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부업무평가결과 환류제도의 운영실태 및 환류활동 영향요인 분석
임동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업무평가제도에 있어서 평가결과 환류제도의 운영실태, 문제점과 개선방안, 환류활동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행정기관의 평가담당 공무원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업무평가제도에 있어서 평가결과 환류제도가 평가결과의 공개 및 국회보고 등 다소 형식적이거나 법 절차적인 측면에서 잘 운영되고 있는 반면, 인사나 예산편성, 조직개편이나 인력운영 등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결과 정보가 환류과정을 통해 업무수행이나 정책결정, 정책의 수정・보완 등에 미흡하지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류제도의 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환류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필요하다고 공감하였다. 넷째, 환류제도는 정책목표 수정, 자기업무의 평가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다섯째, 평가결과의 분야별(정책개선, 조직, 예산, 인사, 보수 등) 반영수준은 현재수준의 유지가 바람직하다고 조사되었으며, 평가결과 정보가 정책개선, 조직 및 예산 등 조직적인 차원에서 반영되는 것이 보수 또는 인사 등 개인적인 차원에서 반영되는 것 보다 바람직하다고 평가하였다. 여섯째, 환류제도의 운영상의 문제는 환류제도 자체의 문제보다는 환류제도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요인들 즉, 평가제도, 평가지표, 평가방법, 인력 및 조직 등이 더 근본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류과정을 통해 업무의 변화와 혁신을 보다 많이 경험하고, 평가결과에 대해서 상급자 또는 상급기관으로부터 칭찬이나 보상을 많이 경험하고, 외부평가공무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평가결과의 정보가 업무수행에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공무원일수록 환류활동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동진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5 No.-
In spite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clear definition of “online friend” has not been se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fulness of online friendships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ite. Online friendship was measured not by intention to help or provide social support but by an actual amount of support received. As a result, online mobiliz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ie strength but not related to personalness of request. Although tie strength affected the online friends’ participation itself (yes or no), it did not influence the quantitative aspect and duration of secondary participants’ labor. And contact frequency between online friends, reciprocity, equity, and altruism were not associated with time spent labeling images and the number of images labeled. Future research would benefit by focusing on comparing those who participated with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erms of reciprocity, equity, and altruism. ‘온라인 친구’라는 개념에 대한 정의가 아직 불분명한 오늘날,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킹사이트 안에서의 온라인 우정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온라인 우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도와주려는 의도가 아닌 실제로 도와줬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온라인 동원: 이미지 레이블링 태스크). 결과적으로, 온라인 동원은 친밀도와 밀접한 관계(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부탁의 개인적인 정도 (부탁의 개인성)와는 상관이 없었다. 친밀도가 동원유발 그 자체와는 상관이 있었지만, 도와준 정도(노동량)에까지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그리고 온라인 친구들 간의 연락빈도, 상호성, 관계균형성, 이타주의성향 등도 역시 도와준 정도(노동량)와는 상관이 없었다. 향후에는 상호성, 관계균형성, 이타주의성향 등을 기준으로, 도와준 사람들과 도와주지 않은 사람들을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굽힘하중을 받는 T형 Spot용접 이음재의 피로강도 개선
任東鎭,裵東鎬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4 論文集 Vol.45 No.2
Acording as the automobile body structures have thinned and strengthened for reducing its fuel cost, each part of the body structure is inclined to be put very severe stress condition without regard to loading conditions. Particularly, by high stress concentration around the nugget which is only a few millimeter of its diameter, fatigue strength of the spot welded joint is lower than that of parent metal. Therefore, it has become very important to improve and estimate fatigue strength of the spot welded joint for structual rigidity, In this report,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stress concentration at edge of the spot welded part and of improving fatigue strength of the spot welded T-type joint under bending load, we tried to exchange the shape of traditional circular nugget to ellipse, and experimentally analyzed static strain distribution around the spot welded part and estimated fatigue strength of the joint. We could find that laterally long elliptical spot welding could remarkably alleviat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edge of the spot welded part, and could also considerably improve the fatigue strength of the T-type joint under bending load.
