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행진(Haeng-Jin Lee),김현아(Hyuna Kim),김응수(Ungsoo Samuel Kim)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대한민국 전체 의료 기관의 약 90%가 도시에 분포하여 도시와 농촌 간 의료 자원 분포가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형평성있는 보건의료제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의료 기관 분포와 진료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과 보건 정책의 토대를 만들고자 안과 의료 기관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 지역별 안과의원,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안과 공중보건의, 군의료시설에서 안과 전문의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취약지역에서 안과 진료가 가능한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 및 취약 지역의 인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우리나라 안과의원 수는 2021년 2/4분기 기준으로 1,658개였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순으로 분포하였다. 안과전문의는 3,610명이었고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순으로 분포하였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 안과의원이 없는 시군구는 20개, 안과전문의가 없는 시군구는 13개였다. 안검진을 위해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 시간은 자차로 48.0 ± 38.1분, 대중교통으로는 75.1 ± 40.0분이었다. 해당 안과 진료의 빈곤 지역 내에서 총 인구는 558,336명이었으며 취약한 10세 이하의 소아는28,358명이었다. 결론: 안과 진료에 대한 취약 지역 현황을 바탕으로 지리적 접근성, 형평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보건의료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영유아와 노인 안질환에 대한 검진의 중요성을 감안하고 이를 보완해 나갈 중장기적인 대책 수립과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겠다. Purpose: Approximately 90% of the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are located in cities, so there is a disparity in medical resource distribu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order to establish an equal healthcare syst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treatments offered by medical institutions and to investigate access to these facil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medical institutions offering ophthalmic examinations for children in Korea. Method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gional eye clinics and ophthalmolog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public health offices, and military medical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cities and counties. In addition, the population status and ophthalmic facilities in vulnerable area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the second quarter of 2021, there were 1,658 regional eye clinics in Korea located in Seoul, Gyeonggi, Busan, and Daegu, respectively. There were a total of 3,610 ophthalmologists in Seoul, Gyeonggi, Busan, and Daegu, respectively. Among the 250 counties, 20 did not have eye clinics while 13 did not have an ophthalmologist. The average time required to reach the closest eye examination center was 48.0 ± 38.1 minutes by car and 75.1 ± 40.0 minutes by public transportation. The total population in vulnerable areas was 558,336, including 28,358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year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vulnerable areas for eye examin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with improved accessibility, equity, and efficienc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ophthalmic examinations in children and the elderly.
진기원(Ki Won Jin),이가영(Ka Young Yi)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비의료종사자와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저시력에 대한 이해 정도와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의료종사자 137명(저시력 환자 25명, 비저시력 환자 38명, 정상대조군 74명), 의료종사자 167명(안과의사 51명, 비안과 의사 56명, 간호사 24명, 의료기사 36명), 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저시력의 정의(3문항), 저시력 환자의 보조(3문항), 저시력 환자의 불편 사항에 대한 인식(3문항), 보조기구에 대한 이해(1문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안과의사를 제외한 의료종사자들의 저시력의 이해도와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부분 비슷했으며, 전반적으로 저시력에 대해 낮은 인지 비율과 이해도를 보였다. 안과의사는 다른 의료종사자들에 비해 높은 저시력에 대한 이해도와 재활에 대한 인식정도를 보였지만, 저시력 보조기구의 이해도는 다른 의료종사자들과 차이가 없었다. 저시력 환자들은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대중교통과 야외활동에서 가장 큰 불편을 느꼈다. 결론: 안과의사들은 높은 저시력에 대한 이해도와 재활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보였지만 저시력 보조기구에 대한 이해도는 낮아, 이에 대한 안과의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시력 재활에 대한 인식 고양을 위해 홍보와 교육 캠페인이 필요하며, 저시력 환자를 위한 주변환경의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Purpose: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nd awarenes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of non-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using a survey. Methods: The present survey included 304 individuals; 137 non-health care providers (25 low vision patients, 38 non-low vision patients, and 74 normal controls) and 167 health care providers (51 ophthalmologists, 56 non-ophthalmic physicians, 24 nurses, and 36 medical technician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pertaining to the definition of low vision (3 items), assistance of low vision patients (3 items), awareness of the difficulties of low vision patients in daily life (3 items), and the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ids (1 item).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except ophthalmologists, were unaware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e perception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between non-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except ophthalmologists were not different. The ophthalmologist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nd awareness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an other health care provider group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regarding low vision aids. Low vision patients showed the lowest rate of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around them and most experienced the greatest difficulties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outside activities. Conclusions: Although ophthalmologist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rehabilitation, their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ids was poor. Thus,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mprove the ophthalmologists’ understanding regarding low vision care. To enhance low vision rehabilitation awareness, promotion of low vision services and education campaigns is necessary and a strategy concerning social welfare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low vision patients should be implemented.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인식 변화: 2007년과 2017년의 비교 분석
