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임플란트 환자에서의 상악동 구조물에 대한 CBCT 영상 분석
정희진,정하나,김옥수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5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41 No.2
목적: 이번 연구는 적절한 상악동 거상술의 선택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상악동의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콘빔형전산화단층영상(CBCT)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상악동 거상술과 함께 임플란트를 식립한 총 90명의 환자 중, 5년이상 생존한 146개의 식립 부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술자가 시행한 상악동 거상술 방법(치조정 접근법과 측방개창 접근법)을 알기 위해 조사하였고, 술전 촬영한 CBCT 영상을 재구성하여 상악동저 점막의 두께, 후상치조동맥(PSAA)의 높이, 잔존골 높이, 측벽 두께 및 상악동 윤곽을 측정 및 분류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적으로 상악동저 점막의 두께는 2.85 ± 3.56 mm, 상악동 측벽의 두께는 1.41 ± 0.99 mm, PSAA의 높이는14.35 ± 3.46 mm 그리고 상악동 너비는 13.13 ± 4.29 mm였다. 제2소구치 부위에서 narrow tapered type이 가장 많았다. 잔존골 높이는 상악동저로부터의 PSAA의 높이, 상악동의 너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측벽 두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잔존골 높이가 4 mm 이하인 식립 부위에서 시행된 방법 모두 임플란트 생존율은 100%였다. 두 방법 간의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치조정 접근법을 시행한 경우 상악동저의 점막 두께가 더두꺼웠고, 측방 개창 접근법의 경우 PSAA의 높이가 더 높았다(P < 0.05). 결론: 잔존골 높이가 4 mm 이하인 경우에서 낮은 PSAA의 높이, 얇은 측벽 두께 및 좁아지는 윤곽으로 인하여 측방 개창을 형성하기 어렵거나 상악동저 점막 두께가 두꺼운 경우 치조정접근법을 시행하여도 양호한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In this study, various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maxillary sinu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MSFA) were analyzed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Among a total of 90 patients who visit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had dental implants placed with SFA, 146 implant sites surviving for more than 5 years were studied.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to know the performed method of MSFA (transcrestal approach (CA) versus lateral window approach (LA)), and preoperative CBCT images were analyzed sinus mucosa thickness (FT), height of the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PSAA), residual bone height (RBH), lateral wall thickness (LT), and sinus contour,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FT was 2.85 ± 3.56 mm, LT was 1.41 ± 0.99 mm, the PSAA height was 14.35 ± 3.46 mm, and the width of the sinus was 13.13 ± 4.29 mm. Narrow tapered type was the most common in the second premolar region. RBH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eight of the PSAA and the width of the maxillary sinu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T. Implant survival was 100% for both methods in sites with RBH of 4 mm or less. Comparing anatom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two methods, FT was greater in CA and the height of the PSAA was greater in LA (P < 0.05). Conclusion: In cases where the residual bone height is less than 4 mm, it is difficult to form a lateral opening due to the low PSAA height, thin lateral wall thickness, and narrow contour, or when the maxillary sinus floor mucosa is thick, a good success rate can be expected by performing crestal approach."
2013년 법정 정년 연장이 사업체의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 :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
정희진,강창희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22 한국경제의 분석 Vol.28 No.2
Employing the “Workplace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this paper estimates employment effects of the extension of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implemented by the revision of the Elderly Employment Act in 2013.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to 60 decreased the total employment in the affected establishments. A one more worker over the age of 50 in an establishment before the extension leads to an 0.19 lower total employment in that establishment in 2017(the post-extension period). Such a decrease in employment is mainly explained by a decrease in the employment size of regular workers and workers at higher positions. This suggests that the extension of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mainly reduced the employment of middle-aged workers, who are likely to substitute for older workers. The effect of the extension of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on youth employment is, however,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논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2013년 고령자고용법 개정에 따른 법정 정년 연장이 사업체의 총 고용규모와 고용형태별 및 직급별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을 추정한다. 60세로의 정년 연장은 사업체의 총 고용규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정년 연장에 따라 사업체 내 50세 이상 근로자 1명이 늘어날 때 총 고용규모는 약 0.19명 정도 감소한다. 이와 같은 고용 감소는 주로 고용형태로는 정규직, 사내 직급으로는 차장급 및 부장 이상 직급의 고용 감소에 의해 설명된다. 이는 법정 정년의 연장이 주로 고령층 근로자와 대체관계에 있는 중장년층 근로자의 고용을 감소시켰음을 시사한다. 법정 정년 연장이 청년층 고용에 미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정희진,Sa Xiao,Peter Palese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4
