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7)

        김재홍,문득곤,김정수,김용준,임동진,박상훈,김희성,이민수,송기훈,김갑형,김형석,성소영,이인섭,김석우,황지환,조창근,김경문,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 In 1997. 9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45(45.5%) were PPNG.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45.5% in 1997.

      • 경연 대회를 통한 초ㆍ중고생의 창의력 신장 효과에 관한 연구

        이희복,육근철,류해일,김현섭,김희수,박달원,유병환,김선효,김여상,서광수,변두원,서명석,배성효,박종석,심규철,이성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32 No.1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개인의 개성을 존중과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인간을 양성을 목적으로 충청남도 지역의 초 ㆍ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력 경연대회가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최되었다. 충청남도 초 ㆍ중 ㆍ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창의력 경연대회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내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좋은 기회였음이 확인되었으나, 일부의 팀에서만 참신하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다. 여학생의 참가자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입상권의 학생들의 상당 부분이 여학생이라는 것이 특이할만하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양이나 질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론 학습의 적응력이 미흡하고 발표력 및 청취력에 있어서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 ㆍ고등학교의 학교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프로젝트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은 물론 토론식 수습을 통한 학생들의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ivity competition was held to foster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competition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inventing creative ideas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But, only some competitors participated in semifinal and final contests, presented original and interesting ideas. More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competition than last year. More female participants were awarded a prize than males. Totally, participants were defective in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and listening ideas. Increasing grades correlated inversely with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ere is need of inquiry project teaming programs and presenting opportunities of conversion of thinking by discussing instructions in school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성인에서 발병한 지역사회폐렴의 원인으로서 호흡기 바이러스의 역할

        김지희,곽영호,나병국,이주연,신구철,정혜선,홍정연,오명돈,정희진,김민자,배현주,김양리,신완식,강재명,우준희,어수택,이환종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1

        Purposes : To investigate the viral etiolog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Korean adults, we have detected respiratory viruses (Respiatory syncytial virus, adenovirus, influenza virus and parainfluenza virus) in the way of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Methods : From July 1997 to April 2000, nasal aspirates or sputum were obtained from adults patients with community pneumonia admitted to the participating hospitals and transferred immediately to the central laborator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ne part was used for indirect immunofluorescent test for respiratory viruses, the other part for the culture of RSV and adenovirus in HEp-2 cell monolayer. The other part was used for the culture of influenza virus and parainfluenza virus in MDCK or LLC-MK2 cell monolayers. Results : Of 317 samples, 32 (10.1%) specimens were positive for viral agent by indirect IF staining or culture, including one dual-infected specimen (adenovirus and parainfluenza virus). Influenza virus was most commonly detected (16 specimens). Parainfluenza virus, adenovirus and RSV were detected in 10, 4 and 3 patients, respectively. All isolated influenza viruses were type A (H3N2 in 9 patients, HIN1 in 2 and unspecified in 5), and 8 out of 10 parainfluenza virus isolates were type 3. Conclusion : Similar to previous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a significant portio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Korean adult is caused by respiratory viruses. (Korean J Infect Dis 33:8~14, 2001)

      • KCI등재

        야쿠트어 폐쇄자음 연구-러시아어 차용어휘 분석-

        강덕수 ( Duck Soo Kang ),김지선 ( Jee Sun Kim ),홍준희 ( Jun Hee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7 언어와 언어학 Vol.0 No.39

        Duck-soo Kang.Jee-sun Kim.Jun-hee Hong. 2007. A Study of Obstruents in Yakut through Analysis of Borrowed Words from Russian. Language and Linguistics 39, 1-16.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raints in Yakut is connected with syllabic structure. Its syllabic structure is based on CV. So the constraint of "NoGeminates" is strictly applied. And the harmony between feature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Yakut has the strict constraint on the phonotactical relations. In Yakut a feature [constricted glottis] works more vigorously than [voiced]. This feature is combined with a feature [+back] or [+lab], making new constraints on the initial place: *#[+back, -CG], *# [+lab,+CG]. Finally, consonantal assimilation in obstruents of Yakut is dominated by 2 lows of constraints. VowelHarmony >> Ident-CV[pl] >> NCP >> *[+palatal]# >> Ident-IO; *#[+back, -cont][+back,-high] >> *#[+back,-CG], *# [+lab,+CG] >> [+cont] >> NoGem >> Ident-IO >> *[+voiced]#

      • SCOPUSKCI등재

        당뇨병 환자에서 혈장 Thrombin-Antithrombin Ⅲ 및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복합체의 임상적 의의

        김경욱,김은숙,정상수,윤수지,박우일,이준희,남수연,안철우,문병수,김경래,차봉수,송영득,임승길,이현철,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5