전제휘,조은영,손준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8
Purpose: With regard to the process by which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choose medical care,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heir perceptions changed after the department name was changed to oculoplasty. The study involv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a 10-year period from 2007–2017, to assess whether the name change led to better medical service. Methods: Questionnaires, which were the same as those distributed in 2007, were distributed to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surgery for epiblepharon and ptosis. The results from 100 guardian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collected in 2007. Results: The average age of respondents was 38.1 years, and most respondents were mothers. Most had become aware of the primary symptoms after medical examinations of infants and school eyesight tests. The ophthalmologist had the most direct effect on the decision for oculoplastic surgery. With regard to economic status, most respondents were middle-class. Most had a college degree or higher,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educational levels in 2007. Conclusions: Overall, guardians’ perceptions had improved due to continuous education about oculoplasty, including notification of the name change to the Department of Oculoplasty,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fforts, such as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medical consultations, to encourage patient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when selecting medical care. 목적: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의료 선택 과정에 대한 10년 만의 인식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성형안과로의 명칭 변경 이후의 인식 개선 여부를 평가하고,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덧눈꺼풀 및 눈꺼풀처짐 수술을 위해 입원한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에게 2007년 연구와 동일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완벽하게 설문조사를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과거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보호자의 평균연령은 38.1세였고 대부분은 어머니였다. 영유아 검진 및 학교 시력 검사를 통하여 주 증상이 처음 발견된 경우, 안과의사가 수술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경우, 그리고 성형안과의 존재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경우가 과거 연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경제적인 상태는 중, 최종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2007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 지난 10년 동안 안과의사를 비롯한 1차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한 성형안과적 진단, 치료 및 수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안성형에서 성형안과로 개명하는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가 비교적 잘 이루어져 성형안과 분야에 대한 생소함을 해소하고 적절한 인식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김성호(Seong Ho Kim),박정현(Jung Hyun Park),유나경(Na-Kyung Ryoo),공민귀(Mingui Kong),송수정(Su Jeong Song),함돈일(Don Il Ham),한국포도막학회(Korean Uveitis Society )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의 포도막염에 대한 진료와 치료 경향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내 포도막염의 실제 진료와 치료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11월 한국포도막학회에서 회원 300명에게 총 11문항의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다지 선다형 또는 양자택일형의 문항에 대한 답변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응답률은 59.7% (179명)였고, 응답자 중 망막 세부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92.7%로 가장 많았고,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에서외래 진료 환자 중 포도막염 환자의 비율은 10% 미만이라고 하였다(66.9%).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추가로 시행하는 영상검사로는 안저 사진 촬영 및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83.8% vs. 73.2%). 전신검사가 필요한 경우 시행하는 항목으로는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순이었다.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의 경우 테논낭하주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74.9%), 전신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 사용 시 대다수 0.5-1 mg/kg으로 시작하였다(83.7%). 스테로이드 불응성 포도막염 환자의 치료 시 2차 약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을 선호하였다(36.2%). 결론: 본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해 실제 국내 포도막염 환자들에 대한 진단과 치료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한점이있으나, 한국포도막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시행한 첫 포도막염 실제 진단과 치료 행태 조사라는 연구 의의가 있겠다.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a 2021 questionnaire survey assessing the curr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conducted by the Korean Uveitis Society (KUS). Method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atment and trends for uveitis in Korea, a total of 11 questions were surveyed in November 2021 among 300 members of the KUS. This survey comprised 11 multiple choice and dichotomy questions. Results: Of 300 participants, 179 responded, and the response rate was 59.7%. Among the respondents, 92.7% were retina specialists and 66.9% reported less than 10% of uveitis patients among outpatients. As imaging tests performed in patients with anterior uveitis, fundus phot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typically performed (83.8% vs. 73.2%, respectively). The frequently performed blood tests for general screening were complete blood count, blood chemistry tes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89.9% vs. 86.2% vs. 85.5% vs. 82.4%, respectively). Regarding local steroid treatment, subtenon injection was the most preferred (74.9%). Regarding systemic oral corticosteroids, 83.7% of respondents commonly used initial doses of 0.5-1 mg/kg. Cyclosporine, methotrexate, mycophenolate mofetil, and azathioprine were used for steroid-refractory uveitis patients in that order (36.2% vs. 34.8% vs. 21.7% vs. 7.3%, respectively). Concerning the currently used biologic agent, adalimumab was the most preferred, at 96.7%. Conclusions: This survey highlights the rec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in Korea.