Background : Influenza virus reverse genetics has reached a level of sophistication where one can confidently generate virus entirely form cloned cDNA.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attenuated live virus vaccine candidate. We tried to generate human influenza A viruses encoding altered viral NS1 proteins in various available cell lines.Materials and methods : Eight (HA, NA, NP, M, NS, PBI, PB2, PA) viral and four (PB1, PB2, PA, NP) expression plasmids were generated from A/T exas/ 36/91 influenza virus by RT-PCR and cloning with POL-I and pGEM-T vector. Two NS1 mutant cDNA (NS1-126△, NS1-99△) were also generated. We transfected these plasmids into the 293T/MDCK, 293, CEF and Vero cells and incubated with culture media for 2-3 days. And then, we inoculated cell soups into the embryonated eggs. After 3-4 days of incubation, we harvested allantoic fluid and checked viral titer by HA assay. Finally we did RT-PCR and sequencing to confirm the virus.Results : Finally we got the NS1 mutant A/Texas influenza viruses from 293T/MDCK cells, but not from FDA approved cells. However, whereas 293 cells are capable of being transfected and of growing the NS1 mutant viruses with low titer, CEF cells are only capable of growing this mutant viruses.Conclusion : 293 and CEF cells could not be used alone for acquiring NS1 mutant A/Texas influenza viruses. However, 293/CEF co-culture seems to be a resonable next step for NS1 mutant virus rescue for human using. 배 경:분자유전학의 발전으로 cDNA만을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바이러스를 만들어내는 일이 가능해졌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8개의 유전자 RNA 분절로 구성된 전형적인 분절형 바이러스로서 이들 바이러스 RNA을 만들어낼 수 있는 플라즈미드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조작이 가능한, 여러 형태의 바이러스 합성이 가능하여졌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약독화 생백신 주로서 사용이 가능한 바이러스를 제조해 내고자 하는 일련의 시도로서 바이러스의 세포내 감염 후 나타나는 인터페론 반응을 적절히 억제하여 세포내에서 증식은 가능토록 유지하면서 독성은 약화된 형태의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만들어 내고자 하였다. 방 법:인터페론 조절 단백인 NS1의 N-말단 부위를 보유한 NS1-126, NS1-99 변이 유전자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야생형 바이러스로부터 만들었고 나머지 유전자(PA, PB1, PB2, NP, NA, HA, M)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얻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합성에 흔히 이용하는 293T/MDCK 세포주에서 바이러스 합성을 시도하였으며 7-9 일란에서 증폭하고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및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NS1 변이형 바이러스(A/Texas)를 최종 확인하였다. FDA에서 허가한 세포주(Vero 세포) 및 허가 가능 세포주(293, CEF 세포)에서 동일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 과:1) 293T/MDCK 세포주로부터 유전자 재조합된 야생형 A/Texa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NS1 변이형 (NS1 1-126Δ, NS 1-99Δ) A/Texas 바이러스를 합성하였다. 계란에서 증폭한 NS1 변이형 바이러스의 역가 (107/mL)는 야생형 바이러스(109/mL/)에 비하여 10-100 배가량 낮았으며 인터페론 반응이 미숙한 조생란(7일란)에서 배양한 경우 역가가 높게 측정되었다. 2) 293T/MDCK 세포주에서 얻은 야생형 및 NS1 변이형 A/Texa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성상을 FDA에서 허가한 Vero 세포주와 293, CEF 세포에서 확인한 결과 Vero 세포에서는 바이러스의 효율적인 성장이 관찰되지 못하였다. CEF 세포는 플라즈미드 DNA의 transfection이 불가능하였으나 바이러스의 성장은 비교적 효율적이었다. 293세포는 transfection, 바이러스 성장면에서 타 세포에 비하여 비교적 우수하였다. 3) Vero, CEF, 293 세포주에서 NS1 변이형 A/Texa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합성을 수 차례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결 론:NS1 약독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미 개발된 저온 적응형(cold adapted) 바이러스에 비하여 면역학적으로 우수한 반응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되는 생백신의 후보이다. 비록 현재까지 FDA에서 공인하고 있는 세포주에서의 인간 NS1 약독화 바이러스의 합성에는 실패하였으나 293/CEF의 혼합배양, 돼지 호흡기 상피세포 등 사람에 있어 보다 안전한 세포주에서의 바이러스 합성시도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향후 안정적인 시스템에서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포괄분석에 의한 벤처기업의 경영성과 비교 -전자.통신업체를 중심으로
정희진 대한경영정보학회 2000 경영과 정보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venture business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industry by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DEA is a linear programming-based technique that converts multiple input and output measures into a single comprehensive measures of productive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CCR model and trend analysis model are used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18 venture business. Input variables are number of employees. raw-material costs and production capability and output variables are real production, sales revenues and net income after taxes. DEA approach broad information like as efficiency level of each Decision Making Unit(DMU), reference group of efficiency improvement and trends of efficiency shift. Finally, the correlation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are exami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