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김문희,조미영,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We first studied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irtee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e.,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en's University); 253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question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is experience in tea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liberal arts related to science were 3.9 credits, and 3 out of 13 curricula offered this course as an elective course rather than a mandatory course; (2)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science education majors were 4.9 credits. The major course included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content and experiment; and (3) many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recogniz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t should: (1) combine science content with experiment, (2) be in accord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3)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signing of experim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 교수 어려움의 원인을 찾고자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 초등교사 253명에게 대학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과 과학교과를 가르칠 때, 대학에서 다루었던 교육과정 프로그램 활용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대학의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교과와 관련된 교양과정은 평균 3.9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사한 13개의 양성대학 중 3개의 대학은 과학관련 교양과목을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공과정은 평균 4.9학점의 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 과정 안에서 과학교과 4가지영역의 교과내용과 관련 실험, 교과교육에 관한 이론수업까지 많은 양의 수업이 이루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직 초등 교사들의 양성기관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어 양성기관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제한된 시간에 맞추어진 교과내용수업과 실험수업의 통합이 필요함과 둘째,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와 부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양한 실험의 설계를 교사가 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

        강경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등재

        과학교과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강유진,전란영,김희화,조혜숙,박종석,손정우,남정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4

        With more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llow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mpetence to select, connect and adopt information searched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memorized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resulting in growing emphasis on character competence in school curriculums. As practice is becoming more emphasized in character education, possi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raised in subjects including scienc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cogni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practice and result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The teacher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and are satisfied with the result. The most common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is collaborative activities, including group work, while separat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re rarely adopted. As suitable chapters for character education, those on scientific methods, nature of science, and SSI chapter are suggested, rather than those of specific knowledge. It is recognized that the support of parents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 for the challenges in character education, lack of time and results-oriented atmosphere are pointed out.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정보 접근성의 확대로 인하여 각 개인의 암기된 지식보다는 검색한 정보를 선택하고 연결하여 응용하는 능력이 문제해결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인성핵심역량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었다. 인성교육에서 실천의 측면을 강조하면서 과학교육을 포함하여 교과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 실행과 결과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과 과학교과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실행 결과에 대해 비교적 만족하였다. 과학교과에서 인성교육 실시방법으로 조별활동 협력학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별도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인성교육에 적합한 단원으로는 과학내용보다는 과학적 방법, 본성, SSI 관련 단원을 제시하였다. 인성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 가정과의 연계 및 학부모의 인성교육 지지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인성교육의 어려움으로 시간부족과 결과만을 중시하는 풍토를 지적하였다.

      • KCI등재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읽기·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서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에서는 국어교육의 역사와 연구 현황을 간략히 살펴본 후, 최근의 국어교육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독서와 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이 타교과교육과 어떻게 상호 연관성을 갖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국어교육과 타교과교육과의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국어교육학 연구는 국어학과 국문학 중심의 학제적 연구에서 더 나아가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국어사용 측면에 대한 연구가 심화 되었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고 체계화되어 왔다. 앞으로 국어교육학 내부의 세부 연구도 더욱 축적되어야 하겠지만, 학문적 폐쇄성이나 배타성을 버리고 관련 학문들과의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통합 교과교육적 접근의 시각이 요구된다. 이는 국어과 교과서에 실릴 텍스트의 선정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타교과의 효율적 교재 구성, 학습자의 종합적인 인지발달 단계 파악,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초중등 교육의 기틀 마련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research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after KLE) focu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reading i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or pedagogics. The researches of KLE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20 years. There are almost 150 doctoral dissertations and so many books regarding introduction to the KLE or subordinate area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reading, writing, pedagogic grammar and literature educations including Korean versions of translation. This study, on the whole, consist of three parts. I tried to explain briefly (1) the history of KLE, (2)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of KLE focused on reading education, (3)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KLE has so close relations with many subject-matter areas, which means there are so many tasks and researches we have to do interdisciplinary. In this contex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education area. In particular, we need to develop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which has not been developed efficiently compared to mathematics or science field. Most researchers agree that we should work more on the language development for learners in KLE including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ext and discourse. Soon, we will see a good deal of emphasis on the essential education related to 4 basis skill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every subject-matter areas also. Especially, the drive to combine reading and literature will be stressed in many levels of education.

