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의 예후인자

        김준형,김희정,구남수,김영근,최준용,신소연,박윤선,김연아,김명수,정수진,최희경,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배경 :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는 임상 경과가 다양하다. 최근에 유럽과 북미에서 C.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고전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이환률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원인이 새로운 균주의 탄생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었다. CDAD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세균성 요인과 숙주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CDAD가 진단된 20세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Cohort 연구를 하였다. 세균성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cdt A, cdtB, tcd A, tcd A rep 그리고 tcd B 유전자(binary toxin)를 확인하였다. 설사가 치료 시작 후 11일 이상 지속되거나, 2달 이내에 재발하거나, 수술 혹은 다른 시술이 필요한 경우, 사망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115예에서 toxin을 생성하는 C. difficile가 동정되었으며, Toxin A와 toxin B 모두 양성인 균이 91예, toxin B만 양성인 균이 24예였다. Toxin A 생성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제산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toxin B만 양성인 균이 많이 동정되었다(P<0.05).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39예(33.9%)였고 76예(66.1%)에서 예후는 양호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70세 이상의 고령, 남성, 증상 발현 후 사용한 항생제의 개수 사용,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aminoglycoside, glycopeptide 사용, 당뇨 및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높은 Charlson index가 불량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독립적인 예후 인자를 조사했을 때에는70세 이상의 고령(odds ratio=3.378, P=0.009), 증상 발현후 carbapenem 사용(odds ratio 7.210, P<0.001)이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 : 70세 이상의 고령과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사용이 CDAD 독립적인 불량한 예후인자이다. Background :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has a wide range of clinical manifestations. The prognostic factors of CDAD are not fully understood. Materials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115 patients with CDAD from Aug. 2002 to Dec. 2003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of CDAD. Bacteriologic factors were determined by detecting the binary toxin gene, tcd A, tcd A rep and tcd B gene. Poor prognosis was defined as diarrhea more than 10 days even with classic treatment, recurrence, death, and moribund discharge. Results : Approximately 79% of isolated strains were toxin A+/B+ strains and 21% were toxin A-/B+ strai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nosis between toxin A+ and toxin A- strains. 39 (33.9%) cases showed poor prognosis and 76 (66.1%) cases showed good prognosis.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or prognostic factors were old age over 70 years old, male,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after onset of symptom,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minoglycosides, glycopeptides after onset of symptom, history of DM and stroke, and high Charlson comorbidity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old age over 70 years old (odds ratio=3.378, P=0.009)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odds ratio 7.210, P<0.001) as the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 Old age over 70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were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CDAD caused by none-binary toxin producing strain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생애사 연구: 김교사 이야기

        김희연 ( Hee Yeon Kim ),김은숙 ( Eun Sook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민간, 국공립, 직장)에서 10년 동안 보육교사로살았던 한 교사의 이야기이다. 보육교사 초임에서 경력교사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육아휴직으로 교사로서의 생을 마감한 30대 여성의 10년간의 삶을 시간을 축으로 한 변화와 연속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일기, 수첩, 계획안, 메모, 편지, 통화상담 기록표, 교사와의 인터뷰 전사본, 연구자간 대화 전사본과 회상을 바탕으로 자서전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고 핵심사건을 추출하고 주제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드러날 수 있도록 텍스트 재구성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근무했던 각 기관에서의 생활 경험은 ``원장님이 시키는 대로 해내는 여성``, ``학습공장의 직공``, ``잘 가르쳐 보려는 교수자``, ``부모-위탁체-회사라는 갑의 계약직을``, ``부담스러운 기혼 고경력 교사``로 표현되었고, 각 기관에서의 삶은 기관의 속성에 따라 운영 기제와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와 개인적 직무 인식과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로 조직되어 서술되었다. 유아교육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직업 생애가 함의하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school teacher, Ms. Kim, who has worked at private, national/public, and workplace day care centers for 10 years. It was described in time-frames focusing on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experiences as a nursery teacher. Life history text was primarily constructed based on her diaries, her notebooks and memos, her schedulers, the letters she received, the transcription of teacher interviews, the transcription of dialogues with the co-authors, and memory. And then the texts were repetitively reconstructed in order to draw meaningful themes, extract key life-events, and represent interwoven relationship among the themes. As a result, Ms. Kim`s life history was depicted,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five day care centers she worked in, as ``a woman who complies with director`s orders, ``a factory-hand in learning factories``, ``an instructor who tries to teach well``, ``a temporary contract employee of parent/commissioned-company/company employer``, and ``a burdensome being who is married and on high pay-step``. Under each theme, Ms. Kim`s career lif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 two pha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ways that her caring/teaching functions. Last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teacher as a typical job symbolizing a female was discussed, enduring strong physical and emotional labor holding low positions in a small-group organization, and grew as an early education teacher with praxis-based identity, but had to be short-lived due to the early education system in Korea.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당뇨병에 기인한 허혈성 말초 혈관 질환에 대한 Cilostazol의 유효성 평가