        연구배경: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섬유소용해 체계의 이상경향이 있어 그 결과로 여러 혈관합병증의 발생위험이 높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혈당으로 인한 혈장 단백질들의 비효소성 당화작용이나 산화성 스트레스로 인한 유리 라티칼 작용으로 응고항진이나 섬유소용해 활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응고 및 용해인자와 그 억제자의 복합체들의 증가가 이 상태를 비교적 예민하게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 101명과 정상 대조군 20명에서 혈장내 thrombin­antithrombin complex(TAT)와 plasmin­α₂­plasmin inhibitor complex(PIC)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합병증의 유무에 따른 차이와, 이미 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1. 환자의 분포를 살펴보면 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은 85명, 혈관합병증이 없는 군은 1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57.9±14.1세, 49.9±16.6세로 혈관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더 나이가 많았고, 체질량지수는 23.2±3.4㎏/㎡, 24.1±3.4㎏/㎡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두 군간의 혈압 및 HbA1c, 공복혈당 및 인슐린과 C­peptide,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p⒜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었다. 2. TAT 및 PIC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는 2.8±1.2 ng/mL, 240.4±69.7 ng/mL이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9.5±22.6 ng/mL, 472.2±258.7 ng/mL이었다. TAT와 PIC 모두 당뇨병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p<0.001), TAT/PIC ratio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3. 당뇨병 환자의 혈관합병증에 따른 TAT 및 PIC, fibrinogen 농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은 각각 4.1±2.4ng/mL, 362.2±272.0ng/mL, 322.7±102.4mg/mL으로 PIC와 fibrinogen의 증가를 보였으나,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 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각각 6.0±4.9 ng/mL, 507.4±321.6 ng/mL, 427.1±194.7 mg/dL이었으며 미세·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10.4±6.4 ng/mL, 484.8±269.7 ng/mL, 388.4±132.4 mg/dL으로 TAT의 증가를 보였으나 역시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미세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PIC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049), 대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42). 5. 총 당뇨병 환자군에서 PIC는 fibrinogen과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47, 0.31,-0.25),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7). 결론:이상의 결과에서 혈장 TAT 및 PIC 농도는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연령의 증가와 유병기간이 혈액응고항진 및 용해의 장애에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총 당뇨병 환자군에 PIC와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용해의 장애가 동반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혈장 TAT 및 PIC는 혈관합병증으로의 진행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 혈당조절정도와 상관성이 있으므로 혈당조절후에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한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tic system is known as a predisposing factor of vascular complication in diabetes. Although the pathogenesis is not well known, non-enzymatic glycation reaction and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due to an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be linked to the hypercoagulibility and hypofibrinolytic activity. As indices of abnormality in coagulation and firinolysis in peripheral bloo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le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complex (PIC) were meas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hypercoagulability exists in diabetic patients with or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Methods : In our study, we measure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el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 or complex (PIC) in 101 diabetic subjects and 20 controls. Comparing TAT and PIC levels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and controls, we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Results : 1. The group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was older than group without compl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lood pressure, HbA_ic, blood sugar level, insulin, C-peptide, serum creatini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p (a) between two groups. The group with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had longer duration of diabetes. 2.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were 2.8±1.2 ng/ mL, 240.4±69.7 ng/ mL in controls and 9.5±22.6 ng/ mL, 472.2±258.7 ng/ mL in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 TAT and PI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patients than in control (p<0.001). But TAT/PIC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In diabetic patients,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respectively 4.1±2.4 ng/ mL, 362.2±272.0 ng/ mL, 322.7±102.4 mg/ dL in group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and 5.3±4.1 ng/ mL, 529.5±258.7 ng/ mL, 374.9±106.2 mg/ dL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had increase in PIC and Fibrinogen but no significance after correction of age.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60.±4.9 ng/ mL, 507.4±321.6 ng/ mL, 427.1±194.7 mg/ dL in macrovascular complication, and 10.4±6.7 mg/ mL, 484.8±269.7 ng/ mL, 388.4±132.4 mg/ dL in combined 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showed increase of TAT but also had no significant increase after correction of age. 4.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9) had significant high PIC concentration. In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2) had significant high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5. In all diabetic patients, PI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brinogen and HbA_1c and negatively correlated BMI (r=0.47, 0.31, -0.25). Only in daibetic patients without angiopathy, T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bA_1c (r=0.67). Conclusion : In this study, plasma TAT and PIC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s, and PIC was increased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TAT were increased in group with combined micro macrovascular compli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relationship existed when correctinf for age. PIC was correlated with HbA_1c. TAT was correlated with HbA_1c only in the group without angiopathy.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were combined in diabetes, plasma TAT and PIC can be used as an index of vascular complication. Also we found th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the blood glucose control. Therefore we need follow up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prevention of vascular complication after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to age-matched patients (J Kor Diaabetes Asso 25:354~363, 2001).