임동진,최지호,성경제,문기찬,고재경 ( Dong Jin Im,Jee Ho Choi,Kyung Jeh Sung,Kee Chan Moon,Jai Kyoung Koh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6
Actinic granuloma is a specific disease entity characterized by clinical lesions indistinguishable from granuloma annulare, but occuring on solar damageci skin. Ilistologically, elastic tissues are destroyed by the granulomatous process in actinic granuloma, but not, in granuloma anriulare. We report two cases of actinic granuloma with each diagnosed as a giant cell and sarcoirlal variant of the disease. Interestingly, one case developed on the non sun-exposed skin and anothr case related to the history of an insect bite. (Korean J DBrmatol 1997;35(6): 1198-120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참여자들의 태도와 성향 분석 : 공무원, 민간사업자,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임동진,박진경 한국정책과학학회 201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정책 참여자들(공무원, 민간사업자, 전문가)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태도, 다문화정책에 대한 성향, 다문화주의 태도와 다문화정책 성향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정책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중앙부처 다문화정책 담당공무원(117명), 다문화 민간사업자(126명), 다문화전문가(27명) 총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주의의 태도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사회에서 이주자들의 사회적·경제적 기여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이주자들로 인한 사회문제 및 갈등 증가 등의 부정적 인식보다 높게 나타나 다문화주의에 대한 태도가 다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이주자들의 사회환경은 사회적 편견, 불평등, 사회 부적응으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정책의 성향에 대한 분석결과, 다문화정책 중동화주의 정책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다문화주의 정책을 선호한데 반해, 차별배제 정책은 공무원은 선호, 사업자는 보통, 전문가는 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다문화정책으로는 (5점 척도 기준) ①한국어·한국문화 교육 강화 4.16, ②사회적응 지원 4.09, ③이주자 자녀 이중언어 교육 강화 3.89, ④이주자 차별금지법 제정 3.74, ⑤불법체류자 본국 즉각 송환 3.62, ⑥장기거주자 선거권 부여 3.06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차별배제 정책을, 평등주의가 강할수록 동화주의 정책을, 평등주의가 강할수록, 이민자들로 인한 사회적 위협이 감소할수록, 고학력일수록, 전문가일수록 다문화주의 정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ttitude of muliticulturalism, preference of muluticultural poli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preference based upon the survey targeted for multicultural policy participants(public servants, service provides, experts), and to suggest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For this, this study has been surveyed for total 270 persons, who are civil servants(117 persons), private service providers(126 persons), and experts(27 pers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the following. First, after analyzing the attitude on multiculturalism, those surveyed are thinking more positive expectation to migrants’ social and economic contribution to korean society, than negative expectation due to migrants’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Meanwhile, they agreed that migrants live in the poor social environment due to social prejudice, inequality, and maladaptation in Korean society. Second, with regard to the preference on multicultural policy, the those surveyed prefer assimilation policy to muliculturalism policy.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y is preferred to the public servants, whereas, service provides are neutral and experts do not like the policy.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policy that they preferred are in the order of following: ①education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②supporting of social adaption; ③bilingual education; ④law enactment for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⑤repatriation of illegal immigrant; and ⑥long-term residents’ right of enfranchise. Finally, regarding the factors that affect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policy, men and equalitarianism-oriented people have preference the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y, and those who have equalitarianism like assimilation policy. Meanwhile, those who have more possibility of equalitarianism, expectation to migrants’ lower social threat, higher education and experts prefer muliticultural policy.
