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
김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개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방침은 무엇이며, 총론의 방침이 체육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개발된 체육과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과제가 해결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을 위해 교실수업 개선의 필요성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학습내용의 적정화와 문서로서의 가독성을 위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틀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교과 교육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총론의 방침에 따라 체육과 교육과정은 교수학습 방향과 평가 항 등에서 역량 함양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ㆍ학습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안전을 독립된 영역으로 제시함으로써 총론의 방침을 수용하고 있다.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기대하는 핵심 역량이 실제 체육 수업을 통해 구현되기 위해서는 수업 상황에 적용할 있는 역량 함양 활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생의 역량 함양은 결국 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때, 역량 개발 및 함양과 관련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교육이 요구된다. The National curriculu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it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s they are bound legally to follow it.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general policy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to cultivate talented students with the core abilities that our future society wants, and examine how the general policy has been incorporated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solutions to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that arise i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n educational sett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a need for improved classroom education as well as learner centered education to cultivate the talent that will be required by our future society. Moreover, the curriculum requires an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framework to be optimized and more readable learning content. This curriculum also reflects the national and social safety concerns. According to this general polic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ust introduce a learner centered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 method and learner direction and evaluation. It must also embrace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by presenting safety as an independent realm. In order to realize the core competence expected from the futur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actual physical education clas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in the various activities applicable to the class. On the other hand, when competence improvement is needed, it must be cultivated by the teacher, and so the pre-service teacher and current teacher require education related to development competence and cultivation.
체력관리 수업이 남자 대학생의 비만지표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수,김성희,이신호 한국웰니스학회 201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본교의 체력관리 수업이 남자 대학생의 비만지표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교 2012∼2013년 4학기 동안 체력관리 수업을 수강한 남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 구분은 비만도(BMI, BF(%)) 기준으로 저체중(n=46), 마른 비만(n=174), 정상 비만(n=167) 그리고 비만 집단(n=60)으로 구분하였다. 체력관리 수업은 유산 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의 목합운동으로 주당 2회 1일 75분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교의 체력관리 수업은 저체중 집단과 마 른 비만형 집단의 체중(p<0.002, p<0.001), 체질량지수(p<0.003, p<0.001) 그리고 체지방률(p<0.003, p<0.001)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 가 있었지만, 정상 비만 집단과 비만 집단에서는 긍정적인 개선 효과가 없었다. 또한 허리둘레는 저체중 집단을 제외한 세 집단 (p<0.004, p<0.001, p<0.005)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건강관련 체력 중 근력의 변인인 악력(좌, 우)은 네 집단 모 두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p<0.005)가 있었지만, 배근력은 마른 비만형 집단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p<0.001)가 있었다. 근지구 력의 변인인 윗몸일으키기는 네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p<0.005)가 있었지만, 팔굽혀펴기는 저체중 집단과 마른 비만 형 집단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p<0.001, p<0.010)가 있었다. 유연성 변인인 좌전굴은 비만 집단을 제외한 세 집단(p<0.002, p<0.001, p<0.019)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폐지구력 변인인 1200m 달리기는 네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p<0.001, p<0.001, p<0.001, p<0.001)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on Obese Indices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College 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 target college men of the 448 people to take four semesters 2012-2013 school fitness management class. Group division were divided underweight(n=46), thin-obesity(n=174), normal-obesity(n=167) and obesity(n=60) by obesity indices(BMI, BF(%)). Fitness management class was conducted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obesity indices and health-related fitness. Fitness management classes consist of resistanc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conducted to exercise 75 minutes/one day twice a week. underweight and thin-obesity group have a positive improvement effect on body weight(p<0.002, p<0.001), BMI(p<0.003, p<0.001) and BF(%)(p<0.003, p<0.001). But normal-obestiy and obesity group have not a positive improvement effect. Also, thin-obesity, normal-obestiy and obesity group have a positive improvement effect(p<0.004, p<0.001, p<0.005) on waist-circumference. In addition, most of all of four groups were positive improvement(p<0.005) on health-related fitness variables. In summary, regardless of the student's BMI ratings, fitness management classes have a positive improvement effect on obesity indices and health-related fitness.
김명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7 No.2
How can we understand the emergence of the ‘able’ developmental state in Korea and its transformation to the ‘less capable’ types of the state, such as predatory and Sisyphean? To what extent and in what specific way does the culture matter in this dynamic process of the state building and change?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 perspective, we clarified the critical juncture of the emergence of the developmental state as an institutional innovation and its transformation to the predatory and Sisyphean as symptoms of post-developmental state. We also identified the ways in which cultural hybridity work in setting the economic growth path as well as in sustaining the path-dependency that now undercut the strength of the state. Finally, we speculated the 3 logical possibilities that the current Korean state would likely to have.
실무자료(實務資料) : 부동산 소송의 쟁점 -원시취득자가 토지사정명의인인 경우를 중심으로-
김명수 법조협회 2007 法曹 Vol.56 No.2
1945년 일제가 패망한 후 우리나라는 6.25라는 비극적인 전쟁을 겪게 되었고, 그 전쟁은 우리나라의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많은 분야에 엄청난 손실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 그러한 손실들 중에는 행정기관이 보관하고 있던 각종 공문서의 멸실·훼손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그렇게 멸실·훼손된 공문서 중에는 부동산 관련 각종 공부(公簿)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현재 많이 제기되고 있는 국가 상대 부동산 소송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일부 개인이나 속칭 친일파의 후손들만 제기하던 국가 상대 부동산 소송은 199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점차 범위가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지금은 정보공개 및 부동산 개발행위 등으로 인한 시가(市價) 상승이라는 요인 등과 맞물려 사건 수만 해도 엄청난 실정이다. 그러나 국가는 대부분의 소송에서 계쟁 부동산의 취득과 관련된 자료들을 확보하지 못하여 패소하고 있다. 특히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수 십년 동안 제공되고 있던 토지들(예를 들어 도로, 군부대 부지 등)과 관련된 소송에서 국가가 패소하게 된다면 이는 국가뿐만이 아니라 국민 전체의 손해가 될 것이다. 여기에서는 개인(원고측)이 주장할 수 있는 청구원인과 그에 대하여 국가(피고측)가 주장할 수 있는 항변사항 등을 살펴 어떠한 형태로 소송을 수행하는 것이 국유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간략하게 적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