배주영,이종혁,백세현 대한안과학회 2004 대한안과학회지 Vol.45 No.2
Purpose: To study profiles of inpatients and eye problems evaluated and managed by the ophthalmology consultation service of a large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Methods: We evaluated one thousand fourteen patients from April 2002 through December 2002. We recorded demographic information, hospitalization information, and eye exa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ason for consultation, type of consultation, ophthalmologic diagnosis. Results: Approximately half the patients were male. Patients in 7th decade were 199. Endocrinologic devision of internal medicine services accounted for 19.0% of all consultations. Twenty-two percent of all consultations was to rule out diabetic retinopathy. We recorded 64 primary ophthalmologic diagnoses and 40 secondary ophthalmologic diagnoses. The top five common primary ophthalmologic diagnoses were diabetic retinopathy, conjunctivitis, cataract, refractive error and dry eye. Cataract was the most common secondary ophthalmologic diagnosis. There were 266 primary hospital discharge diagnoses. The most common primary hospital discharge diagnosis was diabetes mellitus. Conclusions:. Many people requiring examina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had no history of previous ophthalmic examination. Therefore,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s needed. This study profiled the typical patients and eye problems seen by an ophthalmologist when inpatient consultation is requested. We hope that this report provides a basic source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nsultation services in residency training programs. 목적 : 대학병원의 안과 진료 의뢰된 입원 환자의 안과적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2년 4월부터 12월까지 본원에 입원 중 안과 진료 의뢰된 1014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안과 진단, 의뢰과 진단을 기록하였다. 결과 : 남자가 501명, 60대가 199명이었다. 가장 많이 의뢰한 과는 내분비내과였고 가장 많은 의뢰 이유는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선별 검사였다. 64종류의 1차적 안과 진단과 40종류의 2차적 안과 진단이 기록되었다. 1차적 안과 진단은 당뇨망막병증, 결막염, 백내장, 굴절이상, 건성안 등이었다. 가장 흔한 2차적 안과 진단은 백내장이었다. 의뢰과의 1차적 진단은 266종류이고 가장 흔한 진단은 당뇨였다. 결론 : 당뇨망막병증 선별 검사를 의뢰받은 환자 중 입원 후 처음 안과 진료를 받은 환자들이 많았으며 당뇨망막병증 선별 검사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입원 환자의 안과 진료가 의뢰되었을 때 안과 의사가 접할 수 있는 전형적 환자 유형과 그들의 안과적 문제에 대한 자료는 안과 전공의 교육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윤한결(Han Gyul Yoon),김대현(Dae H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11
목적: 두개강내 동맥류 환자에서 발생한 신경안과 진단 및 임상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두개강내 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 중에서 신경안과 검사가 시행된 환자 33명을 대상 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영상검사 및 신경외과, 신경안과 의무기록을 통해 안과에서 동맥류를 발견한 빈도, 신경안과 진단및 예후, 동맥류의 위치, 동맥류 파열 여부 등을 알아보았고 터슨증후군이 동반된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도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33명에서 2명만이 안과에서 두개강내 동맥류를 먼저 발견하였고, 대부분의 환자 31명(94%)은 신경외과에서 동맥류를 발견하였다. 신경안과 진단으로는 3번뇌신경마비가 10명(30%)으로 가장 많았고 핵간안근마비, 시야결손, 시신경위축, 6번뇌신경마비, 안구진탕 등이 발생하였다. 동맥류 위치는 전교통동맥이 13예(39%)로 가장 많았고 12예, 후교통동맥 5예 순이었다. 전체 33명 중 10명 에서 터슨증후군이 동반되었고, 최종 관찰 시 6명(60%)에서 인지장애, 보행장애 등의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하였다. 결론: 두개강내 동맥류 환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신경안과 질환은 3번뇌신경마비였다. 신경안과 질환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였 으나, 터슨증후군이 동반된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는 좋지 않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neuro-ophthalmic diagnosi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intracranial aneurysm.