임동진,장우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집행실태, 성과평가,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다문화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사업은 2011년 기준으로 총 165개 사업 1,751억 원의 예산으로 추진되고 있다. 둘째, 다문화정책 사업의 성과평가 결과(2010년말 기준), 목표달성률은 92.2%이고 예산집행율은 99.0%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정책 사업이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에 치중되어 있어 외국인유학생, 외국인 근로자, 동포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부족하고, 각 중앙부처간 다문화사업을 중복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정책의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참여자(공무원, 민간사업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정책의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5점 척도 기준), 전체 평균 2.77로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정책 추진의 장애요인으로 다문화사업 총괄・조정체계 미흡, 다문화정책 목표 및 방향성 불명확, 다문화정책 사업의 중복, 다문화정책 관련 법・제도의 미비, 시혜성・일회성 다문화사업의 남발, 경쟁적 예산투자로 인한 예산의 비효율성, 다문화사업 프로그램 간 연계부족, 사업추진체계의 비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기적으로 다문화정책 총괄조정 기능 강화, 다문화정책 전담기관 신설, 다문화사업 예산 효율성 검토, 효율적 전달체계 구축, 사업의 연계·협력 강화가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다문화사업에 대한 국민인식 개선, 다문화정책에 대한 지속적 연구, 다문화정책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이민정책의 변동과정 및 정책지향 분석: 단속평형이론을 중심으로
임동진 한국비교정부학회 2018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es and its specific policy orientation of immigration policies from 1945 to 2012 in Australia,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immigration nations. In order to analyze of changes in immigration policy, this paper utilized Jones & Baumgartner(2005)’s punctuation equilibrium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stralian immigration polic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assimilation policy(1945∼1973), non-discrimination policy(1973∼1978), multicultural policy(1978∼2001), and citizenship and integration policy(2001∼2012). Second, refugee situations in Southeast Asia and threat of terrorists such as 9/11 terror strongly influence the change of immigration policy in Australia as an environmental pushing factor. Third, the enactment of immigration law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Act(1975) and Australian Citizenship Act(2007) was essential factor to change immigration policy radically and fundamentally. Finally, it is resulted that Australian immigration policies wa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like environmental factors, core pushing factors, and policy orientations, and that the type of punctuation (degree of policy change) shows a certain cycle patten from low-salience punctation to high-salience punctuation and from high-salience punctuation to low-salience.
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 실태분석 및 효과적인 갈등관리 방안 연구
임동진,김재일 한국행정연구원 2010 기본연구과제 Vol.2010 No.-
연구의 배경과 목적우리나라는 과거 군사정권에서 억합되었던 각종 사회문제가 1980년 후반 민주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이념갈등, 환경갈등, 노사갈등, 계층갈등, 지역갈 등 등 다양한 형태의 갈등으로 분출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전반에 걸쳐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정부가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대형 공공사업이나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공 갈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정부가 공공갈등을 사전에 예측하고 공공갈등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공공갈등의 확산을 사전에 방지하고 공공갈등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 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공공갈등관리 현황 및 실태분석을 통해 현재 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의 여러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연구 방법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공공갈등관리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09년 부처 갈등관리 실태점검 결과」를 통해 공공갈등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프랑스, 영국과 우리나라의 공공갈등관리제도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중앙행정기관의 갈등관리업무 담당 공무원들과 갈등 관리심의위원회 민간위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공공갈등관리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연구 결과1. 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의 현황 및 실태분석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공공갈등관리의 현황 및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들이 관리하고 있는 공공갈등의 갈등과제는 총 94개이며, 갈등유형별로는 이익갈등, 입지 갈등, 정책갈등 순의 비율로 나타났다. 갈등진행 상황으로는 표면화단계가 가장 많았고, 갈등당사자 유형별로는 부처와 민간과의 갈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관리 종합시책을 수립·추진하는데 있어 각 정부 부처의 특성이 반영된 계획을 마련하는데 소극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관리 책임자의 관심과 노력 및 이해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갈등관리 자체평가를 실시한 중앙정부부처는 소수였으며, 갈등관리 실적에 따른 성과급 및 인사반영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2 공공갈등관리제도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선진국(미국, 프랑스, 영국)의 공공갈등관리제도를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국의 경우 첫째, 미국의 공공갈등관리제도는 긴 역사와 함께 단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둘째, 다양한 공공갈등관리 제도와 기구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그 기능과 역할이 상호보완적이다. 셋째, 미국 정부의 대안적 분쟁해결 (ADR) 은 구체적인 운영절차 및 내용을 갖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미국의 갈등관리조정기구들은 기구별로 전문화되어 있다.프랑스의 경우 첫째, 프랑스 공공갈등 관리제도 및 기구는 사전적 갈등조정기구와 사후적 갈등조정기구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둘째, 공공갈등 관리기구들은 기능적 측면에서 토론, 자문, 재판, 모니터링, 여론조사 등을 담당하는 다차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셋째,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대화와 토론을 원칙으로 하여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영국의 경우 첫째, 영국의 공공갈등관리는 성문화된 법률 없이 자발적인 시민협의에 의해 공공갈등을 관리하고 있다. 둘째, 서면협의 시행규칙(CPWC), 공공참여제도(PI) 및 공공개입제도(PE)는 예상되는 갈등의 심화정도에 따라 그 범위와 방법을 적용한다. 