      • KCI등재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연구

        장선희,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총 8개교의 교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사 교육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의 「교원 양성 기관 현황」 과 음악교육과가 개설된 사범대학들의 2003학년도 요람에 근거하여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과 교육 과정의 편제 및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과정 편제에 따른 이수학점의 편성 현황을 살펴보고,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및 「기본이수과목」규정의 운영과 전공 개설 교과목의 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편제는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수학점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교양과 전공 교육 과정의 대학별 이수학점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한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의 규정을 대부분 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본이수과목」의 규정은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공 교육 과정의 대부분은 교과 내용학 과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 내용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는 전통음악 영역의 교과목이 서양음악 영역의 교과목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음악 교육학 영역, 서양음악, 그리고 전통음악 영역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학 과목에 편중되어있고, 또한 일반음악대학의 음악관련 과목과 차별화되지 못한 채, 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과 독자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범대학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 함양을 구체적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음악교육교과의 각 영역에 따른 교과교육학 과목의 비중의 확대와 교육실습과정의 보완을 통하여 음악교사의 실질적 능력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교육과정으로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a for secondary music education in eight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Status Quo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2003 Yearbooks of the eight colleges. More particularly, it seeks to ascerta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at have music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these programs. The curricula examined on whether they have the three areas of study, viz. (i) liberal arts;(ii) the major subject of study and (iii)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nd balance among these three areas. The study found that 8 colleges of education, 39 colleges of music, 1 college and 5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nduct music education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these programs were not specific enough to allow for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to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a consisted of the three areas listed above in all the eight colleges. However, the major subject of study took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of the colleges. The imbalance was most evident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n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colleges tended to concentrate on regular music courses. In the music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inadequate emphasi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was similar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music.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music teacher education were not achieved.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emphasis to music education, teaching courses and teaching practicum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교과교육 분야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실태와 과제

        이차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학교교육에서 교과는 핵심적 위치에 있으므로,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예비교사의 교과지도 능력을 제고하는 것은 그기관의 중요한 임무이다. 양성기관에 대한평가는 그임무의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으로서 중요한데, 이 연구의목적은 교과교육 분야에 대한 양성기관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종단적으로 추적하는데 있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교과교육 분야의 평가에 대한 점검 결과 세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평가항목과 평가 기준이 매 주기별로 달라져 동일한 양성과정이 평가주기에 따라 어느정도 발전해왔는지를 확인할수없다. 둘째, 1, 2주기평가까지는동일 평가주기에 있어서도 양성기관에 따라 평가의 항목과 평가 기준이 달라져 양성기관별 교과교육 실태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셋째, 평가결과를 등급으로만 공개하고있어 양성기관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데에는 편리하나, 그절대적 수준을 알려주지 못해 결과 활용을 제한하고있다. 2015년도에 시작할 4주기 평가모형의 세부 내용이 현단계에서 아직확정된 상태가아니므로, 그 결정을 위한 추후 검토와 논의의 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개선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의방향으로 교과교육 분야 평가항목의 일관성 유지, 양성과정별 교과교육 실태의 비교 가능성유지, 평가결과 제시방식의 다변화(상대적등급및절대적수준)등을 제시한다. Subject education is critical in schooling.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ion(TTI) to enhance the subject teaching ability of expectancy teachers. This task can be check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T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of TTIs. By monitoring the past 3 periods (1998-2014) of evaluation in Korea, this study reveals three pitfalls of the evaluation as follows: 1) The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have been changed during those periods, thu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the extent of progress made by the TTIs. 2) For some periods, each evaluation differed in items and criteria applied, thus making an objective assessment is difficult. 3) The evaluation results have been made public only in the form of relative grades, thus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absolute level of each TTI in the sphere of subject education. When devising the new evaluation model for the 4th period (2015- ),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three reformative directions as follows; consistency in evaluation, comparability among various types of TTIs, and diversification of the reporting methods of the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전혜진,강석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1

