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능화의 한국 양명학 연구

        이우진(Lee, Woo-Jin),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이 논문은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로서 이능화(李能和)에 대한 탐구이다. 먼저, 이능화가 양명학이 어떤 측면에서 “주자학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서구적인(=서구화할 수 있는) 사상 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주자학을 서구근대화의 장애물’로 판단하게 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능화의 조선유계지양명학파 에서 나타난 한국 양명학의 연구 관점이나 자료수집의 폭이 어떤 것이며, 그것이 이후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능화는 조선을 ‘사상속박시대’라고 비난할 정도로 오직 주자학만을 유일무이한 학문으로 존숭하였던 조선 유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지녔다. 그에 따르면, 조선의 교조주의는 근본적으로 사대주의(事大主義)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그러한 교조주의는 당파의 분열을 발생시켜 유교의 특장점인 정치적 · 윤리적인 사회철학적 성격을 상실케 되었다고 파악한다. 반면 이능화는 양명학을 시대변혁의 방향에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사상으로 파악한 듯 하다. ‘전근대적인 주자학’을 탈피하여 당시의 역사적 사명인 ‘서구근대화를 이룰 수 있는 사상’으로 양명학을 바라보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는 일본의 서구 근대화가 양명학이라는 이념적 기반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능화는 『조선유계지양명학파(朝鮮儒界之陽明學派)』에서 조선 양명학파를 학문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인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국 양명학파를 성립시킨 인물로서 정제두로 제시하였으며, 남언경(南彦經)을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로서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양명학 전래시기를 1567년 전후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견해는 이후의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특히 이능화는 조선의 양명학 배척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후 그의 한국 양명학 연구는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에게 이어져 식민사관으로 재생산된다. 하지만 윤남한(尹南漢)과 유명종(劉明種)에 이르면 다카하시 도오루가 보여준 식민사관을 넘어서게 되고, 이능화가 마련한 인물 · 시각 · 자료 · 사건들을 그들의 한국 양명학 연구에서 근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 점에서 이능화는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라고 지칭해도 무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on Lee Nung-Hwa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陽明學)’. First, we examined that why Le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In addition to this, We investigated that why he thought JuJahak(朱子學) as the obstacle of making Josun modern westernization. Second, we investigated Lee’s Josunyukyejiyangmyeonghakpa(朝鮮儒界之陽明學派) for seeking his research perspective and scope of data collection about Korean Yangmyeonghak. And, we examined in particular that what Lee had influenced on researchers on Korean Yangmyeonghak since he published this Josunyukyejiyangmyeonghakpa . Lee described Josun(朝鮮) as ‘the spirit bondage era.’ He had a very critical stance on the Josun Confucianism, because it only acknowledged JuJahak. At that time, any other thoughts except JuJahak were regarded as unorthodox. According to him, Jujahak dogmatism was due to toadyism basically. Jujahak dogmatism had generated multitudinous partisan brawls from the earliest days of Josun. So, the confucianim lost its advantages of eth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But, Lee looked at Yangmyeonghak positively. H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Because Yangmyeonghak w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Meiji Restoration. Lee organi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t the political side, not the academic side in 『Josunyukyejiyangmyeonghakpa』. Lee described Jeongjedu(鄭齊斗) as the feature of establish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nd identified Namunkyung(南彦經) as the first Yangmyeonghak scholar inf Josun. And, Lee estimated the Yangmyeonghak transmission time as around 1567. Many researchers followed these his views. But, Lee analy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His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was continued to Takahasi torou(高橋亨), but that perstpective had been refused by Yunnahan(尹南漢) and Yumyeongjong(劉明宗). However, people, data, and events selected by Lee had been accepted by almost all researchers. In that point, we identify Lee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