셋째, 공공갈등관리에서 정부는 공공갈등을 최대한 예방하고, 민간부문은 갈등이 실제로 발생했을 때 민간의 갈등조정기구들이 중재나 조정을 통해 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민간의 갈등조정기구들이 갈등관리에 대하여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에 관한 설문조사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에 대한 공무원과 민간위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공공갈등 중 환경갈등이 가장 심각하고, 갈등성격별로는 이해갈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갈등의 발생 원인으로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 이 가장 많고, 정부불신 등 사회신뢰 부족, 소통문화 부족, 사회문제에 대한 주민의 요구 증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공공갈등관리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현재의 공공갈등 수준은 과거 5년 전에 비해 갈등의 범위, 강도, 횟수의 측면에서 확대되었다. 다섯째, 공무원들은 갈등관련 예산지원, 갈등영향분석의 활용, 성과급 및 인사반영의 운영은 미흡하다고 지적하였다. 여섯째, 공공갈등관리 운영 및 해결에 있어 갈등이슈가 점차적으로 복잡·다양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일곱째, 현 공공갈등 관리규정은 구체성 결여 등 제도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덟째, 현재의 공공갈등관련 입법추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 번째, 갈등해결 방식에 있어 현재에는 사법적 해결이나 행정집행 등이 활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향후 5년 뒤에는 협상, 조정, 중재 등 대안적 갈등해결 방식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열번째, 공공갈등의 예방 및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주체로 정부보다는 갈등이해당사자, 중립적인 갈등조정위원회라고 응답하였다.열한 번째, 공공갈등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현실을 반영한 지속적인 제도 정비, 자율적인 협의 시스템 구축, 성숙한 시민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시스템 마련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법·제도의 정비와 갈등조정기구의 역할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 교육훈련을 강화, 갈등관리 방식의 다양화, 언론과 대중매체들의 관심, 시민단체의 역할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및 정책제언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효과적인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개선방안과 정책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도적인 측면에서 「갈등관리기본법(가칭)」의 제정,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 공공토론기구의 도입, `갈등관리지원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운영적 측면에서 갈등관리심의위원회의 위상 제고 및 운영 내실화, 갈등영향분석 내실화, 부처 특성이 반영된 갈등관리 매뉴얼 구축과 활용, 갈등관리 전담조직 구성, 고질적 인 갈등의 지속적인 관리, 갈등특성별 차별화된 갈등관리 방식 마련, 갈등해결 난이도에 따른 갈등관리 전략 마련, 갈등 우수성공 사례를 통한 학습과 인식확산이 필요하다. 셋째, 역량적 측면에서는 공무원의 갈등교육 강화 및 갈등 프로그램 개발, 갈등 전문인력의 양성, 대안적 갈등해결방식의 활용, 저비용·고효율의 갈등관리 시스템을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측면에서는 장기적인 갈등관리 계획수립, 참여 거버넌스 확립, 사회적 자본 확충, 협상문화 구축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 of StudySocial issues and problems which were oppressed by the military regime in the Korean society from 1960s to 1980s, have brought various social conflicts such as the ideological, environmental, labor and management, social classes, and regional conflicts with a rapid movement of democracy since the late 1980s. These social conflicts in Korea have been bringing about huge social-economic cost. Recently, many public conflicts have arisen when the Korean government sets up and acts public projects and policies to aim at public interests.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forecast in advance and manage public conflicts properly because public conflicts should be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social-economic costs can be minim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ways for the managing public conflicts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rough analyzing current condition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figuring out several problems in managing public conflict in Korea.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previous studies, and「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conflict management conditions in each government department」. Also,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system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in four countries such as America, France, England, and Korea, and carries out a survey of the target of public employees in the government and experts conflict in the private sector. Analysis Results Conflict Management and its Operation Conditions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e summary of conflict management and its operation conditions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94 conflicts, and interest conflicts are the highest ratio, the next one is location conflicts, and the third one is policy conflicts. Escalation in the conflict cycle (i.e; latent stage, escalation, alleviation, termination) and most conflicts are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econd, public employees in each government department reveal at passive attitude rather than active in setting up and implementing the overall conflict management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Public officials in higher position have lower attention, less effort and lower comprehension to conflict management. And a few central departments self-evaluate the level of conflict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conflict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in appling performance-related pay and promotion to public employees. Comparison of the Foreign Nations and it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the international conflict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US, France, and the U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has a long history and a gradational developing process for a long time. Second, the US builds and operates various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s and their fonctions of the systems are complementary and cooperated each other. Third,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in the US provides a specific information and explanation for operating the ADR. And the US government agencies for conflict coordination, conflict management have their own professionalism.