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上部胃腸管出血과 下部腸管出血에서의 BUN/Creatinine Ratio의 比較
鄭賢溶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0 충남의대잡지 Vol.17 No.1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N/creatinine ratio and site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high BUN level in gastrointestinal bleeding. I reviewed 228 cases (UGI 189 cases, LGI 39 cases) of acute gastrointestinal hemorrhage. The results were follows: 1. In the sites of bleeding, upper parts were involved more 5 times than lower parts. 2. The causes of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were gastric ulcer(29.6%), esophageal varix(24.3%), hemorrhage gastritis(14.3%), duodenal ulcer(11.1%), stomach cancer(8.5%), Mallory-Weiss syndrome(4.8%) and others(7.4%). 3. The causes of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were colon cancer(13%), ulcerative colitis(10.3%), hemorrhoid(10.3%), intestinal tuberculosis(7.6%), malignant lymphoma(5.1%), diverticulitis(5.1%), colon polyp(5.1%), typhoid enteritis(5.1%), bacillary dysentery(5.1%), hemorrhagic colitis(5.1%), vascular malformation(5.1%), others(10.3%) and unknown causes(13%). 4. The BUN/creatinine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 in UGI bleeding than LGI bleeding at same hemoglobin levels. 5. High level of BUN/creatinine ratio(above 20) were noticed in 64% of UGI bleeding and 2.6% of LGI bleeding(1/39 cases). 6. The mechanism of increased BUN levels in gastrointestinal bleeding was considered chiefly high urea formation in liver by intestinal nitrogen overload.
정현용 대전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논문집 Vol.2 No.2
이 연구는 COVID-19 이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의 인식, 실태, 역량,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대비한 원격교육의 실태와 요구 등을 조사하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원격교육을 안착시키기 위한 개선 방향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은 충청남도 관내 초등학생 197명이고,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인터넷을 통한 전자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원격교육 인식은 평균 3.05점, 원격교육 실태는 평균 3.02점, 원격교육 역량은 평균 3.28점, 고등학생의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고려한 원격교육의 실태 및 요구는 평균 3.1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부모 대상의 연수가 필요하고, 셋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을 위한 실질적인 연수가 필요하고, 넷째, 초등학생 대상의 원격교육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첫째, 교사와 학부모 대상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고, 둘째, 원격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사 동아리의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
Design Optimization of Hybrid-Integrated 20-Gb/s Optical Receivers
정현용,연진성,최우영 대한전자공학회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4
This paper presents a 20-Gb/s optical receiver circuit fabricated with standard 65-nm CMOS technology. Our receiver circuits ar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for parasitic inductance and capacitance due to bonding wires connecting the photodetector and the circuit realized separately. Such parasitic inductance and capacitance usually disturb the high-speed performance but, with careful circuit design, we achieve optimized wide and flat response. The receiver circuit is composed of a transimpedance amplifier (TIA) with a DC-balancing buffer, a post amplifier (PA), and an output buffer. The TIA is designed in the shunt-feedback configuration with inductive peaking. The PA is composed of a 6-stage differential amplifier having interleaved active feedback. The receiver circuit is mounted on a FR4 PCB and wire-bonded to an equivalent circuit that emulates a photodetector. The measured transimpedance gain and 3-dB bandwidth of our optical receiver circuit is 84 dBΩ and 12 GHz, respectively. 20-Gb/s 231−1 electrical pseudo-random bit sequence data are successfully received with the bit-error rate less than 10−12. The receiver circuit has chip area of 0.5 mm × 0.44 mm and it consumes excluding the output buffer 84 mW with 1.2-V supply voltage.
