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수업참여도가 체육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래,이성노,맹이섭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wareness of newsport and class participation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newsport. To this end,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newsports and classroom involvement on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using a total of 382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found that seniors, male students and those who think they are good at sports, and those who participate in news sports more than five times were high in the recognition of newspor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gender facto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are still competitive and physically active,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male students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value assessment for classes has been favorable. Second,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newsports and its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shows that self-respect, sociality, and creativity have positive and positive effects. This is because physical education through Newsport will increase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which will affect emotional development such as physical development, double-headed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뉴스포츠의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수업참여도가 체육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뉴스포츠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 수업참여도, 체육교육효과의 차이에서는 학년이 높고 남학생이며 운동을 잘한다고 생각하는 집단과 뉴스포츠참여 빈도가 ‘5회 이상’인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별요인에서 기인한 결과로 체육수업의 특성상 여전히 경쟁적이고 활동적이기 때문에 남성적 요소가 많아 상대적으로 남학생들의 참여도가 높고 수업에 대한 가치평가가 우호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둘째,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수업참여도가 체육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성, 창의성에 있어서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 수업참여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스포츠를 통한 체육교육이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신체적 발달과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사회성을 발달시키며 창의성을 키워주는 등의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랑카섬(Laṅkā)의 종교 정체성과 아비담마 전통: 복합어 ‘abhi-dhamma’의 해석과 의도를 중심으로

        김경래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6 No.-

        Sarvāstivāda and Theravāda established differing doctrinal 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teaching: Abhidharma and Abhidhamma. These scholastic traditions share external similarities: 7 fundamental treatises, etymological terms, analytical disposition etc. Hermeneutical differences, however, are found in them. It is the case even in the definitions of the compound terms, abhi-dharma and abhi-dhamma, which reveals that they developed within a heterogeneous context. This paper, being focused on Theravāda of Laṅkā, critical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of abhi-dhamma. According to the Abhidharmakośabhāśya and Nyāyānusāraśāstra, two aspects of the term abhi-dharma, ultimate and secular, should be analyzed. The ultimate (pāramārthika abhidharma) consists of ‘pure wisdom (prajñā-amala)’ and ‘its followers (anucara).’ On the other hand, ‘defiled wisdom (sāsravā prajñā),’ ‘its followers (anucara),’ and ‘seven treatises (śāstra)’ are within the secular (sāṃketika abhidharma). The compound abhi-dhamma, on the other hand, is interpreted as ‘supreme teaching.’ This teaching is designated as the Seven Books (satta pakaraṇāni) transmitted by the Mahāvihāra fraternity in Laṅkā. It is quite different with the case of abhi-dharma in which treatises are just expedients for pure wisdom (saṃbhāra). The tradition of Abhidhamma as a supreme teaching, originated from the distinctive context of Laṅkā. Whether historical fact or not, the Pāli chronicles and commentaries tried to describe Laṅkā Theravāda as being divided into monastery schisms. According them, 2-3 leading fraternities built quite different doctrinal systems until CE 12th century. Mahāvihāra, one of the monasteries, authored their own Abhidhamma Books, and projected their religious identity into the writings. The abhi-dhamma definition as ‘supreme teaching’ eventually assumed the designation “Mahāvihāra’s supremacy” for it was this fraternity which handed down the very Seven Books. Additionally, the Books became associated with the rulers of Laṅkā, who patronized them. It elevated the ruler to sage king status, as one who protects and develops the Buddha’s supreme teaching. In this way Mahāvihāra’s hermeneutics has guaranteed them the supremacy and, by extension, established the Laṅkā’s preeminent authority. 三藏 중 세 번째 문헌군을 형성하고 있는 ‘아비달마’와 ‘아비담마’는 종종 별다른 구분 없이 혼용되곤 한다. 물론 여기에는 형식적·내용적 유사점이 다수 발견된다. 그러나 이들은 전혀 다른 맥락에서 전개된 별개의 전통으로서, 양자 간의 차이점은 특히 ‘abhi-dharma’와 ‘abhi-dhamma’라는 상이한 복합어 해석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북방전통은 ‘아비달마’를 궁극과 세속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정치한 철학적 논의를 전개했다. 반면, 남방전통은 접두사 ‘abhi’의 의미를 ‘-보다 수승한’으로 제한하고 ‘아비담마’를 숫따 보다 수승한 가르침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남방전통의 해석은 그들의 독특한 정치·종교적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랑카섬의 국가종교였던 테라와다는 2-3개의 유력한 사원세력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이들은 다양한 논서들을 바탕으로 각자 고유한 아비담마 전통을 전개해왔다. 그 중 한 세력이었던 마하위하라는 正法의 순수성이 오직 자신들에게만 전해졌음을 강조하며, 그들의 아비담마를 최고의 가르침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이를 철학적으로 변호하고 종교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다양한 논리와 근거를 도입했다. 그들에게 아비담마는 자신의 정체성이었으며, 이후 이것은 랑카섬의 종교정체성으로까지 확장된다.