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France, there are pre- and postconflict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systems. Second, public conflict management agencies are doing diverse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consultation, judgment, monitoring, and survey for preventing, coordinating, mediating and resolving public conflicts. Third, the most important standard of public conflict solution in France is the emphasis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for preventing public conflicts in advance. In the UK, public conflicts have emphasized voluntary citizen consultations rather than codified laws. Second, Code on Practice of Written Consultation (CPWC), Public Involvement(PI), and Public Engagement(PE) can be utilized for preventing conflicts depending on the level and degree of public conflicts. Third, the main fonction of the UK government is to prevent public conflicts in advance, but mediation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 focus professional mediation and arbitration to relieve social conflicts. Also,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UK government have contributed to citizens` education about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Analysis of Public Employees` Survey Results on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The results of public employees` and conflict experts` survey with regard to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 of conflict issues, environmental conflicts are one of the most serious conflicts. And in the aspect of conflict characteristics, interest conflicts are the most serious problem among many public conflicts. Second, an important cause of public conflicts in Korea is economic interest-related conflict. The mistrust of government, the short of community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and the increase of citizen`s demand are also important causes. Third, both public employees and conflict experts demand government`s active roles and efforts for managing public conflict. Fourth, the level of current public conflicts has been expanded in terms of range, strength, and number of conflict in comparison with five years ago. Fifth, public servants point out insufficiency to the survey related with performance-related pay and promotion, budgets, and utilization of conflict analysis. Sixth, the conflict issues are gradually complicated and diverse in terms of operation and solution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Seventh, the current law of public conflict lacks its concreteness as a foundation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conflicts. Eighth, the people surveyed agree with the necessity of lawmaking for managing current public conflicts more effectively. Ninth, even if as a method of conflict solution we are mainly using of judicial resolution and law enforcement in the present, conflict solution will be changed into negotiation, conciliation, and mediation in the next five years. Tenth, role of each conflict parties and neutral mediation boards as a main contributor in preventing and solving the public conflicts are more important than role of government. Eleventh, it is very important to continuously update regulations and procedures to be able to cultivate self-regulating conciliation, and to prepare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spread of mature civic awareness in order to manage public conflicts effectively. Finally, for managing public conflict effectively, we need the reorganization of law and system, the role reinforcement of conflict conciliation agencies and NGOs, the reinforc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so on.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upon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managing public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ly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as follow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the enactment of「The Fundamentals Act of Conflict Management(a tentative name),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introduction of public debating orga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center for supporting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ime Minister`s Office are needed. Second, in the operational aspect, the enhancement of ro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commission, the utilization of Conflict Impact Analysis(CIA), the make up and utiliz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manual for each department, the need of division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governmental department, the continuous conflict management, the prepar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the preparation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spread of success cases for resolving conflict are needed. Third, in terms of capability, the enforcement of public servants` conflict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onflict program, the training of conflict experts, the utilization of ADR, and the system for low costs and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are needed. Finally, in the environmental aspect of conflict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conflict management plan, participation governance,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establishment of negotiation culture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