      • KCI등재

        이백(李白)과 이하(李賀)의 <장진주(將進酒)>가 한국 한시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규 ( Jin Gyu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본고는 한시문인들이 중세 동아시아 공통의 문언문인 한문을 통하여 문학적 공유가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당대(唐代) 이백과 이하의 작품 <장진주>에 한정하여 한국적 수용유형과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장진주>는 한(漢)의 군가인 요가(요歌)로 조정의 공식적 행사를 위한 궁중연희로부터 시작되어 후대로 전승되다가 당대 두 시인에 이르러 이들의 서정적 정감이 더해져 인구에 회자되었다. 한국 한시문인들은 자신들이 처한 환경에 따라 한 시인 또는 두 시인 모두에게서 제명을 같이하거나 차운하는 방식, 그리고 표현 및 시상전개를 같거나 비슷하게 하는 방식으로 용사 또는 변개하고 있다. 이들이 작품에 수용한 양상들은 유배의 시련과 고통을 읊은 경우, 신분적 한계로 문학적 재능 발휘의 좌절을 읊은 경우, 정치적 무기력감과 현실의 갈등을 읊은 경우, 신분적 위치에서 급시취락(及時醉樂)을 읊은 경우, 문학관(시문관, 악부관 등)에서 지은 경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 언급한 시들은 한시사(漢詩史)에서 비중이 높은 문인들의 작품으로 당대 그들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최치원(857∼?)의 <춘효우서>는 이백 <장진주>에 공감하여 자신의 심경을 술회하는데 수용하고 있다. 그동안 이규보(1168∼1241)의 <속장진주가>가 한국 최고의 <장진주>계 작품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보다 300년이나 앞선 9세기의 작품인 <춘효우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the Korean classic poe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influenced by the great poets, ‘Jang-Jin-Ju(將進酒)’(the songs to offering win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composed by Lee-Baek(李白, 701∼762) and Lee-Ha(李賀, 790∼816). ‘Jang-Jin-Ju’ had created as the military song from the era of Chinese Han and have sung in the formal ceremony of the royal court. Lee-Baek and Lee-Ha have included lyricism to this poetry at the Tang Dynasty. Korean classic poets have traditionally imitated or borrowed from the titles, the rhyming verses, the structures and the expressions of the poems written by two great poets. They have wanted to represent their situation in the exile, their limitation in their social stratum, their defeat and conflict from the political activities, their entertainment of the social accomplishments an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Specially the poem called ‘Compose by chance in the Spring dawn(春曉偶書)’ by Choi, ChiWon(857∼?) is the most earlier poet like as ‘Jang-Jin-Ju’ in the Korean poetry history, before about 9 century than the poem called ‘Sok(supplementary volume) Jang-Jin-Ju(續將進酒歌)’ by Lee, Gwubo(1168∼1241).

      • KCI등재후보

        비복신경이식을 이용한 긴 거리의 말초신경 결손부 수복

        이종호,이세영,김명진,이은진,안강민,김성민,최원재,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The surgery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poses the risk of cranial nerve damage such as trigeminal nerve or facial nerve. Inferior alveolar nerve is prone to damage in the third molar extraction, implant installation, orthognathic surgery, open reduction and rigid fixation, and tumor ablation surgery. On the other hands,facial nerve is likely to be damaged or sacrificed with trauma or parotidectomy. In case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the incidence is reported to be about 1.3%. The nerve function will almost recover in minimal damage, but it won't recover at last in total damage of a part of nerve unit. In latter cases, nerve regeneration in intended by allograft as nerve substitute or various route of merve condit. But the recovery with autograft is believed to be most relialbe mrthod in the rapair of long-span(longer than 15㎜)nerve defect. We have performed autologous sural nerve graft in the repair of nerve defect, which is caused by resection of benign or malignant tumor. Hereby we report the method of nerve harvesting, recovery of defected peripheral nerve and the complications of donor site with the discussion of sural nerve anatomy.

      • KCI등재후보

        하치조신경 및 설신경 손상 평가를 위한 한국인 정상 성인의 하순-이부 및 혀의 감각 조사

        이종호,이세영,송승일,이은진,안강민,김성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re are so many sensory nerves, which are sometimes injuried iatrogenically or inadvertently so that involved patients complained of the loss of sensations. In such cases, it is important to judge the degree of injuries and regeneration of nerve for better diagnosis and treatment. Seddon and Sunderland's classification, which is commomly used, is focused on histological change and nerve conduction. As times goes by, it is difficult to access patient's sensory disturbance by this method. Until now, so many methods such as contract threshold, direc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have been introduced for sensory evaluation. However, there hasn't been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each methodology nor integrated standard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orean adult normative sensory values of lower lip,chin and tongue using modified methods of contact thershold, ditection, two 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assess degree of regeneration of sensory nerve damage.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면역 알고리즘을 이용한 AGV의 2자유도 PID 조향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이창훈,이진우,이영진,이권순 동아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2002 情報技術硏究所論文誌 Vol.9 No.2

        Immune system is an evolutionary biological system to protect innumerable foreign materials such as virus, germ cell, and et cetera. Immune algorithm is the modeling of this system's response that has adaptation and reliableness when disturbance occur. In this paper, Immune algorithm controller was proposed to control four wheels steering(4ws). Automated Guided vehicle(AGV) in container yard. And then the simulation result was analysed and compared with result of Neural Network PID controller.

