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과학 추론 능력

        전우수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 Vol.22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tific reasoning skills of 809 students of teachers' college. ‘The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developed by Lawson was used as a scientific reasoning test. The cognitive stage of students is the last of the 4th or the beginning of the 5th stage by the theory of Lawson.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proportional and probability reasoning tasks. However, students showed low score in conservation reasoning tasks, especially volume conservation. Students showed a notably poor performance in hypothesis-testing skills comparing with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which supported the theory of Lawson that hypothesis-testing skills are more advanced ones than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ynthetical scientific reasoning skills, but women showed lower score in the conservation reasoning tasks, higher in the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The older students are, the low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are. K 교육대학교 재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Lawson이 개발한 과학 추론 능력을 검사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12점 만점에 평균 8.11 점을 얻어 Lawson의 사고 발달 이론을 적용하면 제 4단계의 마지막 또는 5단계 초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Lawson이 주장한 경험-귀납적 사고 단계에 있는 대학생이 3.5%, 전이단계인 대학 생이 50.4%이고,가설 연역적 사고 단계에 있는 대학생은 46.1%이다. 대학생들은 수학적 연산과 관련이 깊은 비례,확률 논리에서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과학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 중 가장 하위 단계의 사고로 여겨지는 보존 논리 능력에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고, 특히 부피 보존 논리 능력이 매우 낮다. 가설 연역 논리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평균 21%에 불과하고 모든 문제를 다 맞춘 학생은 0.7%에 불과하다. 따라서 Lawson의 가설 검증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 들이 Piaget식 형식적 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보다 고등한 사고 능력이라는 Lawson의 이론은 타당하다. 남 * 여의 과학 추론 능력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보존 논리에서 남학생아 높은 정 답률을 보이고 특히 부피 보존 논리에서 남학생이 높다. 그러나 비례 논리와 가장 상 위의 사고로 여겨지는 가설 연역 논리에서 여학생이 높은 정답률을 기록했다. 대학생은 나이가 들수록 과학 추론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20세 이상 의 경우 신체적인 성숙이 과학 추론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 과학을 더 많이 공부하였다고 하여 과학 추론 능력이 향상 되는 것은 아니다.

      • 과학과 심화과목에서 지도와 평가 방법의 개선

        이복선, 권오종, 김도욱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23 No.

        과학과 심화과정 반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과인 교양, 전공 기초, 전공 심화 단 계의 과목을 살펴보니 현재는 강좌 명칭과 운영 형식(필수/선택)에 따라 과학의 4분야 중에 물리, 화학은 중복되고 생물, 지구는 소외되어 있다. 또한 교과 구분에 따라서 교수 편의에 의해서 운영되던 방식을 이제는 학생 중심으로 하여 교과목의 명칭과 운 영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과학 4분야를 동일 배분하는 형태로서 교양 과목(자연과학, 과학선택)과 전공 기초 과목(과학교육 1,2)을 통합 운영함으로 과학에 대한 소양을 균형화해야 한다. 이러한 기초에 의해 진입되는 과학 심화과정 학급은 모두 필수 단위로 운영되나 이 부분도 학생 수 40명 단위를 반분하여 20명으로 구성하고 소규모 단위로서 선택적으 로 운영함이 현대 과학교육에서 추천되는 토론식 학습,협동 학습, 역할분담 학습 与 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하습 평가에 있어서는 평가의 유형과 횟수가 2회 이상이 되어야 학점 부과 의 규정인 하위 등급 30% 이상이 됨을 2항 분포의 사례(멘델식 유전)로서 알 수 있 다. 마지막으로 현 정부의 주도하에 추진되고 있는 교사수급상의 혼란 사태로 인한 중 초교사의 편입학 제도는 문제가 많기에, 거시적인 관점으로 봐서 교육의 편제(6-3-3) 나 초등교사의 양성제(11/1-1')의 문제를 선결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촉 구하면서,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대계는 창의성 교육임을 잊지 말고 이에 총력을 기 울일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의 개선과 행정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The curricula that subjected to the class of science education were general liberal arts, major basics and specials, but science course of 4 different parts was delivered without the equal weight of credits or lecture hours, only ordered to the name of curriculum subjects and management type (obligation /choic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management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view of lecturers to the stand point of students, and so the delivered lectures be balanced on the 4 parts of science through total cumculum. these ways of application would be helpful not only to science major class, but also to other fields-major 10 clssses. All the mo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hould be reduced down to the half, now 40 students of a class to 20 students of the twice classes, that could be handled on the advanc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cooperation and role participation etc.. The types and number of evaluation were recommended to 2 ways/times or more to keep our internal rule of the grade C-level 30% portion among the students, analoging to the binominal distribution (Mendel’s heritable rule). Lastly, the special law of sudden mass appoint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qualified only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hould be reconsidered with the project of a long time view, such as educational grade system(6-3-3) and primary teacher's graduating/ qualifying system(11/1-1’). Near future, program developing of the creative ability will be, best of all, the most valuable in any fields and be expected the supplement of the needed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 브루넬 대학의 영재교육

