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Distribution of Aquaporins (Water Channels) in the Rat Salivary Glands

        정지연(Ji-Yeon Jung),한창룡(Chang-Ryoung Han),정연진(Yeon-Jin Jeong),오원만(Won-Mann Oh),김미원(Mi-Won Kim1),김선헌(Sun-Hun Kim),김옥준(Ok-Joon Kim),김현진(Huyn-Jin Kim),고정태(Jeong-Tae Koh),최홍란(Hong-Ran Choi),김원재(Won-Jae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침샘은 하루 1.5 l의 침을 분비하며, 일반적으로 침샘에서 수분이동은 능동적 염분 이동에 따른 삼투현상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침샘에서 높은 수분투과성으로 인해 수분통로 단백인 aquaporin (AQP)들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침샘에 4가지 형태의 AQP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침샘에서 정확한 위치와 수분 이동에 대한 각 AQP들의 역할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300 g 정도의 흰쥐를 pentobarbital sodium (50 mg/kg, IP) 마취하에서 carbarchol (10 μ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AQP들의 역할과 분포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QP1은 침샘의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샘세포와 샘관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상피세포에 존재하였다. AQP4는 침샘관의 마지막 부위인 배출관에 존재하였다. AQP5는 주로 장액세포의 바닥가쪽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 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AQP5는 모든 침샘의 사이관과 줄무늬 관에도 존재하였으며 점액세포는 약하게 존재하였다. AQP8은 AQP5처럼 장액세포의 바닥쪽막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침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쪽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AQP5와 AQP8이 장액세포에서 일차 침 형성시 일어나는 수분이동의 주된 통로임을 시사하였다. The salivary glands produce 1.5 l of fluid per day. As in other organs, the general paradigm in the salivary glands is that water movement occurs secondary to osmotic driving forces created by active salt transport. Therefore, high water permeability in salivary glands is expected to need a variety of aquaporin (AQP), a water channel. Although four AQPs have been known to reside in salivary glands, the precise location and roles of AQPs have been not well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QPs in 3 major salivary glands and their changes after cholinergic stimul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 g under pentobarbital sodium anesthesia. AQP1 was localiz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all salivary capillary vesse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AQP4 was demonstrated in the epithelium of the excretory ductal cells of all salivary glands. AQP5 and 8 were abundantly present in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apical membranes of the serous acini including intercellular secretory canaliculi, whereas AQP5 was weakly present in mucous acini. In addition, AQP5 was found in the epithelium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Upon stimulation of carbachol (10 μg/kg, I.P). AQP5 and 8 tended to translocate from basolateral membrane to the apical membrane, appearing as clusters of d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P5 and 8 are the candidate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water movement in salivary acinar cells.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치수 치근단 병소의 전구 위험요인으로서의 제 2 형 당뇨의 역할에 관한 소고

        김진희,배광식,서덕규,홍성태,이윤,홍삼표,금기연 大韓齒科保存學會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3