정현용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2 社會科學論文集 Vol.- No.-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status of college life of first-year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tending to promote understandingand adaptation and enhance welfare and campus life guidance for students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andprograms to encourage career exploration and self-development. A total of 543(27.6%) out of 1,966 first-year students from A university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Firstly, 57.7% of first-year students had chosen A university as the second priority, and they obtainedadmission information from the university website. Secondly, 30.5% of first-year students have worked as part-time workers and answered that the most crucial thing in college life is managing academic performance and GPA. Thirdly, it revealed that the impression for a university and pride from first-year students was in the early 40~60%, and the satisfaction of supporting services was in the early20~30%. Fourthly, it turned out that they are facing various types of difficulties in their college life due to COVID-19, and 20% to 30% of students have thought of taking a year off, dropping out, and getting transferred. This reality suggests that academic and career-related counseling fromsupervising professors is required to help them settle down on campus inthe early stages of college life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counselingcenter to implement a wide range of activities for enhancing mental healthand campus life
정현용,이대경,John Losey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reduction rate of a species that has a high number of habitats and populations.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insufficient data present to cover the entire habitat, the inconsistency of study areas and investigation efforts between monitoring programs is a major obstacle to quantifying long-term population decline. To overcome the bias from (1) data insufficiency and (2) inconsistency derived from compiling various investigative sources, including citizen science projects, this study proposes a procedure to estimate the reduction rate using machine learning. Afte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occupancy every year through a fitted model in all habitats where target species have been recorded, a trend line is formulated and used for approximating reduction. By the newly described oversampling approach, including indirect occupancy data points, we were able to secure about three times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direct occupancy data points. Compared to the model that learned only the direct occupancy data set, the performance matrix of the model utilizing the new oversampling approach was about 10% higher overall. As a result, the estimated reduction rate of Coccinella novemnotata was 31.2% over the past decade, which corresponds to the VU status in the IUCN Red List.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method showed a lower degree of fluctuation in approximations (within 13%) than the relative abundance method (within 42%) and the segmented linear extrapolation method (within 55%), when we integrated 10% of fake information into the data set.
위해성기반 오염부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체계 및 이를 위한 위해저감기술의 활용
정현용,김상현,이호섭,남경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0 지하수토양환경 Vol.25 No.3
오염부지 관리 기조가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우리나라에 위해성평가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이를오염현장에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체계와 관련 기술들은 아직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정화곤란부지로 분류가 되는 오염부지의 정화 및 관리와 그러한 부지에 적용될 수 있는 위해저감기술들에 대한 기술적,사회적 논의와 합의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오염토양의 정화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우리나라의 토양환경정책이 오염부지의 관점에서 그와 연결된 수용체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위해성기반 오염부지관리 의사결정체계를 제안하고, 그러한 관리체계가 현장에서 적절히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위해저감기술들을 조사, 분류하여 위해저감 방식에 따른 위해저감기술의 활용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현용 한국경제연구원 2008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19
1. 현황 및 문제점 노동규제는 노동시장에서의 경쟁규칙이자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당사자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룰이다. 모든 조정의 룰에 공정성과 신뢰성이 전제되어야 하듯 노동시장은 당사자들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노동규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동규제는 노동시장의 내외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급격한 변화는 물론 공정한 경쟁규칙으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노동규제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채용과 해고의 자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측면이 많다. 고용명령과 같이 개별기업의 채용 결정에 국가가 직접 개입하는가 하면 해고의 요건과 절차도 매우 까다롭게 규정되어 있어 기업으로 하여금 필요한 만큼의 노동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둘째, 근로관계규제가 현실의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근로시간의 특례업종을 사전적으로 제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근로자의 근로관계 결정에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도록 하고 있어 현실 수요의 신속한 반영이 곤란하다. ‘근로자 보호’의 이상을 과도하게 규정하고 있어 오히려 보호대상 근로자의 고용기반을 약화시키는 경우도 많다. 셋째, 임금 결정구조가 복잡하여 직접적으로는 성과급과 같은 유연화된 임금제도의 도입을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초과근로, 휴일근로와 같은 근로시간의 유연한 활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도덕적 해이, 시간외 근무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임금체계의 변경 절차가 복잡한 것도 유연한 임금결정을 가로막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직업훈련 규제의 인정범위나 실시기관이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운영의 신축성이 결여되어 있다. 기업에 필요한 유연성을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근로자 특히 고령자나 여성, 비정규직 등 우리 사회의 소위 ‘나쁜 일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근로자에 대하여 기업 수요에 맞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주어져야 한다. 근로자들에 대하여 단순한 직장안정성(job security)이 아닌 고용안정성(employment security)을 제고해 주기 위해서는 직업훈련 규제의 정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노사관계규제의 내용과 수준이 국제기준에 훨씬 못 미치고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을 일관된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할 수 있다. 2. 정책 개선방안 첫째, 원칙적으로 채용과 해고의 결정은 기업이 인력수요에 맞추어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는 기업으로 하여금 불필요한 인력을 채용하거나 고용을 유지하도록 강제하는 대신 기업이 스스로의 필요에 따라 고용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근로자들에 대해서는 변화된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여 신속히 노동시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을 높여 주는 데 주력해야 한다. 둘째, 근로・휴게시간이나 근로방식 등의 근로관계는 사용자와 개별 근로자가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협의하여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로관계의 자율적 결정이 곤란할 경우 기업은 기능적 유연화보다는 고용조정이나 비정규직의 활용과 같은 외부수량적 유연성의 확보에 과도하게 집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