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Air-vacuum Cushion의 유용성

        김기환,조문준,강노현,김동욱,김준상,장지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3 암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골반부위 방사선치료 환자중 직장암 환자에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조사면의 변화에 따른 고정기구의 유용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충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98년 8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직장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모두 복와위 자세로 치료를 받았고 대조군 10명과 실험군 10명으로 각각 나누어서 연구를 실행하였다. 전체 치료과정중 EPID를 이용하여 후면조사면은 x축(right-left), y축(cranio-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고, 측면조사면은 z축(anterior-posternor), y축(cranio-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다. 전체 치료과정중 얻은 영상들을 모의치료시 촬영한 기준필름과 matching기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t-검정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대조군애서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영역의 경우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02 mm, 0.78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의 표준편차값은 각각 2.13 mm, 2.40 mm와 1.46 mm, 1.51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6 mm, 0.47 mm이었고 계통오차와 우연오차의 표준편차는 각각 3.89 mm, 1.96 mm와 2.79 mm, 1.48 mm이었다. 실험군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면애서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33 mm, 0.51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1.71 mm, 3.08 mm와 1.40 mm, 1.88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8 mm, 0.74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4.75 mm, 2.65 mm와 2.69 mm, 1.86 mm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조사면에 대한 평균이동값과 우연오차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계통오차는 실험군에서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후면조사면과 측면조사면애서 air-vacuum cushion에 의한 조사면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사용이 방사선치료의 정확도에 이익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시 발현되는 유전자의 규명

        서은영,조문준,이증훈,이영숙,나명훈,이웅희,김준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3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임상에서 사용하는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환자의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유도되는 유전자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대조군)과 1.8 Gy 조사후 40분 지나서(조사군) 자궁경부암 조직을 생검하여 각 군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기법(DDRT-PCR)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발현에 변화가 있는 cDNA를 추출하고 증폭하여 얻은 클론을 reverse Northern Blot방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하였고, North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sequencing을 실시한 후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blast search를 하였다.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를 대상으로 다른 환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받는 5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RT-PCR로 검사하였다. 결과 : DDRT-PCR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군에서 발현이 증가 혹은 감소된 18개의 cDNA band를 발견하였다. reverse northern blot을 이용한 screening에서 발현이 증가된 10개의 클론과 감소된 1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클로닝된 cDNA 조각들은 대부분 400~5OO bp 정도 되었으며, 그중 1개의 클론은 잘 알려져 있는 chemokine receptor CXCR4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4개의 클론은 Human ESTs로 확인되었고 5개의 클론은 기능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알려져 있는 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에 의하여 발현이 감소한 CXCa-11 클론이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료에서 발현을 보였으나, 방사선치료 후 시료에서는 그 발현량이 감소하거나 발현이 안되었다. 결론 : DDRT-PCR을 이용하여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사선량을 환자의 자궁경부암에 조사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의 확인은 방사선치료과정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기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시 발현되는 유전자의 규명

        서은영,조문준,이증훈,이영숙,나명훈,이웅희,김준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3 암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임상에서 사용하는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환자의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유도되는 유전자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대조군)과 1.8 Gy 조사후 40분 지나서(조사군) 자궁경부암 조직을 생검하여 각 군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기법(DDRT-PCR)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발현에 변화가 있는 cDNA를 추출하고 증폭하여 얻은 클론을 reverse Northern Blot방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하였고, North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sequencing을 실시한 후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blast search를 하였다.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를 대상으로 다른 환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받는 5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RT-PCR로 검사하였다. 결 과 DDRT-PCR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군에서 발현이 증가 혹은 감소된 18개의 cDNA band를 발견하였다. reverse northern blot을 이용한 screening에서 발현이 증가된 10개의 클론과 감소된 1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클로닝된 cDNA 조각들은 대부분 400~5OO bp 정도 되었으며, 그중 1개의 클론은 잘 알려져 있는 chemokine receptor CXCR4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4개의 클론은 Human ESTs로 확인되었고 5개의 클론은 기능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알려져 있는 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에 의하여 발현이 감소한 CXCa-11 클론이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료에서 발현을 보였으나, 방사선치료 후 시료에서는 그 발현량이 감소하거나 발현이 안되었다. 결론 DDRT-PCR을 이용하여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사선량을 환자의 자궁경부암에 조사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의 확인은 방사선치료과정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기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Air-vacuum Cushion의 유용성