        An analysis of how environment and/or sustainability are introduced in the current textbooks allows exploring the role and th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could serve as a basis for formulating new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nd analyz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rom elementary school science, social studies,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classified as text/students’ activity, main topic/material, knowledge/attitude-value/competence/practice-participation, and ecological/economic/social perspectives represented in the cont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round half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social science, and ethics textbooks were the students’ activity type whereas most of them in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the text type. In additio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were presented as the main topic type while 40 to 60 percent of them in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were presented as the material type. Asp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value were properly introduced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hereas aspects of competence and practice-participation were rarely covered. Although the ecological perspective was represented, to some degree,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e presence of economic perspective widely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the social perspective was rarel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환경이나 지속가능성이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에 어떻게 도입되는지 분석한다면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교육의 역할과 방법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정책과 실천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 관련 교과라고 할 수 있는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의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환경교육 내용은 텍스트/학생 활동, 중심 주제/소재, 환경 지식/환경 태도·가치/환경 역량/환경 실천과 참여, 지속가능성에 대한생태적/경제적/사회적 관점 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사회, 도덕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은 절반 정도가학생 활동 유형이었으나 실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대부분 텍스트 유형이었다. 과학과 사회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대부분 중심 주제 유형이었으나 실과와 도덕 교과서는 40-60% 정도가 소재 유형이었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환경지식 범주와 환경 태도·가치 범주는 적절히 반영되어 있었지만, 환경 역량 범주와 환경 실천과 참여 범주는 거의 반영되지않았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태적 관점은 어느 정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제적 관점은교과에 따라 편차가 컸고 사회적 관점은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사회 교과서의 문제점 탐색 :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준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ed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primary school teachers' various opinions. Fir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s were examined. Second, to collect teachers' critical opinions on these new textbooks now in use, 16 teachers in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interviewed. Findings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problems in some parts of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ⅰ) the content was decoupled from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utlined in the curriculum guidelines; ii) an inadequacy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 did not reflect the basic intent of the activities nor the curriculum objectives; ⅲ) a recurrence of similar activities focused on summing-up; ⅳ) a mismatch between the content and level of activities. In the future, these problems need to be revised to improve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교사가 교과서의 중요한 소비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보다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비록 한 개인이나 소수의 교사들이라 할지라도 이들이 제기하는 비판과 문제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들이 제기하는 비판적 의견을 중심으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발맞추어 새롭게 개발된 사회 교과서가 어떤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서가 어떤 방향에서 개발되었고 그러한 개발 방향을 구현하기 위해 교과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교과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는 인식 하에, 새 사회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의 토대 위에서 교사들이 제기하는 비판의 목소리을 중심으로 사회 교과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자유롭고 솔직한 의견을 듣기 위해서 새 사회 교과서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3·4학년 교사들을 면접하였다. 면접 대상인 교사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해 보았을 때, 새 사회 교과서의 일부 제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ⅰ) 개발 의도와 괴리된 제재의 구성; ⅱ) 활동의 기본 정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하지 못한 부적합한 내용 구성; ⅲ) 정리를 위한 동일 유형 활동의 반복적 제시; ⅳ) 내용과 활동 수준의 부적합성. 보다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향후 교과서 수정 작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기술철학 관점에서 기술교과교육에 대한 논의

        김다솔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2

        기술교과교육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사회를 살아 기기 위한 핵심역량을 키워 줄 수 있는 교과로써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지만 그 가치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교과교육의 중요성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기술철학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II장에서 기술교과교육의 의미와 기술교과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평가했으며, III 장에서는 기술철학의 의미와 기술철학에서 기술에 대한 논의를 살펴봤다. IV장에서는 기술철학의 관점에서 기술교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연구 결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장인과 같이 도구를 사용하고 제품을 사용하는 기술적 숙련도가 아니라 창의적으로 구상하고, 설계하고 표현하고 자동화된 기계를 운용하는 숙련도가 중요해 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과 기술 모두를 소외시키지 않는 인간과 기술의 조화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기술교과가 ‘메이커교육’, ‘STEAM교육’과 같이 실제적 상황과 기술적 행동자체를 강조한 교육방법이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As a key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to live in the future society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highlighted but the value is not properly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and direction of technology education from philosophy of technology point of view.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reviewed and evaluated the meaning of the technology education, and its goal and the process of contents.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meaning of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reviewed the discussions on technology in philosophy of technology.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the technology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techn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make it important not to have the technical skills to use tools and products like artisans, but to have the skills to plan, design, express and operate automated machines creatively. Through this, it can lead to harmony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that does not alienate both humans and technology, and it can be positively evaluated in that the technology curriculum is drawing attention to actual situations and methods of technical behavior such as “Maker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