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초기 『매일신보』의 미디어적 변모와 ‘소설적 실감’의 형성

        송민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7

        This study focuses on the renovation of “Maeilshinbo(每日申報)” in 1912 in order to improve a slump in sales in meantimes. This renovation meant that “Maeilshinbo(每日申報)” transformed to the modern commercial media.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how the newspaper article's writing transformed and what relationship it had with writing of Shinsoseol(esp. Yi, hae-jo(李海朝)'s) with a point of view of the reality and the fiction. In March 1, 1912, “Maeilshinbo(每日申報)” separated the paper in two ways. 1st and 2nd pages were to contain some articles about politics and current affairs wi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3rd and 4th pages were to contain some article about social affairs and cultural affairs with only Korean language. This, however, didn't just meant the change in orthography. Especially, in 3rd social page, article subject and writing style were to turn into something sensitive with arousing reader's interest and describing the circumstantial and emotional situation actually. Clearly this newspaper writing style changing aimed to literary one, Shinsoseol of Yi, hae-jo(李海朝) as the reporter of “Maeilshinbo(每日申報)”, most influencing novelist in while. By the way, Yi, hae-jo himself became in anguish confronting with the media transformation of “Maeilshinbo(每日申報)” writing. He should distinguish the original value of his Shinsoseol against the newspaper writing with fictional realization.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Yi, hae-jo(李海朝)'s endeavor as such. In the conclusion, he couldn't help failing to distinguish the originality of Shinsoseol writing from the realistic writing of newspaper. His contradiction couldn't be solved, if the modern novel would not appeared with the aesthetic value passing over the level of the reality and fiction. 본고는 1912년 『매일신보』가 그동안의 판매부진을 깨고자 단행했던 쇄신안에 주목하여, 그것이 일종의 상업적인 미디어로서의 변모과정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신문 기사의 글쓰기 방식과 소설의 글쓰기가 사실성과 허구성의 차원에서 어떻게 『매일신보』의 지면 내에서 새롭게 배치되었으며 상호작용하였는가 하는 사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매일신보』는 기존의 지면을 내용 상 그리고 언어표기 상 분할하여 1, 2면의 정치, 시사 기사들은 국한문혼용으로 표기하여 여전히 지식계층을 위한 일제의 식민 통치 이념을 담아내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고, 3, 4면의 사회면(문화면)과 소설은 순한글로 대중적인 흥미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언어적이고 내용적인 차원에서의 지면을 분할한 정책은 『매일신보』로 하여금 고도의 정치적인 이념의 전파수단으로서의 기능과 대중지향적이고 상업적인 오락기능을 동시에 갖는 근대 미디어로서 자리매김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 속에서 당시 『매일신보』 사회면의 기사들은 주제적인 선정성이라든가 실감적인 묘사 등 과거 신문 기사의 글쓰기 경향을 일정 부분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특히 본고에서는 당시의 신문 사회면의 기사 글쓰기가 보여주는 묘사적 서술, 대화체의 도입 등 기존 신문 기사 글쓰기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글쓰기적 변화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그 변화의 지향점에 바로 이해조 혹은 여타의 작가들의 신소설 글쓰기가 일정 부분 전범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당시 『매일신보』 사회면의 기사들은 이렇게 소재나 묘사의 수준에 있어서 당시의 신소설에 방불하는 수준으로 변모해가고 있으면서도 신문이라는 공적 매체의 특성에 따라 ‘사실’이라는 영역을 온전히 점유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매일신보』의 변화는 당시 『매일신보』에 지속적으로 소설을 연재하고 있었던 이해조의 소설관과 연동되는 바가 있다. 이해조는 나날이 역동화하는 ‘사실’을 묘사적인 기법으로 다루어내는 신문 기사와 차별되는 ‘소설’만의 독자성을 변별해내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해조가 소설을 연재하기 전과 후에 간간히 드러내는 ‘소설’에 대한 개념 규정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가 하는 사실을 살핌으로써 이러한 이해조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해 보고자 했다. 물론 이해조의 이러한 고민은 근대소설이 등장하지 않고서는 결코 해결되지 않는 국면이 된다. 신문 기사와 구분되는 소설의 독자적인 미학을 추출해내기에 이해조가 갖고 있던 소설관이 지나치게 단순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이해조의 소설관의 한계이자 신소설 양식의 한계이며 근대소설의 도래를 예비하는 대목이기도 한 것이다.