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of 3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ntracranial aneurysm and underwent neuro-ophthalmic examination from April 2008 to December 2016. Frequency of the first diagnosis of intracranial aneurysm in ophthalmology, neuro-ophthalmic diagnosis, loc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examin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rupture, and neurologic prognosis of Terson’s syndrome patients were analyzed by image examination, neurosurgery, and ophthalmology chart review. Results: Of the 33 patients, most patients (n = 31, 94%) were diagnosed with intracranial aneurysm at the neurosurgical department and only 2 patients were diagnosed initially at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Causes and association were: Terson’s syndrome (n = 10, 30%), third cranial nerve palsy (n = 10, 30%), internclear ophthalmoplegia (n = 4, 12%), visual field defect (n = 3, 9%), optic atrophy (n = 3, 9%), sixth cranial nerve palsy (n = 2, 6%), and nystagmus (n = 1, 3%). The loc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wer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n = 13, 39%), medial communicating artery (n = 12, 36%), and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n = 5, 15%). Ten of 33 patients had Terson’s syndrome, and 6 patients (60%) with Terson’s syndrome had a permanent neurological disorder such as agnosia, gait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Conclusions: Third cranial nerve palsy was the most common neuro-ophthalmic disease in patients presenting with intracranial aneurysm. The neuro-ophthalmic prognoses for those diseases were relatively good, but, if Terson’s syndrome was present, neurological disorders (agnosia, gait disorder, conduct disorder) were more likely to remain after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11):1276-1281
3차 의뢰기관 응급실에 내원한 신경안과 의뢰 환자의 임상 양상
곽지훈,문예지,이병주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1
목적: 국내 3차 의뢰기관 응급실에서 신경안과로 의뢰된 환자의 임상 양상과 진단 및 치료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0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신경안과로 의뢰된 205명에 대한 후향적 의무 기록분석을 시행하였다. 응급실 안과 전공의의 초기 진단과 신경안과 자문의의 최종 진단을 비교하였으며 증상, 응급실 진료 과정, 진단및 치료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증상 발생일로부터 응급실 내원까지 걸린 시간의 중위값은 3일이었으며 주 증상은 복시(49.1%), 시력저하 및 시야장애 등 시기능장애(38.9%)가 대다수였다. 복시로 내원한 환자의 진단은 단독 4번(37.5%), 6번(22.9%), 3번 뇌신경마비(18.4%), 핵상마비(9.2%) 순, 시기능장애로 내원한 경우 진단은 시신경염(20.5%), 허혈시신경병증(17.1%), 압박시신경병증(8.0%)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안과외 타과와의 협진이 필요하였던 환자는 121명(59.0%)이었으며, 다빈도 협진과는 신경과, 신경외과, 내과 순이었다.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75명(36.6%)이었다. 응급실 초기 진료 후 신경안과 자문의 진료 시 진단명이 바뀌는 경우는 38명(18.5%)이었다. 결론: 응급실로 의뢰된 신경안과 환자의 경우 다학제적인 포괄적 평가가 필요한 경우가 과반수였으며 1/3 이상에서 입원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태였다. Purpose: We report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es, and treatments of patients with neuro-ophthalmological diseases presenting to a tertiary referral center emergency room (ER) of South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205 patients who visited the ER of the Asan Medical Center and then were referred to our neuro-ophthalmology department from May 2020 to April 2022. The initial diagnoses of ophthalmology residents were compared to the final diagnoses of neuro-ophthalmologists. We describe the symptoms, diagnoses, and treatments. Results: The median time from the onset of symptoms to the ER visit was 3 days; diplopia (49.1%) and vision loss/a visual field defect (38.9%) were the chief complaints. The most common causes of diplopia were isolated cranial nerve 4 (37.5%), 6 (22.9%), and 3 palsy (18.4%) and supranuclear palsy (9.2%). In patients with vision loss/visual field defect, the most common causes were optic (20.5%), ischemic (17.1%), and compressive (8.0%) optic neuropathies. For 121 cases (59.0%), multidisciplinary consultations with the departments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were scheduled. After initial management in the ER, 38 diagnoses (18.5%) changed after evaluation by neuro-ophthalmologists. Conclusions: Over half of all neuro-ophthalmology patients presenting to an ER required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evaluation and over a third required inpatient treatment.