      • KCI등재

        랑카섬의 국가종교 수호자들과 아비담마- 연대기(Vaṃsa)와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를 중심으로 -

        김경래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The Pāli chroniclers closely related their religion with politics. According to the Chronicles, rulers justified their political positions underthe pretense of preserving religious purity and emphasizing their amicablerelationship with the monastery. The later Pāli texts, the Commentariesand Chronicles provided Abhidhamma references for this connection. The Abhidhamma was used for the elevation of individuals toruler-status, and for binding the Mahāvihāra to powerful rulers. In thelate Pāli texts, the Abhidhamma books became associated with the rulersof Laṅkā, who patronized the Mahāvihāra fraternity. The episodes of later Pāli texts, for example, eight monks came toDuṭṭhagāmaṇī Abhaya and recited the Yamaka, the sixth Abhidhammabook, for him when he had not slept for a month after a triumph;Kassapa V wrote the seven Abhidhamma books on gold-plates,ornamenting with various jewels; Vijaya Bahu worshiped theDhammasaṅgani, the first Abhidhamma book - elevated the rulers to sageking status, as one who protects and develops the Buddha’s supremeteaching. This insured that they protected and supported the Mahāvihārafraternity. Therefore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hroniclermentioned Abhidhamma for highlighting that the rulers were devotees of Mahāvihāra. 연대기와 주석서가 서술하고 있는 랑카섬의 역사전개 속에서 그들의 종교와 정치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상생관계를 유지해왔다. 이러한 전개상은 3번에 걸친 붓다의 랑카섬 방문이라는 상징적 사건을 그 기원으로 한다. 연대기에 따르면, 붓다는 랑카섬을 방문하여 혼란을 종식시키고 새로운불교적 질서를 확립한 후, 이곳을 ‘정법의 장소(Dhammadīpa)’로 지명한다. 이를 통해 랑카섬은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순수성을 동일시해야만 한다는당위성, 혹은 유용한 명분을 제공받게 된 것이다. 이후 랑카섬의 통치자들은 담마를 수호한다는 명분 속에서 자신의 정치적입지를 확립했으며, 자신에게 우호적인 사원세력을 지원했다. 사원세력 역시 자신을 후원해준 통치자를 전륜성왕으로 인정하고 붓다와 대등한 위치로까지 격상시켰다. 이러한 독특한 종교-정치 간 상생 관계 속에서 ‘아비담마’는 통치자의 종교적 지위를 격상시키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빠알리 연대기들은 마하위하라를 지지했던 랑카섬 통치자들의 일화에 아비담마 칠론을 등장시킴으로써 그들이 담마의 순수성과 무관하지 않음을 역설하는 동시에, 그들의 종교적⋅정치적 권위 또한 격상시켰다. 7권의 논서로 대변되는 아비담마 전통이 마하위하라 세력의 정통성과 세계관을 반영한텍스트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연대기에서 발견되는 아비담마와 통치자들의관련성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아비담마는 랑카섬의 종교와 정치의 순수성이 마하위하라 세력으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역설하기 위한 수단이었던 것이다.

      • Powered Instrumentation과 Mitomycin C를 이용한 일측성 후비공 협착을 동반한 일측성 막성 후비공 폐쇄증의 내시경적 치료 1예

        김경래,정진혁,민현정,조석현 대한비과학회 2006 Journal of rhinology Vol.13 No.2

        Congenital Choanal Atresia is a relatively uncommon anomaly. Among various surgical approaches for treating this ailment that have been proposed to date, transpalatal and transnasal endoscopic approaches are the preferred methods for surgical treatments. Because restenosis is the most important post-surgical concern, some authors used topical application of mitomycin C in the choanal atresia and found it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car format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right membranous choanal atresia and left membranous choanal stenosis which were treated with a transnasal endoscopic approach using powered instrumentations and topical application of mitomycin C without an application of prolonged stent. Eight months after the treatment, patent neochoanae remains without evidence of restenosis.