        김기환,조문준,강노현,김동욱,김준상,장지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3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골반부위 방사선치료 환자중 직장암 환자에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조사면의 변화에 따른 고정기구의 유용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충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98년 8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직장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모두 복와위 자세로 치료를 받았고 대조군 10명과 실험군 10명으로 각각 나누어서 연구를 실행하였다. 전체 치료과정중 EPID를 이용하여 후면조사면은 x축(right-left), y축(cranio-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고, 측면조사면은 z축(anterior-posternor), y축(cranio-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다. 전체 치료과정중 얻은 영상들을 모의치료시 촬영한 기준필름과 matching기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t-검정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대조군애서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영역의 경우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02 mm, 0.78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의 표준편차값은 각각 2.13 mm, 2.40 mm와 1.46 mm, 1.51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6 mm, 0.47 mm이었고 계통오차와 우연오차의 표준편차는 각각 3.89 mm, 1.96 mm와 2.79 mm, 1.48 mm이었다. 실험군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면애서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33 mm, 0.51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1.71 mm, 3.08 mm와 1.40 mm, 1.88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8 mm, 0.74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4.75 mm, 2.65 mm와 2.69 mm, 1.86 mm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조사면에 대한 평균이동값과 우연오차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계통오차는 실험군에서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후면조사면과 측면조사면애서 air-vacuum cushion에 의한 조사면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사용이 방사선치료의 정확도에 이익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조문준,장지영,김준상,김병국,송창준,김재성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3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비인강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비인강암으로 진단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별로 보면 Ⅰ 병기가 2명, Ⅱ 병기가 6명, Ⅲ 병기가 2명, Ⅳ 병기가 9명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이 5명, 미분화세포암이 14명이었다. 14명은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5명은 항암제치료를 받았다. 추적 기간은 5개월에서 115개월이였으며 중앙값은 33개월이었다. 모든 환자에게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 후 15명(79%)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2명(10.5%)에서 부분관해를 보였으며 2명(10.5%)에서는 무반응을 보였다. 치료실패 양상은 국소 실패가 6명이었으며 원격전이가 4명에서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뼈, 간, 폐 등 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였다. 병기, T 병기, N 병기, 뇌신경침윤 여부, 병리학적 유형, 활동지수, 반응도, 방사선량, 항암제 치료여부 등에 의한 생존율의 의미 있는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이었다.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방법의 개선 및 항암제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in Cervix Carcinoma Cell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Kim, Jun-Sang,Lee, Young-Sook,Lee, Jeung-Hoon,Lee, Woong-Hee,Seo, Eun-Young,Cho, Moon-June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6 암연구소 업적집 Vol.5 No.-

        Purpose: A number of genes and their products are induced early or late following exposure of cells to ionizing radiation. These radiation-induced genes have various effects on irradiated cells and tissues.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based on PCR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radiation in cervix carcin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and poly (A)^(+) mRNA were isolated from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HeLa cells. Forward- and reverse-subtracted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using SSH. Eighty-eight clones of each were used to randomly select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using reverse Northern blotting (dot blot analysis). Northern blotting was used to verify the screened genes. Results: Of the 176 clones, 10 genes in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and 9 genes in the reverse-subtracted library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by PCR-select differential screening. Three clones from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were confirmed by Northern blotting, and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luding a telomerase catalytic subunit and sodium channel-like protein gene, and an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gene. Conclusion: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with low-abundance genes with SSH, but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ses gene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m.