        김경호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26 No.-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Brunei Able Children's Education Centre implications for able students' education for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educated for able student. Secondly, degree course should be opened for making human power with both theory and practicing for school. Thirdly, Korean origin able stud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수준별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한 과학•기술•사회(STS) 수업 모형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전우수, 이명제, 김경호, 김도욱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on the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 and the positive science-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curriculum as one's level. For this study, the science knowledge test and the science-related attitude test were measured for 41 students to whom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applied and another 46 students instructed traditionally as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In the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pplied the traditional model at 0.001 level. In the science related-attitud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본 연구 결과는 모듈식 STS 수업이 전통적 수업보다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 적이지 못했던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태도가 단 기간의 수업에 의해서 쉽 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보다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필요함 을 시사해 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해서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첫째,모듈식 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서 제 7차 과 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 목표로 중요시하는 과학 • 기술 • 사회(STS)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켜 미래 사회에서의 대처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듈식 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효 과적으로 활용하면, 수준별 교육과정 체제에서 심화과정이나 보충과정의 과학 수업을 보다 효과적인 수업으로 이끄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서 과학을 싫어하는 학생이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으로 태도의 변화를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科學高等學校의 科學英才敎育의 實態와 改善方案 硏究

        陸根鐵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과학고등학교의 과학영재 교육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과학고등학교는 본연의 설립 목적에서 이탈하여 입시 위주의 교육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많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기원 반(속진반)과 일반대 반으로 분반해서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학생들의 잠재력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개인 또는 그룹연구, 특별실 개방, 컴퓨터 교육, 영재성 계발을 위한 탐구학습 등이 권장되지 않고 있음이 조사 되었다. 그래서 과학고등학교가 진정한 과학영재 교육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the science educaton for the gifted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As a results of the findings, We realiz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was turning from the natural purpose of its foundation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Many gifted students are responsed to the question that they are managed to divide into classes for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general universities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and they are not encouraged inquiry learning to develop the ability of giftedness, computer science, open the laboratory to the students, and the individual or group research study to develop the latent powers of gifted students. Therefore we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교육 정보에 관한 활용 실태 분석