        김희진,성연아,경난호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6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9 No.1

        Objectives :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ie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multiple metabolic and vascular disturbance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tic mechanisms of diabetic neuropathies. Methods : Thirty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ies from ischemic peripheral vascular disease were received cilostazol, an antithrombotic and vasodilating drug, 200mg a day in two divided doses for eight weeks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 analysed the eff-ects between before and efter treatment with cilostazol. Results : 1) Total 30 patients were studied : 21 patients wre female and 9 patients were male. Their mean age was 60.2±9.9 years, and mean duration of diabetes was 8.0±4.9years. As comp-lications, 47% of them had retinopathy and 30% of them nephropathy.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findings, metabolic control states, CBC, blood chemistry and lipid levels before and after cilostazol treatment. 3) The score of resting pain and numbn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old sensation and claudication were decreased after cilostazol treatment. 4) The score of arterial pulsation and Doppler wave was decreased, and the ankle pressure index was increased from 1.04±0.07 to 1.08±0.13 after cilostazol treat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5) Adverse effects were noted in 20% of cilostazol treated patients, 3 cases of headache, 2 facial flush and palpitation and 1 rash and urticaria, respectively. 6) The assessment of overall improvement of the disease, including "markedly improved", "improved" and "slightly improved" amounted to 63%. The assessment of overall safety of the drug, including "safe" and "almost safe" amounted to 80%. The assessment of overall utility of the drug, including "very useful","useful" and "slightly useful" amounted to 63%.

      • 백서 해마에서 카이닌산 유도 경련에 의한 JNK 경유 신호전달경로 활성화의 발달 단계에 따른 변화

        김종흔,정희연,노명선,안용민,강웅구,김용식,조수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어린 백서의 해마에서 전기경련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 후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계 신호전달경로가 카이닌산(Kainic acid, KA)에 의한 경련 후 어떤 양상으로 활성화되는 지를 초기 발달 단계에 따라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7일, 14일, 21일 된 어린 백서와 성년 백서의 해마에서 면역블롯 방법으로 MAPK계 효소의 인산화 효소 중 하나인 SAPK/ERK kinase-1(SEK-1), MAPK계 효소인 c-Jun N terminal protein kinase(JNK), 전사인자 c-Jun 및 조기유전자 단백질 Fos의 단백질 양과 기저 인산화를 측정하였고, 백서에게 KA를 주사하여 경련을 유발한 후 위 단백질들의 인산화 변화의 양상을 같은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SEK-1, JNK, c-Jun 모두 연령 증가에 따른 단백질 양 자체에는 변화가 없었다. JNK와 c-Jun은 기저 인산화의 양적 변화도 없었으나 SEK-1의 경우 기저 인산화 양이 생후 7일에 가장 높고 이후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JNK의 경우 KA 주사 후 인산화 변화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SEK-1과 c-Jun은 생후 14일부터 연령의 증가와 함께 인산화 양도 증가하였다. Fos 역시 생후 7일부터 발현되어 연령의 증가와 함께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결 론 : 백서 해마에서의 MAPK계 신호전달계의 성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또 신호전달 물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KA 유도 경련 후 JNK는 생후 21일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세포주에서 알려진 SEK-1 - JNK-c-Jun - Fos로 연결되는 신호전달 경로가 어린 백서의 해마에서는 적용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We observed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activation of MAPK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known to be activated by eletroconvulsive shock(ECS) in young rat hippocampus after kainic acid(KA)-induced seizure. Methods : We used the method of immunoblotting for examining the basal protein amount and basal level of phosphorylation of MAPK kinase(SAPK/ERK kinase -1, SEK-1), MAPK(c-Jun N terminal protein kinase, JNK), transcription factor(c-Jun) and immediate early gene proteins(Fos) in rat hippocampus at postnatal day 7, 14 and 21, respectively. We also examined the changes of phosphorylation of those proteins after kainic acid-induced seizure in the same way. Results : The basal protein amounts of SEK-1, JNK, and c-Jun did not show age-dependent changes and basal level of phosphorylation of JNK and c-Jun remains unchanged throughout the early developmental period. The basal level of phosphorylation of SEK-1 was peaked at postnatal 7 days and then decreased with aging. After kainic acid-induced seizure, the change of phosphorylation of JNK was not observed but those of SEK-1 and c-Jun increased after postnatal day 14. The expression of Fos was observed at postnatal day 7 and also increased with aging.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PK signal transduction system in rat hippocampus matures in accordance with aging, but the process of maturation differs depending specific proteins. This study suggests the signal transduction cascade(SEK-1 - JNK - c-Jun - Fos) which is well established in cell line studies may not be applied to rat hipposcampus because we could not observe the activation of JNK after KA-induced seizure in young rat hippocampus.