이관복(Kwan Bok Lee),김민경(Min Kyung Kim),김미진(Mi Jin Kim),안상일(Sang Il Ahn),황영훈(Young Hoon Hwa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5
목적: 녹내장 환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녹내장을 처음 확진 받은 환자 484명(여 223명, 남 261명, 평균 나이 55.3세)을 대상으로 어떤 경로로 녹내장을 진단 받았는지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진단 경로는 1) 녹내장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안압 상승 관련 통증 또는 시각 증상이 녹내장 외에 다른 이상에 의해서 설명되지 않을 때), 2) 다른 증상 때문에 안과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발견된 경우, 3)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4) 녹내장 가족력 때문에 본인이 검사를 원한 경우로 나누었고,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1) 시신경유두 이상, 2) 높은 안압, 3) 두 가지 모두로 구분하였다. 결과: 녹내장 진단경로는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 11.8%, 안과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 74.2%,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12.4%, 본인이 원해서 발견된 경우 1.7%의 분포를 보였다.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시신경유두 이상 84.2%, 높은 안압 15.8%였고, 그중 7.4%는 시신경유두 이상과 높은 안압이 동반된 경우였다. 결론: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을 통한 시신경유두검사였다. 녹내장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 정기적인 안과진료를 통한 시신경유두의 자세한 검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vents leading to a diagnosis of glaucoma. Methods: Medical records of 484 subjects (223 women, 261 men, mean age, 55.3 years) who visited a glaucoma clinic without previous glaucoma diagnosis were reviewed. Events were classified into: 1) glaucoma-related symptoms, such as ocular pain accompanied by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or visual disturbance without other ocular abnormalities except glaucoma, 2) ocular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for other symptoms, 3) routine health examination, or 4) patient request due to family history of glaucoma. Ocular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and led to detailed glaucoma assessment were classified as: 1) an optic disc abnormality, 2) high intraocular pressure, or 3) both. Results: Events that led to the diagnosis of glaucoma were glaucoma-related symptoms in 11.8%,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in 74.2%,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12.4%, and family history in 1.7% of subjects.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in ocular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s were an optic disc abnormality in 84.2% and high intraocular pressure in 15.8%, both of these findings were found in 7.4% of subjects. Conclusions: The most common path to glaucoma diagnosis was optic disc assessment by an ophthalmologist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of glaucoma, regular detailed optic disc evaluation by an ophthalmologist should be emphasized.
편측 정상안압녹내장의 반대편 눈과 정상인의 눈과의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 비교
주진호(Jin-Ho Joo),최정한(Jeong Han Choi),김태기(Tae Gi Kim),강자헌(Jaheon Kang)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8
목적: 편측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녹내장안과 반대편안 그리고 정상인의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을 비교하고,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와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를 내원한 환자 중 편측 정상안압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녹내장안과 반대안의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비슷한 연령대 및 성별의 정상인 23명 46안을 대상으로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 림을 측정하여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의 녹내장안과 반대안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 23명에서 빛간섭단층촬영 기를 이용해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의 평균 값은 녹내장안에서 1.17± 0.19/15.57 ± 8.16, 반대안에서 1.10 ± 0.10/8.26 ± 5.20로 기울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 =0.109), 비틀림의 경우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 =0.001). 대조군 23명 46안의 평균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은 1.11 ± 0.08/3.28 ± 2.69로 편측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반대안과 비교하여 기울기는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나( p =0.601), 비틀림의 경우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 <0.001).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는 녹내장안에서 71.91 μm, 반대안에서 115.83 μm로 정상안보다 각각 49.35 μm/9.70 μm 감소되어 있었고 두 그룹 간의 두께 감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0.01, p <0.01). 또한 비틀림 정도에 따라서 비틀림과 같은 방향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감소는 유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 =0.024). 