        Diabetes Mellitus (DM) is a syndrome accompanied with the abnormal secretion or function of insulin, a hormone that plays a vital role in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level (BGL). Type 1 and 2 DM are most common form and the prevalence of the latter is recently increasing.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assess whet her Type 2 DM could act as a predisposing risk factor on the pulpo-periapical pathogenesis. Previous literature on the pathologic changes of blood vessels in DM was thoroughly reviewed. Furthermore, a histopathologic analysis of artificially-induced periapical specimens obtained from Type 2 diabetic and DM-resistant rats was compared. Histopathologic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ize of periapical bone destruction was larger and the degree of pulpal inflammation was more severe in diabetic rats, indicating that Type 2 DM itself can be a predisposing risk factor that makes the host more susceptible to pulpal infection. The possible reasons may be that in diabetic state the lumen of pulpal blood vessels are thickened by atheromatous deposits, and microcirculation is hindered. The function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 is also impaired and the migration of immune cells is blocked. leading to increased chance of pulpal infection. Also, lack of collateral circulation of pulpal blood vessels makes the pulp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These decrease the regeneration capacity of pulpal cells or tissues, delaying the healing process. Therefore, when restorative treatment is needed in Type 2 DM patients, dentists should minimize irritation to the pulpal tissue under control of BGL. 당뇨(Diabetes Mellitus)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에 장애를 야기하는 질환으로 인슐린 의존성 여부에 따라 제 1 형과 제 2 형으로 분류된다. 본 종설은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제 2 형 당뇨가 치수 치근단 병소의 병인 과정에 전구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문헌고찰을 통해 당뇨의 병인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에 관해 알아보고, 부가적으로 제 2 형 당뇨 쥐 모델에서 인위적인 치수감염 후 얻은 치근단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제 2 형 당뇨 쥐에서 대조군에 비해 치수 치근단 병소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치수 염증 반응도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당뇨 자체가 숙주를 감염에 취약한 상태로 만드는 전구 위험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첫째, 당뇨 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내 죽상 침착(atheromatous deposits)에 의해 혈관 내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미세 순환의 장애는 물론 탐식 세포의 기능 저하, 면역 세포의 혈류 이동이 차단되어 치수 감염 시 쉽게 치근단 병소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고, 둘째 치수 혈관에서 특징인 측부 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의 부재에 따른 살균성 다형핵 백혈구의 활동 억제를 포함한 미세 혈관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치수 조직의 재생능이 저하되어 추가적인 감염원의 공격에 대한 방어 및 치유 저하를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 2 형 당뇨 환자의 수복치료 시 치과의사는 당뇨 조절 하에서 치수 조직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심한 처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판 지역사회 치매선별 검사도구[CSID-K]의 개발

        김재민,김성완,신일선,정태길,윤진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4

        Objectives : Community Screening Interview for Dementia (CSID) is a reliable screening instrument for dementia, irrespe-ctive of educational leve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various population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CSID (CSID-K) for screening of dementia in Korean community residing old people. Methods : Study sample consisted of a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depression, education, no education), each of them was composed of 30 community residing elders. CSID-K was administer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 Split half reliability (Guttman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 and inter-rater and test-retest (two weeks) reliabilities of the CSID-K were excellent. Scores on the CSID-K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s for cognitive function, In addition, scores on the CSID-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Conclusion : CSI-K wa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screen dementia in Korean community residing old people, It could be used not only in community settings but also in clinical settings and for cross-cultural researches.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의 원격조도제어 시스템 개발

        김기남,유진완,박종연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10 産業技術硏究 Vol.30 No.B

        In this paper, We proposed remote dimming control system for Light Emitting Diode(LED) street light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PLC). LED will be used widly by indoor or outdoor lighting because of semi-permanent life and environment restriction. For energy saving of street light, the dimming control system is very necessary and the PLC is a very efficient technique.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remote dimming control system for LED street light using PLC. A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as validated by experimental results.