      • KCI등재

        결과지식 지연간격과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에 따른 비연속과제의 학습효과

        김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인 결과지식(knowledge of results)(KR)의 제공시기에 따른 비연속과제의 학습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제공시기에 대한 변인인 시행후 결과지식이 주어질 때까지의 시간 간격인 결과지식 지연간격(KR delay interval)과 결과지식후 다음 시행까지의 시간간격인 결과지식후 지연간격(post-KR delay interval)을 조작하여 수행과 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10명씩 무선 배정하였고 실험과제는 야구타격동작으로 동작수행에 대한 시간오차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연습단계에는 결과지식 지연간격(2), 결괴지식 후 지연간격(2)에 따른 반복측정(5) 설계 (2×2×5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last factor) 하에 삼원변량분석을 하였고, 파지단계에서는 무 결과지식의 10회 시행을 실시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과지식 지연간격과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에 따른 비연속과제의 학습효과는 지연간격이 있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은 수행 후 학습자가 결과지식을 바로 받고 오류수정을 통해서 차기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 제공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experimental the effects of KR-delay and post-KR-delay interval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on discrete motor task. For this purpose, forty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no information and experience about this study task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different groups. For this test, batting was chosen as the task to be performed and Bassin Anticipation Timer developed by Stanley Bassin was connected with a switch especially designed. The time error of the subjects' performance was recorded on the computer as the subjects' bats touched the switch connected computer. The measurement errors were as calculated as absolute errors.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for this study was a 2×2×5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last factor. Three-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was used to analyze time error in aquisition phase and two-way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in retention phas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KR-delay and post-KR-delay intervals may have effects on discrete motor task. But, delay-interval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task, a sort and learning field. So, provide to appropriate time of delay-interval according to subjects' level of techniques and a sort of task would seem to be a major factor to be considered in learning field. It is also suggested that learning theory based on this study be more wieldy, need more the study of a variety this field.

      • 두 가지 다른 음이온 작용기를 가진 아이오노머의 기계적인 성질

        김희석,나연화,김준섭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1998 生産技術硏究 Vol.20 No.1

        The sulfonated poly(styrene-co-methacrylate) ionomer (7.6 mol% of ionic groups) was prepared by sulfonation of styrene-co-methacrylate (3.6 mol% of ions) polymer.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this new ionomer, having two different ionic groups, were studied by using DMTA. We found that the new ionomer showed two glass transitions, the temperature ranges of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methacrylate ionomers containing ca. 8.7 mol% of 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4.0 mol% of sulfonate groups into the methacrylate ionom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s the same as that in a system of which we increase the methacrylate content by 4.0 mol%. From the findings, we conclude that the sulfonate and methacrylate ionic groups seem to form multiplets together: the multiplets are thought to be loosely bound because the carboxylates in the multiplets act as polar plasticizers. Thus the ion hopping of sulfonate groups occurs at the same temperature where the methacrylate ions start to hop.

      • KCI등재

        하악 전치부에 발생한 과잉치 : A CASE REPORT

        김성희,박종하,양연미,김재곤,백병주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과잉치는 유치열에서 0.3-0.8%, 영구치열에서 1.0-3.5% 정도로 발생하며, 2:1로 남자에게 호발, 9:1로 상악에서 호발한다. 그 중 하악 전치부에서 발생하는 빈도는 전체 과잉치중에서 2-4%의 매우 낮은 빈도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과잉치가 계속 존재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으로서 치간이개, 인접한 정상치아의 맹출장애, 치관의 형성이상, 인접치의 치근흡수, 함치성 낭종 등을 들 수 있으며, 치열 발육 중인 어린이의 경우 성장 중임을 감안하여 바람직한 교합유도를 위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전복대학교병윈 소아치과에 내원한 6세 환아의 하악 전치부에서 발견된 양측성 매복 과잉치로서 그 중 한개는 영구치와 융합된 경우를 보고하는 바이다. Supernumerary tooth describes an excess of tooth number, which are found in primary dentition with 0.3-0.8%, permanent dentition with 1.0-3.5% prevalence. Their frequency is about 2:1 (male vs female) and 9:1 (maxilla vs mandible). However, occurrence is very rare in the incisor region of the mandible. We need a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plan because of possibility of diastema, eruption failure, displacement, rotation of the associated permanent teeth, root resorption, dentigerous cyst, with presence of the supernumerary teeth. This is a case report about two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found in madibular anterior region of 6 years old girl. One was extracted and another was retained because of fusion with permanent central incisor on the labial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