결론: 시신경 유두 비틀림은 편측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반대안과 정상안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비틀림 정도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감소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편측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반대안에서도 시신경 유두의 구조적 변화 로 녹내장이 진행할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ptic disc tilt and torsion of glaucomatous and fellow eyes of unilateral nor-mal-tension glaucoma (NTG) patients and normal. Methods: We measured optic disc tilt and torsion of 23 unilateral NTG patients and 23 normal controls by analyzing fundus pho-tography and compared 3 groups. We also measure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throug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23 unilateral NTG patients and compared the findings with those of normal eyes. Results: The mean values of optic disc tilt ratio and torsion degree in glaucomatous eyes were 1.17 ± 0.19˚ and 15.57 ± 8.16˚, re-spectively, while those in fellow eyes were 1.10 ± 0.10˚ and 8.26 ± 5.2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lt ratio (p = 0.109),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rsion degree (p = 0.001). The mean values of optic disc tilt ratio and optic disc torsion in the controls were 1.11 ± 0.07˚ and 3.25 ± 2.69˚, respectively.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c disc tilt ratio (p = 0.601),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c disc torsion between fellow eyes and controls (p < 0.001). The RNFL thickness of the same torsion direction in unilateral NTG eyes was measured to be 49.35 ± 17.18 µm smaller than the normal value (mean RNFL thickness: 71.91 ± 16.92 µm). Reduced RNFL thickness of the same torsion direction between glaucomatous eyes and fellow ey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0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NF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c torsion (p = 0.024). Conclusions: The optic disc tor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aucomatous and fellow eyes in unilateral NTG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lso, the RNFL thicknes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ptic disc torsion. Therefore, fellow eyes of unilateral NTG patients need to be carefully monitored for the progression of glaucoma.
강정우,배선하,문남주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2
Purpose: We used a questionnaire to explore perceptions and clinical practice patterns of Korean pediatric ophthalmologists in terms of amblyopia. Method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8, we conducted a web-based questionnaire survey of 99 specialist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who operated ophthalmology clinics in Korea. We received 56 responses (56.57%)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specialist age was 44.0 ± 9.7 years. The mean age of treated amblyopia patients was 3 to 5 years (69.6%); the most common amblyopia was refractive anisometropic amblyopia (75.0%). On average, treatment commenced at 4 years of age (53.6%); child and parent co-operation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treatment success (46.4%). The preferred test was cycloplegic refraction (96.4%) and the preferred treatment occlusion therapy (100%) with glasses correction (98.2%). Occlusion therapy was most commonly performed for 2 hours/day (69.6%); the minimum age for eyeglasses prescription was 2.10 ± 1.18 years. Only three respondents (5.36%) prescribed contact lenses and only one (1.79%) performed refractive surgery. Conclusions: In Korea, amblyopia treatment is based on occlusion therapy and glasses correction. However, the time of treatment commencement, the duration of occlusion therapy, and the glasses used for correction vari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guidelines for amblyopia treatment; these should reflect current medical conditions. 목적: 국내 사시소아안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약시환아 진료 실태와 굴절부등약시 환아의 임상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9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국내에서 안과를 개원하고 있거나, 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한국사시소아안과학회 소속의 전문의 중 전자우편 주소가 확보된 99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응답자 56명(응답률 56.57%)의 설문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44.0 ± 9.7세로, 진료하는 약시 환아의 주된 평균연령층은 3-5세(69.6%), 약시의 원인은 굴절부등약시(75.0%)가 가장 많았다. 평균적으로 치료를 받기 시작하는 나이는 4세(53.6%)경이었으며, 치료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와 환아의 협조를 꼽았다(46.4%). 반드시 시행하는 검사는 조절마비굴절검사(96.4%)였으며, 선호하는 치료로는 가림치료(100%), 안경교정(98.2%)을 응답하였다. 가림치료는 하루 2시간(69.6%) 가림을 가장 흔하게 시행하고 있으며, 안경처방을 시작하는 최소 연령은 평균 2.10 ± 1.18세였다. 조사 대상자 중 콘택트렌즈는 3명(5.36%), 굴절교정수술은 1명(1.79%)만 시행한다고 답하였다. 결론: 국내 임상에서 소아 약시 환자에 대한 치료는 가림치료와 안경교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치료 시작시기, 가림치료 시간이나 안경교정 기준에 대해서는 각 임상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의료현실을 반영한 약시환아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