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이선희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1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소비트렌드의 선두주자로 부상하면서 두 세대를 단일 집단(MZ세대)으로 간주한 관련 뉴스와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두 집단은 직업, 결혼 여부, 소득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서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1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까지의 다양한 연령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그들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으로 간주되고 있는 밀 레니얼 세대(M세대)와 Z세대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각 세대 내에서 여가라이프스타일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하였다. 데이터는 476명 의 응답자(밀레니얼 세대 응답자 223명, Z세대 응답자 253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 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두 세대는 여가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각의 집단 내에서 여가라이프스타일 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검증된 적절한 시장세분화를 바탕 으로 정확한 시장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을 실행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the “Millennials and Generation Z”(MZ generation) have emerged as the leading players in the consumption trend, related news and research are constantly coming out with considering two generations as a single group. However, two groups contain age range from late teens to early forties. This range is various in regard to demographics such as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income. Such differences can have influences on their leisure lifestyle and leisur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Millennials (Generation M)” and “Generation Z” have differences in their leisure lifestyle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leisure lifestyle on leisure satisfaction within each generation.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 from 476 respondents(223 respondents of “Millennials” and 253 respondents of “Generation Z”).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wo generation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leisure lifestyle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showed that leisure lifestyle had influ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within the 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adapt a proven market segment in order to analyze accurate market trends and to apply its information in the market for effective marketing practice.
외국어 발음 교육에서 인지적 구성주의 교수 설계의 필요성
이선희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3
We use prototypes (also known as referent in semiotics) when we understand the outside world. Different language users use different prototypes to decode the same sound. In a foreign language perceptual process, learners' target language prototypes are different from native speakers'.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two things: First is to prove that learner's prototypes are different from TL native speaker and this cause the error of listening and pronunciation. Second is to understand why the language teachers need to have constructive teaching instructions. For this, this paper choose Korean Chinese learners as experimentee, carried out three experiment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learner's error and communication success. 인간은 외부 세계를 지각할 때 모두 자신의 대뇌 인지의 표상을 사용한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동일한 말소리를 다르게 듣기도 한다. 학습자가 목표어의 말소리를 지각하는 과정도 마찬가지로, 학습자는 자신이 구축한 목표어 음소 범주의 표상을 사용하여 목표어의 소리를 인지한다. 본고의 목적은 학습자가 사용하는 대뇌 음소 표상이 목표어 모국어 화자와 다르기 때문에 발음과 청해상의 오류가 생기는 것을 검증하고, 이런 학습자의 오류가 실제 커뮤니케이션에서 지니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음성지각이론과 구성주의 교수이론 등을 살펴보고 중국어를 학습하는 국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째는 오류를 범하기 쉬운 중국어 단모음 [y]를 포함하는 단어의 청해 정확도 측정이다. 둘째는 해당 음운을 포함하는 단어의 ‘듣고 따라 하기’ 결과의 정확도를 2개 조의 중국인 평가단이 평가하는 실험이다. 셋째는 해당 음운을 포함하는 단어의 ‘읽기’ 결과의 정확도를 같은 중국인 평가단이 평가하는 실험이다. 중국인 평가단은 언어교육전공자와 일반인의 두 개 조로 나누었다. 실험결과 한국인은 중국어 단모음 [y]로 이루어진 단어의 청해에 어려움을 느끼며, 발음에도 체계적인 오류를 범하였지만, 언어를 교육한 전공자들은 그 오류를 잡아내는 반면 일반 중국인들은 오류발음을 문제시하지 않았다. 본고의 실험 결과들은 외국어 수업을 담당하는 센터의 수업 설계와 교사들이 교수 방법에 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재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가족수발자 지원 정책 현황 및 개선 방안
이선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보건복지포럼 Vol.253 No.-
이 글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권 안에서 돌봄을 필요로 하는 노인이 가정 혹은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Aging in place’를 구현한다는 원칙하에 현행 관련 제도에 대해 접근하였다. 특히 더욱 안정적인 가족수발 지원이 가능하도록 가족요양비, 가족요양보호사제도와 관련 상담 및 교육제도를 살펴보고 그 한계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선험국의 가족 지원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가족지원제도에 대한 재검토, 가족 수발자를 위한 다각화된 지원서비스 활성화, 다양한 재가서비스 이용 유인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이선희 한국섬유공학회 2019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ace-style 3D printed textiles us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aments for 3D printing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Composite voile textiles with lace motifs of different sizes were produced by various roller press processes. The textiles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ir tensile behaviors, tensile characteristics, and stiffnesses. The analysis of tensile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3dLaceM1 textile with a big pattern had a maximum load of 13.2 kgf and an elongation of 274.3%. Moreover, as the size of the lace motif decreased, the maximum load value tended to decrease, while the elongation value tended to increase. The composite 3D-printed lace/voile textile (3dLaceM1/voile), which was produced by a roller press, had a maximum load of 35.4 kgf and an elongation of 383.9%. The initial modulus of 3dLaceM1/voile was 20.56 kgf/mm2, which was more than six times that of the 3D-printed lace textile that was produced by the roller press process. The stiffness of the 3D-printed lace textile tended to decrease with the size of the lace motif. In addition, the 3D-printed lace that was produced with the roller press process exhibited more flexibl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tiffness of the composite 3D-printed lace/voile texti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3D-printed lace textile. Thus, the tensile characteristics and stiffnesses of textiles could be customized for specific uses through process control of the 3D-printed lace.