      • 자살예방을 위한 접근으로서의 성만찬의 교육과 성만찬 예배의 회복

        김경래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지평 Vol.31 No.-

        지난해 우리나라의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우리 사회 의 급속한 고령화 여파로 노인 사망자가 많이 증가한 탓이라고 한다. 통계청이 지난 09월 19일 발표한 ‘2017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28만5534명으 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4707명(1.7%)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 년 이래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전체 사망자의 44.8%를 차지했다. 10년 전인 2007년 과 비교하면 이 비중은 13.5%포인트 늘었다. 사망 원인으로는 암이 통계 작성 이래 부동의 1위로 전체 사망자의 27.6%로 7만8863 명이었고, 2위는 심장질환(10.8%), 3위는 뇌혈관질환(8%), 4위가 폐렴(6.8%), 그리고 자살(4.4%)이 그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국인은 1 만2463명으로 하루 평균 34.1명이나 되고, 10세에서 39세에서는 자살이 사망 원인 1 위였다. 특히 10대 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이 30.9%였고, 20대는 44.8%, 그리고 30대에서는 36.9%로 전체 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4,4% 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특히 10대에서 30대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은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고, 이에 대한 처방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필자가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자살 예방을 위한 접근으로서의 성만찬에 관한 교육과 성만찬 예배의 회복’이다. 단순히 성만찬 예배의 진행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성만찬의 의미를 교육하고, 성만찬 예배를 회복함으로서 교회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자살을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본다. Last?year?,?our?country?had?the?highest?death toll?in?its?history. The?reason?for?this is that the?death?toll of elderly peopl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rapid aging of our society. According to the cause?of?death?statistics in 2017 releas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 September 19, the death toll of last year was 285,534. It is 4707 (1.7%) higher than a year ago and the highest since 1983 when such statistics began to be reported first, and people over 80 years old were 44.8 percent of all death. Compared to 2007, this rate increased by 13.5%. In case of the?cause?of?death, cancer unyieldingly?maintained?the?first?place since the statistics were made. The number of deaths from cancer was 78.663, which was 27.6% percent of?all?deaths. The second was heart disease(10.8%), the third was cerebrovascular disease(8%), the fourth was pneumonia(6.8%), and suicide(4.4%) got the fifth place. The number of Koreans who committed?suicide last year was 12,463, which menas an average of 34.1 per day, and suicide wa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at the age of 10 to 39. In particular, suicide accounted for 30.9% of the causes of death in teenagers, 44.8% in their 20s, and 36.9% in their 30s,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4,4% of all deaths. There are many reasons why suicide is so high in Korea, especially among the teens and thirties, and many prescriptions for it have been offered, but what I want to present in this paper is 'restoration of Eucharist education and Eucharistic?adoration as an approach to preventing suicide'. I think that it can help to prevent suicide by restoring the community of church by educating the meaning of Eucharist and restoring Eucharistic?adoration, not merely as an education for the proceedings of Eucharistic?adoration.

