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대 한미·미일동맹 정책 비교를 통한 변화와 전망

        강웅구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21세기 세계화와 함께 국제사회가 다원화되고 주권 국가의 기능이 약화하면서 초국가적 행위체의 영향력이 증대되는가 하면, 국가 간에 많은 불균형적 발전이 초래되었다. 냉전 종식과 90년대 북한 핵 문제의 대두, 그리고 21세기 중국의 급부상으로 동북아의 안보환경이 급격히 바뀌면서 미국의 동맹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중국의 급부상으로 미국의 동북아 안보 정책은 한미·미일동맹을 통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게 되는데 북한 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3각 안보협력 강화를 통해 대처하고, 중국에 대한 문제는 미일동맹을 통한 견제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미일 남방 3각 협력과 북중러 북방 3각 협력으로 나뉘면서 신냉전으로 이어질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특히 미일동맹이 글로벌 전략적 동맹으로 발전하면서 미일동맹 현대화를 통해 일본은 군사대국화하려 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지역에서 군사적 영향력의 확대를 원하고 있다. 이는 2022년 말 미국의 적극적지지 속에서 일본이 국가안전보장전략 등의 3대 안보 문서개정을 각의에서 통과시키고 보통국가화하면서 표면화되었다. 그러나 대중 전략에서 일본이 미국과 같이 중국을 위협 요소로 인식하자, 중국은 일본을 동북아 안보에 대한 최대의 전략적 도전으로 규정하면서 동북아 안보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미국의 동북아 안보전략 중 핵심이며 대중 견제 전략인 인도·태평양전략 참여에 대해 한국의 진보 정부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보수의 현 정부는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며 자연적 연루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적극적 연루를 보인 미일동맹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China's rapid ris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strategy for security policy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South Korea-U.S.-Japan alliance. It was intended to address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y strengthening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South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while seeking to check issues against China through the U.S.-Japan alliance. In particular, strengthening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is showing signs of leading to a new cold war as it is divided into three southern cooperation and three northern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centering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성 전기경련충격이 흰쥐 해마에서 NMDA 수용체 아단위 발현에 미치는 영향

        강웅구,조경형,구영진,안용민,주연호,노명선,김용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4

        연구목적: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는 시냅스 가소성 등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능적 NMDA 수용체는 몇가지 아단위의 복합체인데, 뇌에는 이들 아단위중 NR1, NR2A 및 NR2B가 풍부하다. NMDA 수용체의 기능은 단백질 인산화 및 발현양 변화에 의해 조절된다. 이 연구에서는 항우울 및 항정신병 효과를 갖는 반복적인 전기경련 충격이 NMDA 수용체 아단위 발현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흰쥐 해마에서 관찰하였다. 방법: 수컷 Sprague-Dawley 흰쥐에게 1, 5, 10 일간 매일 전기경련 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을 주고, NR1, NR2A, 및 NR2B의 발현양을 해마에서 면역블롯 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NR1 및 NR2A 아단위의 양은 ECS 횟수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NR2B의 발현양은 ECS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클로나제팜 사용의 현실적 문제들

        강웅구,김세현,최영숙,이규영,김용식,정인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3 신경정신의학 Vol.62 No.1

        Clonazepam, a 7-nitrobenzodiazepin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seizures, sleep disorders, panic disorders, anxiety, and movement disorders. However, clonazepam is officially approved as a therapeutic drug only for epilepsy and panic disorders in Korea. This raises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as clonazepam is prescribed off-label for most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 many other countries as well. The misuse and abuse of clonazepam as a recreational drug have also been commonly reported in global literature. In this review, as a therapeutic drug as the authors aim to highlight the pharmacological aspects, clinical effects, and potential addictive risks of clonazepam use, by review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clonazepam to increase its clinical use by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its psychopharmacological benefi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establishing the risk/benefit ratio of clonazepam for use in specific clinical situation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adequate updated data. Therefore, the use of clonazepam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sonalized drug treatment rather than following fixed guidelines which would not reflect the current real-world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정신과 진단체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우울증 개념을 중심으로

        강웅구,김혜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5

        Today’s diagnostic criteria are based on consensus, however, they are still incomplete and being changed. These unstable but temporarily dogmatic criteria have been constraining the thinking of individual psychiatrists, and invalidating painful scientific achievements based on previous ones. The limitation of the criteria system appears especially clear concerning depression due to the ambiguity of its defini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history of various concepts of depression and to compare this to today’s tendency, which attempts to consolidate diversity. In addition to al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SM), Inter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9, ICD-9-CM, and ICD-10 were centrally discussed. Classic descriptions of depression were extracted from reviews of classic literature, and some salient concept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y had been integrated, divided, and newly proposed was traced. The descriptions of depression whose prototype had been melancholia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conceptual changes through DSM-IV and the most recent DSM-V ; they impose tasks that are yet to be resolved. Among them, whether various depressive syndromes are diverse phenotypes of one disorder or they all represent different disorders could be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In order to conduct fruitful studies and to ensure proper treatment of every patient, more precise nosologic understanding of depression must be pursued. 우울증(depression)과 관련된 질병분류학(nosology)은 시대가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우울증은 정신과에서 매우 흔히 보는 질환이어서 정신의학 전공자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우울증이라는 용어는 정신의학의 맥락과 관계없이 일상 언어로도 흔히 사용될 만큼의미가 불분명하고 그 임상양상은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증상의 종류, 심한 정도 및 경과, 유발요인, 유전성, 병발하는 증상들, 치료 반응 등에서 다양한 우울증들은 큰 차이가 있지만, 현재의 분류체계는 이런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성을 구분하지 않는 것은 질병분류라는 이론적 측면을 떠나서 개별 환자별 맞춤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도 문제가 된다.1,2) 우리가 현재 우울증이라고 부르는 큰 카테고리 안에는 고전적 개념 중 (1) 멜랑콜리아, (2) 조울증, (3) 단극성 우울증, (4) 우울신경증, (5) 우울성(정동성) 인격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포괄하는 우울증에 대한 다양한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려한다. 주 초점은 우울증을 독립적인 몇 가지의 증후군으로 나누어보려 했던 과거의 입장과, 차원적 관점에서 다양성을 통합하려는 오늘날의 추세를 비교하는 것이다. 우울증의 역사를 탐색하다 보면 조증의 역사에 대해서도 공부하지 않을 수없지만, 조증에 대한 논의는 꼭 필요한 부분에만 국한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의 논의에 대한 보조 자료로서 DSM 및 InternalClassification of Diseases(이하 ICD) 시스템에서 우울증 분류 변천과정을 별첨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