KAL1 유전자의 완전 결실로 인해 형제에서 발생한 칼만 증후군
이선희,정우영,한성우,김구환,유한욱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6 No.1
Kallmann syndrome (KS) is characterized by the association of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and anosmia. Although the vast majority of KS cases are sporadic, some X-linked recessive (KAL1), autosomal dominant (FGFR1), and autosomal recessive (most commonly GNRHR) modes of inheritance have been described. Two boys were referred to our department because of cryptorchidism and the absence of puberty. Upon laboratory evaluation they were diagnosed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Agenesis of the olfactory bulbs was detected in radiologic tests, and total deletion of the KAL1 gene was detected through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Although cryptorchidism was diagnosed in the siblings, only the older brother suffered from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right renal agenesis, a feature that had been reported in X-linked KS. We describe herein the clinical heterogeneity of two affected brothers who carry a complete deletion in KAL1; this is the first case of familial Kallmann syndrome due to the complete deletion of the KAL1 gene reported in Korea.(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1;16:61-65) 칼만 증후군은 성선 자극 호르몬 결핍성 성선기능 저하증과 무후각증을 동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여기에는 성염색체 연관성으로 유전되는 KAL1 유전자 돌연변이,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KAL2 유전자 돌연변이,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KAL3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다. 저자들은 사춘기 지연과 잠복 고환을 주소로 성선 기능 저하증이 의심되는 형제에서 보인자인 어머니에게서 유전된 KAL1 유전자의 완전 결실로 인한 칼만 증후군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형은 칼만 증후군에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오른쪽 신장 무형성증과 왼쪽 감각신경난청 소견을 보였지만 동생에서는 이러한 소견 없이 잠복고환의 소견만을 보임으로써 같은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한 질환이지만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것을 관찰하여 KAL1유전자의 발현에 다른 modifier gene 이나 epigenetic factor들이 작용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해외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과 전공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진단과 평가 - 미국 웰슬리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
이선희,이진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이 연구는 웰슬리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을 사례로 미국 대학 내 한국어 전공의 현황을 살피고, 그 발전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형성 평가 방식을 도입하고 요구, 과정, 결과의 세 단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밝히며 효율적 개선방안을 고찰하기로 한다. 연구의 성과물로 ‘학습자 요구도’,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자원 활용’의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 개선 방안으로는 말하기 수업 비중의 확대, 언어와 내용(콘텐츠) 융합을 통한 교육과정 및 운영 방법 구성, 한국어 전공 활성화, 테크놀로지와 휴먼네트워크를 활용한 학습자 주도 학습, 인사 조직 관리 체계 구축 및 전문 강사진의 역량강화, 교수학습 자료의 공유 체계화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평가 방식은 교과 과정뿐만 아니라 비교과 과정을 아우른 것으로 미국 내 한국어 프로그램의 운영과 제반 문제점들을 미시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도구로 기능한다. 나아가 프로그램의 장기적 질적 성장 모델을 구축하거나 한국어 전공의 새로운 시작과 발전을 기획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challenges for developing Korean programs abroad and provides formative evaluation for stabilizing and vitalizing the Korean major with a case study of Korean Program at Wellesley College in the U.S.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and immediate issues for improvement will be assessed by focusing on three distinct aspects including needs, process, and outcome. As a result, the study highlights four areas for improvement; learners’ needs, Korean curriculum, pedagogical methodology and resource application. Practical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for each area, which include 1) expanding ratio of speaking activities, 2) renovating the program curriculum and vitalizing Korean major through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ontent courses, 3) promoting learner agency of learning by utilizing technology and human network, 4) systematizing human manag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of instructors, and shared program resources. The formative evaluation involves both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Korean program. This evaluation methodology may serve as a tool to examine the management and related issues of other small Korean programs abroad at the micro level. Additionally, the outcome of the study will be useful for Korean programs seeking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major or planning to launch new Korean maj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