        김유정,김현섭,김종균,박영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9 No.1

        인터넷은 세계적인 흐름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의 증가에 편승하여 교육 정치, 문화 등 사회 전반적으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학교 홈페이지는 인터넷 자체에 대한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 교육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할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성할 수 있는 열린 과학 교육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은 원격 교육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 특히 생물 교육을 위해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국내 학교 홈페이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용자들의 관심도와 그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각 학교 홈페이지의 평가 기준에 의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초등 학교의 경우 모든 학교가 50점 미만의 점수를 얻었고, 50점 이상의 학교는 중학교가 약 14.3%, 고등 학교가 15%로 나타났다. 선정된 학교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가장 많은 학교가 있었고, 그 외엔 부산, 광주, 경기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는 대부분 학교 소개에 국한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참여도 대부분 하루평균 1회에서 2회로 사용 빈도가 활발치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의 학습자들에 대한 보습, 지도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의 효율성을 뒷받침하는 정보 교환 장소는 형식적인 게시판 정도에 불과하였으며 관련된 정보 역시 학습자들의 활용에 효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 정보의 경우, 초등학교는 F, G, L학교만이 과학 관련 자료를 싣고 있었다. F학교는 자연에 대한 유익한 자료들이 연결되어 있지만 구성력이 없으며 그 대부분이 외국 자료이고, G학교는 동식물에 관한 자료만 얻을 수 있었고, L학교는 과학 관련 정보가 빈약하였다. 중학교는 C, Q, R, T, U학교만이 과학 관련 자료가 연결되어 있었다. C학교는 홈페이지에서 직접 관련 자료로 이동 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고 과학 관련 자료도 비체계적이어서 학습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없다. 자료 역시 대부분 외국 자료이므로 외국어에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의 활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T학교의 경우, Oomph!에 연결되어 과학 관련 자료를 얻을 수 있는데, 이 학교는 국내 중학교 중 가장 많은 자료가 수록되어 있었으며 분야별로 체계적이지는 못했지만 비교적 외국 자료가 적어 학습자들의 교과 활동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E, F, I, J, L, N, S, T학교가 과학 관련 자료가 연결되어 있었다. B학교는 보물창고란에 물리에 10개의 사이트, 화학에 14개, 생물에 17개, 지구과학에 15개가 연결되어 국내 고등 학교 중 가장 많은 자료를 올려놓고 있지만 보물창고란 모두 외국 자료이므로 외국어 해독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정보 이용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와 S, T학교는 분야별로 세분되지는 않았지만 개인 또는 대학에 있는 생물 관련 학과와 연결해 놓는 등 국내 학생들의 정보 활용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었다. J학교 생물부에서 주요활동으로 하는 실험 내용과 외국 자료를 실어 놓았으나 그 지식은 일부 분야에 국한되어 있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초·중·고등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자료는 몇 개의 학교가 연결되어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전문 지식이 없으며 외국 자료가 많아 국내 학습자들의 교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홈페이지의 생물 교육 정보 자료의 질적 향상을 위해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necessity of the Internet has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e educational,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areas due to the increasing need for information. Homepages established by each school can be used for Internet education.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through Internet will induce posi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refore, diagnosis and analysis through systematic and analytic research of problems of homepages created by prelimin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highly needed to promote efficient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biology edu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chool homepages in turns of user's concerns and appearances based on analyzed results. Based on the analysed results using evaluation tools, all primary schools got under 50 points, and only 14.3% of middle schools and approximately 15% of high schools got over 50 points out of a possible 100 points. In respect to regional homepage distribution, Seoul placed first in the number of schools. Pusan, Kwangju and Kyunggi Province followed. The role of most school homepages surveyed was limited to introducing their schools, and learners visit these sites only one or two times a day, and not enough educational information was revealed to be efficient. Teacher's instruction regarding homepages was found to be ineffective. In addition, info-exchange place supporting information exchange efficiency was limited to formal bulletin boards, and information relating to learning also turned out to be unhelpful to learner's usage. In the case of the primary school, only F, G and L schools uploaded data connected with scien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biology. In F school, although it links with useful data about nature, those data appear to be unsystematic and link too many foreign data. G school only provides data relating to zoology and botany, and L school loads very little science-related data.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only C, Q, R, T and U schools have data relating to science. C school has a defect in direct linking with related data in homepage. Also, users incapable of foreign language skills can not make use of the data because it is unsystematic and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But T school links "Oomph!" so that student can obtain some data relating to science. This school retains more Korean data than the other domestic middle school homepages though it is unsystematic. In the case of the high school, E, F, I, J, L, N, S and T school homepages link with science data. B school loads more data than the domestic high schools, which links with 10 physics sites, 14 chemistry sites, 17 biology sites, 15 earth science sites. However, the "Treasure box" sector is composed of foreign data, which is unhelpful to learners who are not good at foreign languages. Though I, S and T school homepages do not classify the data by each field, they link with private or domestic university biology sites, so students can use them. J school loads foreign data and the text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its biology section, but they are unsystematic and limited. In conclusion, few domestic school homepages link with data relating to biology. Those data are unsystematic, have no specialized knowledge and contain too much foreign data,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sing them for domestic learn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biology instruction information through homepages based on analysis of homepage problems for both users and owners.

      • 열린 과학 교육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金俊泰,陸根鐵,吳相赫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 Vol.28 No.1

        열린 과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열린 과학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지도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Choi,K.H., 1994). 본 연구에서는 열린 과학 교육을 위한 연수 자료를 개발하고 전국 초, 중, 고 연수 담당자 및 과학 전문직을 대상으로 열린 과학 교육 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 후 열린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지도 방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충분한 토의와 협의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열린 과학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모든 과학 교육 담당자는 열린 과학 교육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열린 과학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현재의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 4가지 형태의 열린 과학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1은 예측, 실험 수행, 결과 토의 등의 단계를 거치는 직소형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2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사의 지도 방법이 달라지는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3은 탐구 단계별로 학습하는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4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수준에 맞는 학습 방법대로 학습하는 방법이다. Many peoples recognize the need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But identification and teaching method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are not prepared. We developed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and trained science teachers' trainers and inspectors.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problem and the direction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were presented. By this workshop's results we suggest the desirable plan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 과학교육계 학과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지구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With Reference to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김여상,박영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현행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것을 근거로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2년도 이후에 발행된 11개 대학의 대학요람과 지구과학교육과의 교과과정표가 분석되었다. 교육과정은 사범대학의 정체성이 확보되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교과교육과목은 전공영역에 포함시키고, 일반과학과목도 계열기초에 소영역으로 구분되어 전공영역에 포함시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교과교육과목은 최소한 12학점을 이수하도록 하며, 일반과학과목의 학점수도 40학점으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구과학내용교과목중에서 유사한 과목들은 통합된 형태의 교과목으로 개설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The bulletins and earth science curricula of 11 universit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terms of four sections: curriculum organization, subjec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basic science subjects, and majors of earth science. The curriculu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for the identity of college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subjects and basic science subjects need to be involved in a major field. Science education subjects should be taken at least 12 credits.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on the basic science subjects, which had better be taken upto 40 credits. Major subjects that the conte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need to be combined into one subject.