      •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김경래,황남희,정진욱,송기민,양찬미,이수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노인 1인·부부가구의 증가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점차 80세 이상 노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고조될 것으로 추정된다. 노화가 급속히 진행된 고령후기 노인은 일상생활 동작 수행 곤란과 함께 인지기능 저하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연령층이다. 그러나 현행 노인복지정책은 고령전기·중기 노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양상이며, 고령후기 노인은 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된 경향이 있다. 초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은 전체 노인에 대한 정책 재설계뿐만 아니라, 고령후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된 생애말기 지원정책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고령후기 노인에 대해 `편안한 인생 마무리` 관점에서 스스로 준비하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가·사회·가족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2. 주요 연구 결과 통상적으로 79세~82.4세 연령대는 4대 노인문제에 전부 노출되는 시기로서 이전 연령대와 차별화되며, 4대 노인문제는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교호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생애말기(生涯末期)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의 분절적 개념이라기보다 임종기(臨終期)를 향해 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eing) 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생애말기 정책 수급분석 결과, 고령후기 노인인구 비율이 급증하고, 1 인가구 비율은 60.2%(124만 9천 가구)까지 증가하며, 1인가구 순증분 (연평균 4만 2천 가구)은 사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아 관련 정책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았다. 고령후기 노인인구밀도가 높은 시·군·구는 대폭 확대될 예정으로 정책 결정 시 이를 감안할 필요가 있었다. 고령후기 노인 장기요양 판정자와 관련 예산이 급증하고 고령후기 노인 사망자 수와 비율도 크게 증가하는 것은 물론, 사망 원인별 총재원 일수, 완화의료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償ㅅ퓸駭? 공급 기반 측면에서 봤을 때, 공공 의료기관, 지역 의료기관 등은 비교적 고른 지역적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공공 요양병원은 내륙ㆍ산간지방에 거주하는 고령후기 노인들에게는 접근성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락 배달은 인구 밀집 지역이 아닌 도서, 산간 지역에 서비스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았고, 호스피스 병원은 경북이나 강원 내륙지방으로는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등 지역적 편중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화장시설은 향후 화장 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상황이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 분석 결과, 80세 이상 고령후기 노인에게 적용하는 부양의무자 기준은 가족 해체의 원인이 되거나 상속보다는 증여를 선택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와 함께, 고령자용 주택에 관한 구체적 제도가 미비하여 낙상이나 사회적 고립을 가중시킬 우려, 저작·연하 기능 저하에 따른 영양불량, 면역기능 감소, 합병증 발생, 사망률 증가로 연결될 우려,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말기암 환자와 달리 다른 질환의 호스피스 이용자들에 대한 비용 지원에 관한 구체적 규정은 없고, 존엄사 후속 조치를 마련 중이긴 하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으며, 사회적 고립 해소나 사별 가족에 대한 지원 체계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 교육·문화 부재로 죽음 준비에 소홀하고, 고독사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제도나 통계조차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생애말기 지원정책 분석 결과, 일본, 영국, 스웨덴 등 해외 주요 국가들의 고령후기 노인들은 지역사회의 보호를 받으며 주로 자신의 집에서 생애마지막을 보내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일본은 주택정책과 복지정책을 연계하고 있고, 영국은 노인보호주택과 주택수리 지원을 통해, 스웨덴은 보조금 지원을 통해 지역 생활의 계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저영양 상태 고령자를 위한 영양대책으로 개호식품 개발·보급(일본), 배식 서비스(영국), 반조리식품 배달 서비스(스웨덴) 등이 활성화되어 있고, 통합적 생활지원 서비스로 생활지원사업(일본), 홈케어 서비스(영국), 자립생활지원 서비스(스웨덴) 등이 실시되고 있다. 나아가 일본은 재택의료 서비스로서 개호, 의료, 주거, 생활지원, 예방이 일체적으로 제공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완화의료 ·호스피스와 관련하여, 일본의 임종기 의료의 결정 프로세스는 몇 가지 기본원칙 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영국은 국민의료보험(NHS: National Health Service)의 돌봄시스템을 통해 존엄과 가치를 유지하면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고독사 방지를 위해 일본은 범정부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노노사회 에이전트를 활성화하고 있다. 죽음 준비와 관련하여 미국, 독일은 초·중·고 교과목으로 다양한 죽음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며, `존엄한 죽음을 위한 선언서` 또는 `엔딩노트`는 실생활에서 참고할 만하다. 국민인식조사 결과, 생애말기 정책별로 정책 필요도(최저 87.4%, 최대 97.4%)와 정책 이용 및 추천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 결론 및 시사점 현행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근본적 변화 모색이 필요하다. 전체 노인인구수 및 고령후기 노인의 급증에 따른 국가 노인복지 재정 부담을 감안하여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에서 고령후기 노인에 중점을 두는 중점주의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장기요양 등급판정자 추이를 감안할 때, 시설보호가 아닌 재가보호 중심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정책 전환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본인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에 계속 머무를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고령후기 노인인구밀도를 감안한 지역 간 정책 차별화가 요구된다. 고령후기 노인인구가 2만 5천 명 이상인 시·군·구가 2015년 6개, 2026년 22개, 2037년 75개 등으로 확대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시·군·구단위 노인복지정책 관련 민간 이양 사업 및 자체 개발 사업에 대해 고령 후기 노인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급증하는 화장 수요에 대응하여 화장 시설 설치가 시급한데, 님비현상 극복을 위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고심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 외,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eing) 정책 및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 정책과 관련하여 국내외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정책 방안을 제언하였으며, 개괄적인 분석에 그친 한계점과 개별정책에 대한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ways of improving policy support for those aged 80-plus in the final part of their lives. One`s end-of-life stage should be understood not as some segmented point in time that closely precedes one`s death, but as part of the continuum of one`s life that runs its course toward death. For that reason, policy support for oldest-older persons needs to be designed to help them not only to live well, but also to die well. Unlike oldest-older persons in some countries in the richer part of the world, where they are supported to spend the last days of their lives in the comfort of their own home, oldest-older Koreans, lacking policy support, mostly end up ending their lives in hospitals or long-term care establishments. Welfare policy on the elderly needs reshaping so that it can cover the elderly population in general and at the same time put in place support specific for oldest-older persons in their last phase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