      • 한국 근해안강망어업의 조석에 따른 주간 어황변동 추세 분석

        김진영,황진수,임양재,홍승현,연인자,황학진,김지연 한국수산자원학회 2003 한국수산자원학회지 Vol.6 No.-

        조류의 강세에 의존하여 조업이 이루어지는 근해안 강망어업의 어황이 조석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주간 어획량, 조업척수, 척당어획량의 자료를 판매량이 증가하는 조금 전후와 그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는 사리 등으로 구분하여 시계열분석기벅으로 장기변동추세를 분석하였다. 단계별 구분에 따른 어획량에 대한 분석결과, 3단계 구분에서 전체적으로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단계로 구분한 경우의 어획량은 조금에 (1-0.6891B+2.1168B²)(1-B)Z₁=(1-0.9730B)a_(?) 사리에 Z_(t)=(1+0.41659B)a_(t₁) 중간물에 (1+1.38253B+0.63391B²)Z₁-(1+1.15390B+0.64547B²)Z₁-(1+1.15390B+0.64547B²)a_(t)로 표현되었으며, 조업척수는 조금에 (1-0.19699B)Z₁=(1-0.66259B)a_(t?) 사리에 (1+0.45672B)Z₁=1+0.006094B)a_(t?) 중간물에(1.0.74814B) Z₁=((1-0.21476b)a_(t)로 표현되었다. 척당어획량은 조금에 (1-0.54709B+0.26967B^(6))Z_(t)=a_(t₁) 사리에 (1-0.26622B-0.28067B^(6))(1+0.45081B^(8))Z_(t)=(I+0.21652B^(15))a 중간물에 (1-0.23881B-0.10487B^(5))Z_(t)=a_(t)로 나타낼 수 있었다. Z_(t)는 시간 t에서의 어획량, 조업척수, 척당 어획량을 나타낸다. B는 후향연산자 로서 ㅇ?P를 들면 B^(d)를 Z_(t)에 작용시키면 Z_(t-d)이 된다. A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time series model was applied to the weekly prediction of landings. number of operating boats and catches per unit effort of large stow net fisheries as ebb and flow in Korean wafers for 1994-1996. The estimated seasonal ARIMA models are presented as the fellowing equations:(1-0.6891B+2.1168B²)(1-B)Z₁=(1-(0.9730B)a₁ at the neap tides. Z₁=(1+0.41659B)a₁ at the spring tides, and (1+1.38253B+0.63391B²) Z₁=(1+1.15390B+0.64547B²)a₁ at the middle tides between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fer landings.(1-0.19699B) Z₁=(1-0.662593)a₁ at the neap tides. (1+0.45672B) Z₁=(1+D.0.006094B)a₁ at the spring tides, and (1-0.74814B) Z₁=(1-0.214766)a₁ at the middle tides between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for the number or operating boats, and(1-0.54709B+0.26967B)Z₁=a₁at the neap tides, (1-0.26622B-0.28067B^(6))(1+0.45081B^(8)) Z₁=(1+0.21652B^(15))a₁ at the spring tides, and (1-0.23881B-0.10487B^(5)) Z₁=a₁t the middle tides between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for the catch per unit efforts, where: :Z_(t)=the value at week t: B^(D)=a backward shift operator that is used as follows: B^(D)Z_(t)=-Z_(t-p); and a_(t)=error term at week t. The prediction error by the Box-Cox transformation on weekly landings, number of operating boats and CPUB of stow net in Korea were less than that by the Iogarithmic transformation.

      • KCI등재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 : 용산구·숙명여자대학교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김명자,계선자,박미석,장진경,김연화,한은주,류진아 한국가족관계학회 2005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service programs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division of family education in Healthy Families Center.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s find out demands for the family education programs of people in Yong-San Gu, Seoul, exam the effect of each family education program of Yong-San Gu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ealthy Families Center from June to December, 2004. According to the results, people in Yong-San Gu need economic education service mostly, and they want to study at Saturday afternoon. The programs show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family health.

      • 내후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 및 특성연구

        연규석,김기성,이기원,황진하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2001 석재연 논문집 Vol.6 No.-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비율을 변수로 하는 자외선 흡수제 첨가유ㆍ무 시편에 대한 Xenon lamp, 52±3℃, 실내습도 50±5%, 시험체 걸이 직경 20inches의 조건의 내후성 시험기로 각각 100, 200, 400, 800, 1600 시간 인공촉진열화 시킨 시편의 색차변화를 측정하여 불포화 폴리에서터 수지량 및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의한 열화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00%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량 및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의한 열화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00%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시편과 상대적으로 수지비율이 큰 폴리머 페이스트에서는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큰 색차변화 및 자외선 첨가에 의한 열화방지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폴리머 모르타르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차변화 및 자외선 흡수제 첨가에 의한 열화방지가 그리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것은 야외에 설치되는 폴리머 모르타르(콘크리트) 제품은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그리 크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terioration of polymer concrete due to wethering Two sets of specimens with a various mixing ratio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V absorber added and not-added, were artificially exposed by the weathering test machine to ultraviolet (UV) radiation 100, 200, 400, 800 and 1600 hours under the conditions that the temperature was set by Xenon lamp at 52±3℃, the chamber humidity at 50±5%, and specimen rack diameter 20 inches to measure the color chang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terioration. Color difference increased as the exposure time to UV radiation increased, but decreased 20-30%, comparing to the case of non-absorber add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was added.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addition of ultraviolet absorber decreased as addition of aggregate increase. Thus, the effect of addition of ultraviolet absorber was a little on the polymer concrete containing aggregate, Especially, increment of color difference in polymer mortar specimen was lower than that of polymer resin and polymer paste specimen, when the resin volume for specimen mixture proportion was below 30%, as fine aggregate increased. As a result, outdoor-installed polymer concrete product is believed to be hardly affected by ultraviolet 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