (51.6%) and 13 patients (41.9%) experienced visual symptoms before the onset of a headac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14 cases revealed normal results and the remaining three patients showed minimal small vessel disease. Except for one patient who had exotropia, there was no other specific abnormality observed upon ophthalmologic examinations. Conclusions: Most of the migraine patients who first visited an ophthalmology clinic with visual symptoms had no definite ocular abnormalities. Thus, ophthalmologists must be aware that migraines could first present with various visual symptoms in order to make an early diagnosis of migraine.

      • KCI등재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김청운(Chung Woon Kim),김승우(Seung Woo Kim),유재은(Jaeeun Yu),정승아(Seung Ah Chung)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간헐외사시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 안과의사인 군과 부모를 비롯한 비전문가인 군에서 간헐외사시 특징이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평균 5.9 ± 1.4세에 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의 간헐외사시로 진단받은 환아 2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간헐외사시 최초 발견자가 안과의사인 군과 비전문가인 군으로 나누어, 프리즘교대가림검사로 측정한 실제사시각과 반투명가리개로 가리고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전문의 2명이 평가한 사진사시각, 간헐외사시 분류, 융합조절, 입체시, 억제, 구면렌즈대응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원거리사시각이 25.8 ± 6.8 PD인 간헐외사시를 41명(18.8%)은 안과의사가, 177명(81.2%)은 비전문가가 처음 발견하였다. 사시안의 구면렌즈대응치가 안과의사군에서 비전문가군에 비해 근시인 것(-0.77 ± 1.59 디옵터[diopters, D] vs. -0.19 ± 1.48 D, p=0.03)을 제외하고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나이와 사시안의 구면렌즈대응치를 짝지은 39쌍을 비교하면, 안과의사군에서 원거리, 근거리 실제사시각이 비전문가군에 비해 작았지만(24.0 ± 6.8 PD vs. 28.5 ± 6.4 PD, 26.9 ± 6.6 PD vs. 31.0 ± 6.4 PD, p<0.01), 사진사시각을 비롯한 다른 특징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간헐외사시라도 사시각이 작거나 근시가 동반된 경우 안과의사가 검진을 통해 처음 발견하는 경우가 많았다.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features of intermittent exotropia (IXT) needing muscle surgery were different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and non-specialist-detected groups (including pare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218 children (mean age: 5.9 ± 1.4 years) with IXT of ≥ 20 prism diopters (P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gles of deviation were measured using the prism and alternate cover test and assessed by two ophthalmologists using photographs with a translucent occluder (photographic angle). The IXT subtype, fusional control, stereopsis, suppression, and spherical equivalent (SE) were compared betwee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and non-specialist-detected groups. Results: Mean 25.8 ± 6.8 PD of distant angle of IXT was first detected by the ophthalmologist in 41 patients (18.8%) and the non-specialists in 177 patients (81.2%). The deviated eye was more myopic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than non-specialist- detected group (-0.77 ± 1.59 diopters [D] vs. -0.19 ± 1.48 D, p = 0.03). There were no oth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 comparison of 39 age- and non-dominant eye SE-matched pairs demonstrated that the measured angles for distant and near fixation were smaller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than non-specialist-detected group (24.0 ± 6.8 PD vs. 28.5 ± 6.4 PD and 26.9 ± 6.6 PD vs. 31.0 ± 6.4 PD, respectively, p < 0.01), while the rema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hotographic angle, were similar. Conclusions: In cases with small angles of deviation or myopia, IXT with angles requiring surgical correction were commonly first detected by ophthalmologists during exam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