      • KCI등재

        트위터를 활용한 저출산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연결망 분석

        송민호,이수범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of messages related to low fertility on Twitter to contribute to policy-making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selected top 110 words from 11,984 messages, which are posted on Twitter from 16 October 2015 to 17 November 2017, based on the result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se top words were investigat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se examinations, the majority of tweets point out that on own’s choice is the main reason for low fertility. Meanwhile, the quantity of tweets about childbirth promoting policies is significantly small.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top 110 words are divided into eight groups. Respective groups of words represent various issues lead to low fertility, such as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e environment, changed world view, avoid getting married, and concerns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mote childbirth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추출한 저출산 관련 메시지의 의미연결망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저출산 관련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2015년 10월 16일부터 2017년 11월 15일까지 트위터에 등록된 11,984건의 저출산 관련 메시지를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위 빈출 단어 110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위 110개의 단어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저출산 상황이 개인의 자발적 선택의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출산 장려 정책과 관련한 단어의 언급은 상당히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커 분석을 통해 각 단어 간의 의미 연결 구조를 살펴본 결과, 상위 110개의 단어는 총 8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각 그룹별 단어는 저출산 현황에 대한 자신의 주변 상황 및 인식, 가치관의 변화, 결혼과 임신, 출산에 이르는 다양한 걱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 KCI등재

        開化啓蒙時代 ‘演說’과 ‘講演’의 分化와 非政治的 公論場 形成의 背景

        송민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5 No.-

        This Study focuses on determining that the translated term of “speech”, Yeonseol (演說) had the distinct tendency to violate against the politic fundamental that has been laid the foundation of the loyal road politic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with the homophones in Korean, Yeonseol(筵說) has represented the relations of sovereign and subject in Joseon. At the least, the term, Yeonseol(演說) seemed to have the critical meaning to the politic system of towar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ecause the activity or media of Yeonseol(演說) made the public opinion field of democracy and took the propagation of new thought through the leverage of the human voice. The old politic forces of the Daehan empire made desperate efforts to control the political nature of Yeonseol(演說).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repression was the compulsory winding-up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獨立協會) through the imperial order of the dispersal of the private association. Guardians of the imperial power tried to establish the law of the rally and the organization of private association. Consequentially, no private association has been admitted in Joseo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獨立協會), until Iljin association came to establish in 1904, relying on Japan imperial power. Then, the Korean people tried to establish the society claim to be non-politic naturally, stuck in the double restriction of the Daehan empire and Japan imperial power. For example, the people education association(國民敎育會) published the association rule in “Daehanmail shinbo(大韓每日申報)” and “Hwangsung Shinmun(皇城新聞)”, in each Korean, and Korean and Chinese. Then, they found Gangron(講論) and Gangyeon(講演) in the possible substitution of Yeoseol(演說), the prohibition term. Since then, “Hwangsung Shinmun(皇城新聞)” tried to use the term, Gangyeon (講演) and to distinguish it and Yeonseol(演說), and it came to the origin of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Yeonseol(演說) and Gangyeon(講演) throughout the Japanese Ruling Er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근대적 ‘문학’ 관념의 한 단면 -다카야마 조규와 이광수를 중심으로