      •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에 의한 ICAM-1 유전자의 발현조절

        김현진,정효균,홍우정,김군순,조영석,김도희,채수흥,구본정,송민호,노흥규,김영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2001 충남의대잡지 Vol.28 No.1

        Background : ICAM-1 act as one of major adhesion molecules in the atherosclerotic lesion. ICAM-1 expression is mainly regulated at the level of transcription and depend on IFN-γ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which the STAT1 transcrption factor is a critical intermediate. IFN-γreceptor not only initiates tyrosine 701 phosphorylation of STAT1 by Jak1 and Jak2, but also phosphorylates serine 727 through the activation of Raf-1/MAP kinase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have anti-atherosclertic effects, beyond normalization of hypercholesterolemia, by directly acting on endothelial cells, macrophages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suppress the synthesis of isoprenoid intermediates such as geranylgeranyl-pyrophosphate or farnesylpyrophosphate. These effects results inhibitors suppress the synthesis of isoprenoid intermediates such as geranylgeranyl-pyrophosphate or farnesylpyrophosphate. These effects results inhibition posttranslational farnesylation and geranyl-geranylation processing of small GTP-binding preoteins and inhibition of normal signaling activities. Method : We made several 5'-deletion constructs of rat ICAM-1 promoter and analyzed the promoter activities by measuring the luciferase activity after transfection into ECV304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We checked the level of total and phosphorylated STAT1 protein by immunoblot analysis using specific antibodies. Results : Lovastatin inhibits IFN-γ-induced ICAM-1 gene expression in the ECV304cell. The cells pretreated with PD98059, MEKK inhibitor showed significantly low ICAM-1 RNA induction with IFN-γ stimulatio. IFN-γ induced phosphorylation of tyrosine 701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pretreatment of lovastatin. But lovastatin suppresses IFN-γ-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1/ERK2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seine 727 phosphorylation in STAT1. Conclusion : We showed that HMG-CoA reductase inhibitors, lovastatin, suppresses IFN-γ mediated ICAM-1 gene express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transcription. HMG-CoA reductase inhibitor suppresses IFN-γ-induced phosphorylation of serine 727 in STAT1 through the modulation of MAP kinases.

      • 장기간의 에어로빅스 운동이 골형성 및 각종 호르몬과의 상관관계

        김종인,김은희,김주혁,김수진,김도형,장성동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Selected girl mid㎗e school of 14- and 15- years-old who got 35% body fat rate and are obese, and have them aerobics exercise for 20 weeks, the conclusion on the matter of change between Osteoporosis and Hormones showed. The contents of Calcium has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9.38±0.34㎎/㎗ pre-exercise and 9.34±0.29㎎/㎗ post-exercise, and the contents of Glucose h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78.0±5.38㎎/㎗ pre-exercise and 81.3±5.91㎎/㎗ post-exercise. parathyroid hormone (PTH) is shown as 11.2±3.06pg/㎖ at pre-exercise arid 13.8± 4.41pg/㎖ at post-exercise, hyperparathyroidism and osteoporosis (Osteocalcin) is shown as 6.04±3.56ng/㎖ at pre-exercise and 5.29±4.92ng/㎖ at post exercis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oxypyridinoline is shown as like 8.18±2.43nM/mMcre pre-exercise arid 9.97±2.76nM/mMcre post-exercise, Alkaline phosphatase (ALP), which has an effect on the born disease, is shown 229.7±61.66[U/㎖ pre-exercise and 224.3±8.27 [U/㎖ post-exerci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p<.0l).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Growth Hormone and Parathyroid hormone(PTH) which is bone absorption hormone, the Osteocalcin which is the mark of born-form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dex of born formation mark, lipid, and hormones.

      • KCI등재

        Effect of Ultrasonic Melt Treatment on Solidification Microstructure of Al–5Ti–1B Alloy Containing Numerous Inoculant Particles

        Soo‑Bae Kim,Jae‑Gil Jung,Young‑Hee Cho,Su‑Hyeon Kim,Kwangjun Euh,Jung‑Moo Lee 대한금속·재료학회 2022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8 No.7

        The effect of ultrasonic melt treatment (UST) on the solidification microstructure of an Al–5Ti–1B alloy containing highvolumefractions of Al3Tiand TiB2particles is investigated for various UST times with different melt holding times. Theas-cast Al–5Ti–1B alloy is composed of TiB2and polygonal Al3Tiparticles (present prior to UST), plate-like Al3Tiparticles,and Al grains (formed during UST and/or solidification). The UST causes a size reduction and homogeneous distributionof the TiB2-agglomerated region containing many submicron-sized TiB2particles pushed to the grain boundaries. The USTslightly decreases the size and improves the distribution of polygonal Al3Tiparticles enriched in the TiB2-agglomeratedregion. Unlike the TiB2and polygonal Al3Tiparticles, which exhibit a minor refining effect, the plate-like Al3Tiparticlesshow a significant refinement with UST application. The US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ize distribution of Al grains byinducing the formation of medium-sized grains at the expense of small and large grains; however, it only has a slight effecton grain refinement. The degree of microstructure modification increases with increasing UST time but decreases with meltholding time after UST. The mechanisms for the refinement and dispersion of the TiB2and Al3Tiparticles and Al grains arediscussed considering fragmentation, nucleation, and growth behaviors induced by the UST and subsequent soli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