      •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우리 나라와 일본 중학교의 과학교육 실태 비교 연구

        윤치원,김종균,박영철,김현섭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9 과학교육연구 Vol.30 No.1

        최근 인터넷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의 장점을 교육현장에 이용하면 학습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개인이나 제도교육에 관한 정보를 널리 공유할 수 있으므로 교육활동의 질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는 지리적인 제약 때문에 개인이 수입할 수 있는 정보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인터넷을 활용하면 제한된 정보나 개인의 교류 범위를 넘어선 전국적, 세계적인 정보의 수집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는 우리 나라 중학교 홈페이지와 우리와 교육환경이 유사한 일본 중학교 홈페이지의 구성 내용을 비교하고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교육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인터넷을 과학교육 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학교로는 우리 나라의 경우 인터넷상에 검색이 가능한 211개 중학교 모두를, 일본의 경우는 검색 가능한 1022개 중학교 중 200개 학교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학교의 홈페이지 구성내용을 `학교 일반정보' `정보공유' `교수 학습정보' 기타정보' 등 4개 분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는데 특히, `교수 학습정보' 분야 중 과학교과 자료와 연결된 사이트 그리고 학생 탐구자료 내용을 집중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 중학교의 홈페이지 개설 학교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과학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매우 빈약하였고, 있는 내용도 대부분 외국 자료를 연결하여 놓았기 때문에 중학교 학생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일본의 경우는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잇는 자료가 비교적 풍부하고 연결된 사이트도 대부분 자국어로 되어 있었으며, 그 내용도 학생의 관찰, 조사, 실습 등 학생의 탐구활동 내용이 소개되고 있어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교육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것은 우리 나라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과 교수 학습 활동에 유용한 과학자료를 개발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recent years, and increased number of junior high schools are attempting to `utilize the internet as an instruction aid'. The internet provides easy access to wide ranges of scientific information which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hared research and general information and personal communication. Prior to the existence of the internet, people were limited by geographical locations; however, modern internet use is international and information can be shared throughout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compared the line up of Korean and Japanese junior high school homepages. This comparison is valid because the two countries educational systems are grossly similar. We proposed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 in the homepage on the internet to find the method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objective schools of this study are all 211 junior high schools of which was able to search to use internet and in the case of Japan 2000 junior highschools as samples of which 1022 junior highschools that was able to search to use internet. Four main areas of the study were examined; general school information, the supply of information,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other links. Elements of homepage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these divisions. Informations from Korea and Japan contain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e was subdivided into scientific curriculum and student investigational material. These subdivisions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s follows. Although the Korean junior high school homepages were rapidly increasing they were lacking in quality. It was also evident that many linking sites are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Without a translative program to interpret these, Korean students would be unable to take advantage of them. Japan had a greater quality of material used for science education Linking sites are written in the Japanese Languages. Japan appears to have an intensified focus on the useful development of scientific material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This enhances studied investigation, activities of observati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The overall practice and performance of the Japanese studies is greatly enhanced through their ability to easily access the internet.

      • 중학교 지구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선경숙,김희수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지구과학 영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지구과학 영재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개발결과는 전문가들 및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 받았다. 둘째, 개발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P·O·E학습 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이 교수-학습 자료에는 활발한 조별활동, 브레인스토밍 기법, 흥미 유발을 위한 만화 도입, 퍼즐을 활용한 진단평가, V 도형의 적용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셋째, 개발된 지구과학 영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In this study the earth science gift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were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eveloped is modified and complemented after the professional advices and appling in the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level are developed using P.O.E instructional model.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s including section activity, brainstorming activity, diagnostic evaluation using puzzle and animation, V map, etc.. Third, the result of appling the curriculum in earth science gifted class of the middle school showed affirmative response in the science attitude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