        송민호,표세만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7

        This study is examine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ry theory, which was influenced by the literary discourses of Japan, focusing on Lee Kwangsoo, who first introduced theory on modern literature in Korea. In the early studies, it is common to see that the function of ‘emotion(情)’ as most important part in Lee Kwangsoo’s literary theory in 1910, 1916 has been influenced from Tsubouchi Shoyo(坪内逍遥). However,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change Lee Kwangsoo literary theory and the composition i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you can easily see how unreasonable it is to compare Lee Kwangsoo and Tsubouchi Shoyo just through ‘emotion(情)’. This is because Lee Kwangsoo had a certain distance from aestheticians moving toward naturalism in Waseda university, Shimomura Hogetsu, Tsubouchi Shoyo.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Lee Kwangsoo’s literary theory was deeply influenced by Takayama Chogyu(高山樗牛). Hatano Setsuko has already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the early literary theory of Lee Kwangsoo’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principle of instinct satisfaction’ of Takayama Chogyu’s literary theory. In this paper, I think that Lee Kwangsoo’s literary theory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him, not only in the early literary theory. We can find such a basis on his rejection of ‘art for art’ and his settlement on the proposition of art for life Takayama Chogyu has been often misunderstood as a nationalist, because of his writing named “Japanism”, but he was a critic who occupied the most contradictory position of individualistic nationalism. He understood that the instinct-centered beauty in literature was derived from the action of ‘affection’ in emotion and the literature of the instinctual satisfaction has advanced to cover the nation-state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people’s affection. Lee Kwangsoo also restructures the position of ‘the literary man(文士)’ by referring to the criticism of ‘Writing is person(文は人なり)’ which was the title of book published by collecting his writings after Chogyu’s death. Lee Kwangsoo's literary practice process was not so different from the point of the ‘aesthetic life theory(美的生活論)’ proposed by Chogyu, namely, the point of individualist nationalism. 본 논문은 한국 최초로 근대적인 문학론을 내세웠던 이광수를 중심으로, 그가 근대적인 문학론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받았던 일본의 문학 담론들을 살피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 이광수의 문학론 중 ‘정(情)’의 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개 그 문학론이 일본의 쓰보우치 쇼요의 영향 하에서 형성된 것이라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광수의 문학론의 편력이나 일본 문학사의 구도를 살펴보게 되면, 단순히 ‘정’을 매개로 이광수와 쓰보우치 쇼요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광수는 쓰보우치 쇼요를 비롯하여 시마무라 호게쓰로 이어지는 와세다 대학 중심의 자연주의자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광수의 문학론이 다카야마 조규의 그것에 깊은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미 하타노 세츠코는 이광수가 ‘본능만족주의’를 언급하던 초기 문학론에서 다카야마 조규의 영향이 미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이미 언급해두고 있다. 본 논문은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이광수의 초기 문학론을 넘어 그가 ‘예술을 위한 예술’을 거부하고 ‘인생을 위한 예술’이라는 명제에 정착하기까지의 과정 전반에 다카야마 조규의 영향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송민호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how the meaning of ‘postal letter’has transformed from the inserted letter in a story of ancient times (古代小說) to the letter form in a modern letter-style novel(書簡體小說), as a part of trying to investigate how the first organization of the postal system in 1910's lead the process of the modern writing(ecriture) transfiguration. Especially, through showing how the relation of the calligraphy in the novel text and the subject identifying it transit in <Blood tear>(血의淚) written by Lee Injik(李人稙,1862~1916), known as the first Shinsoseol, I try to find that Lee injik, the author, intended to show that Okryun(‘옥련’), a heorin, going over the intimate frontier of Chosun to the unfamiliar territory of Japan and USA