      •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in Cervix Carcinoma Cell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Kim, Jun-Sang,Lee, Young-Sook,Lee, Jeung-Hoon,Lee, Woong-Hee,Seo, Eun-Young,Cho, Moon-June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Purpose: A number of genes and their products are induced early or late following exposure of cells to ionizing radiation. These radiation-induced genes have various effects on irradiated cells and tissues.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based on PCR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radiation in cervix carcin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and poly (A)^(+) mRNA were isolated from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HeLa cells. Forward- and reverse-subtracted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using SSH. Eighty-eight clones of each were used to randomly select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using reverse Northern blotting (dot blot analysis). Northern blotting was used to verify the screened genes. Results: Of the 176 clones, 10 genes in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and 9 genes in the reverse-subtracted library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by PCR-select differential screening. Three clones from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were confirmed by Northern blotting, and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luding a telomerase catalytic subunit and sodium channel-like protein gene, and an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gene. Conclusion: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with low-abundance genes with SSH, but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ses gene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m. 목적: 자경경부암세포에서 polymeric chain reaction (PCR)원리를 이용한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 방법으로 방사선조사 시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를 동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 세포주에 방사선조사 전과 후 총 RNA와 poly (A)^(+) mRNA를 분리하였다. SSH방법으로 forward 및 reverse-subtracted cDNA Iibranes를 만들었다. 차등 발현된 유전자를screening하기 위해 reverse Northern blotting (dot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각각의 library에서 88개의 클론을 선택하였고 Nothern blotting으로 확인 후 sequencing하였다. 결과: screening상 176개 클론 중 forward-subtracted library에서 10개의 유전자가 reverse-subtracted library에서 9개의 유전자가 동정되었다. forward-subtracted Iibrary로부터 3개의 유전자가 Northern blotting에 의하여 확인되었고 이중 telomerase catalytic subunit and sodium channel-like protein 유전자와 1개의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유전자가 방사선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자궁경부암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를 SSH 방법을 통해 동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가 어떤 생물학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조문준,장지영,김준상,김병국,송창준,김재성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3 암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비인강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비인강암으로 진단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별로 보면 Ⅰ 병기가 2명, Ⅱ 병기가 6명, Ⅲ 병기가 2명, Ⅳ 병기가 9명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이 5명, 미분화세포암이 14명이었다. 14명은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5명은 항암제치료를 받았다. 추적 기간은 5개월에서 115개월이였으며 중앙값은 33개월이었다. 모든 환자에게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 후 15명(79%)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2명(10.5%)에서 부분관해를 보였으며 2명(10.5%)에서는 무반응을 보였다. 치료실패 양상은 국소 실패가 6명이었으며 원격전이가 4명에서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뼈, 간, 폐 등 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였다. 병기, T 병기, N 병기, 뇌신경침윤 여부, 병리학적 유형, 활동지수, 반응도, 방사선량, 항암제 치료여부 등에 의한 생존율의 의미 있는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이었다.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방법의 개선 및 항암제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Sb-31^(?)의 항암효과

        김삼용,김송배 忠南大學校 癌共同硏究所 1998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2 No.1

        Extracts of P. koreana(SB-Sl_(?)) has been tried as an antitumor agent by traditional medicine practitioner in Korea for the past 30 years. It is a specially prepared extract of P. koreana whose fractions lose efficacy compared to the original mixture. Lee observed substantial antitumor effects and minimal toxicity of SB-31 in sarcoma 180 animal tumor model(unpublished data). For the past 5 ears, there has been dramatic though anecdotal therapeutic outcomes with SB-31 in some advanced stage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in vitro antitumor effects of SB-31 against 3 kinds of gastric cancer cells, A549, HeLa and Caski, MCF7, HepG2 and Hep3B and normal mononuclear cells. Cytotoxicity ws evaluated with the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MTT) after incubation of cancer cells with SB-31. Results; in 3 gastric cancer cells, ID_(50), of SB-31 were 0.16, 0.34 and 0.53mg/ml. Most effective tumor cell kill was achieved after 96 hrs of incubation with SB-31. The ID_(50) values of SB-31 on various cancer cell lines ranged from 0.14 mg/ml to 0.27 mg/ml. Keeping SB-31 ampul in room temperature up to 4 days did not affect the efficacy but the activity decreased after more than 4 days in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concluded that SB-31 is an active antitumor agent without significanct toxicity. The mechanism of action of SB-31 and its toxicity and efficacy should be further evaluated.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