undergo the detachment from the familiar, arising from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writing. He, also, had a intention of taking general readers of Shinsoseol, published in newspapers,Manse newspaper(만세보), 1906, into a recipient of Okryun’s letter in the last part of his novel. It is thought upon the modern achievement of <Blood tear> in the view of writing transformation, parole to ecriture, literature work to text. After <Blood tear>, lots of Shinsoseol made a subject matter of a letter in modern postal system. It’s meaning varied from the only fragmentary material to the important theme showing modernity.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serial transformation of the letter appeared in <Blood tear>, through <Songnoegeum(松籟琴) written by Yuk Jeongsu(陸定洙) in 1908, to <Wolhagain>(月下佳人) by Lee haejo(李海朝,1869~1927). In Yuk Jeongsu's work, however, the linguistic exteriority of outside world was thought not more sufficiently described than <Blood tear>, which could be known by finding whether it was described that a hero(in) suffered and felt uncertainty in different linguistic world. Though this work was to succeed to the previous subject, the letter from the different world, it couldn't reach the meaningful achievement of <Blood tear> in the side of writing at least. <Songnoegeum>, however, is set high value on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dealing in Hawaii labor emigration fraud with criticism. In <Wolhagain>(1911), Lee haejo made a description of this issue again. Not a work of Yuk Jeongsu, he achieved the description of the exteriority through the partition of the civilization and the savageness(in novel hero can interpret with a Chinese and a American very well, but can’t listen Mexican ‘native’) and made a letter from another world the subject of modernity. After the organization of postal system, a letter from oversea spur the infinite desire to the extreme tempo toward the center of modernity. 이 논문은 신소설에 표상되어 드러난 편지의 의미를 고소설의 삽입서간과 근대서간체소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모하는 맥락 속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는데, 특히 1910년 무렵의 우편제도의 성립이 어떻게 근대의글쓰기적 변모 과정을 이끌었는가 하는 바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최초의 신소설인 이인직의 <血의淚>는 편지의 필적과 그것을 알아보는 수신자의 관계가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가 하는 극적인 변화 과정을보임으로써 친숙한 조선의 영토 경계를 넘어간 ‘옥련’이 어떤 글쓰기적변모를 경험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를 잘 보여주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있는데, 이인직은 이러한 글쓰기적 변모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마지막 대목을 통해 자신의 소설을 독자에게 보내는 공개된 편지로 간주되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는 분명 필적과 음성이 현전하는 양상에서 글쓰기라는텍스트로 변모되는 과정을 날카롭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 <血의淚>이후 신소설에서 편지를 주제로 하는 경우는 빈번하다고 할수 있는데, 고전소설이래로 편지가 종종 등장했던 것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작품들의 경우, 적어도 <血의淚>가 보여준 근대적 글쓰기의 측면에서의 성취는 특히 이후 소설들에는 바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있다. 이는 근대소설에 등장하는 편지가 제도화된 고백의 문제 등, 근대적인 개인의 내면 형성과 관련되어 의미화되고 있는 것에 비해, 신소설에 등장하는 편지가 단지 소재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게 된 근거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지라는 소재는 특히 ‘외부세계로부터 도달된 편지’, 혹은 ‘분실되거나 타인의 손에 들어간 편지’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어 이후 육정수 혹은 이해조 등의 소설에 등장하여 세계의 외부성에 대한 형상화의 문제라든가 서사적 지연이라는 소설 서사 구성의 기능적차원과 관련되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면서 변주하게 된다. 1908년도에출판된 육정수의 송뢰금은 주제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하와이 개발이민사건이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이 세계와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공간(하와이)이 갖는 외부성을 잘 드러내어 주지 못하는한계를 갖고 있었다. 송뢰금의 이러한 주제는 이해조의 월하가인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전 작품들에서 지속적으로 편지를 일종의 서사적인 장치로 사용해오던 이해조는 이 작품에서는 편지를 외부 세계를 드러내는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그는 육정수에 비해서는 세계의 외부성의 형상화의 측면에서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를 문명/야만 담론 도식 하에서 풀어내면서 외부 세계로부터 배달된 편지의 문제를 모더니티의 문제로 귀착시켜 이후 최찬식의 추월색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을만들어내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