      • KCI등재

        A Study of English Neologisms with Some Comparing Notes on Korean Neologisms

        Lee Jin-sung 한국사회언어학회 2012 사회언어학 Vol.20 No.2

        Lee Jin-sung. 2012. A Study of English Neologisms with Some Comparing Notes on Korean Neologism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367-400. This study examines how English is reflecting the changing society on neologisms, and how the language and the society is interwoven in neologisms of English. It also investigates English neologisms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formation and semantic change. In doing this Korean neologisms are partly dealt with comparatively to bring out the contrastive characters of the two languages. From the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ety, life style, and people. These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several areas: general affairs, economics, IT new jobs, new technology under the category of society; language, daily lives, leisure, health, food, and apparel under the life style; men and women, men, women, youngsters and the olds under the people. It was found that the categorial classifications of neologisms reveals how social change is reflected on neologisms of each language, and also discloses the way the two languages enrich their expressive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formation and semantic change, the English data were classified into compounds, new words, verbal phrases, and independent expressions. The compounds were subdivided into simple compounds and compounds within compounds to diagnose the degree of recursive character in English. In the category of new words, the followings were investigated: affixations, blendings, abbreviations, acronyms, euphemisms, semantic shifts, foreign languages, functional shifts, coinages and clippings. The distribution of neologisms in regard to their parts of speech was also examined. In comparing notes of the two languages, the followings are provided: first, sociocultural character reflected on neologisms; second, the frequencies and characterizations of neologisms from morphological perspectives; third, the distribution of parts of speech.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검토 : 탈 권력의 지향과 계몽의 기획에 대한 비판 Practice of Exclusion from Power and Will for Enlightenment

        이화진 반교어문학회 2003 泮橋語文硏究 Vol.15 No.-

        이 논문은 이청준 소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예술가 의식과 현실과의 관계에서 탈 권력을 실천하고자 하는 이청준은 ‘음모’와 ‘조작’을 통한 글쓰기를 시도함으로써 ‘권력’과 ‘억압’의 지배담론을 전복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진실과 거짓놀음을 통한 서술’, ‘말의 사물화’, ‘현실의 알레고리화와 개방적 결말구조’, ‘내포작가의 개입과 서술 주체의 은닉’ 등 구체적인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면 예술성에 목적을 둔 미적 자율성의 탐구라기보다는 ‘기만적 서술’이라는 ‘함의’가 내포되어 있음이 발견된다. 곧 이청준의 소설에 나타난 권력과 억압의 메커니즘에 대한 비판은 역설적이게도 새로운 권력 체계를 형성한다. ‘예술성’ 획득을 위해 구가한 ‘자유’를 향한 몸짓은 보편적 질서에 대한 신뢰마저 부정하고 있으며, 도리어 보편성과 대립하는 ‘자유’ 권력을 재창조해 나간다. 이는 1960, 70년대 문학에서 현실 참여적인 문학에 대한 경계세력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청준의 ‘자유로운 글쓰기’는 예술가 의식의 순수성을 넘어서서 새로운 ‘동상’을 구축하고자 하는 권력에의 욕망의지의 일환으로 보인다. ‘계몽성’을 내포하고 있는 탈 권력을 향한 실천의 의지는 ‘자유에의 의지’를 피력하는 한 지고한 예술가의 허위의식을 반증해 준다. This article refers to writing style of Lee Chung-jun's Novel. Lee who tried to practice exclusion from power amongst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spirit and reality tried writing with 'conspiracy' and 'manipulation' to overturn ruling discourse on 'power' and 'suppression'. However, looking at his concrete writing style in 'description through truth and false', ' reification of speech', 'allegory of reality and opened conclusive structure', 'intervention of implied-narrator and concealment of descriptive main body' it has 'significant meaning' of 'deceptive description' rather than being a autonomy research focusing art. Namely, criticism on mechanism of power and suppression shown on Lee's novel paradoxically forms another power structure. 'Gesture' toward 'freedom for art' denies trust on ubiquitous regularity and recreates 'freedom' power which opposes to regularity instead. This also formed warning power that stands against reality participation literature in 60's and 70's literature. 'Free writing' of Lee reflects will of power to construct new 'statue' which was much more than simple purity of artist's spirit. His volition to include 'enlightenment' and exclude power in his literature counter evidence fraud formality of a supreme artist who expressed his 'desire for freedom'.

      • KCI등재후보

        간암 환자에 합병된 Citrobacter braakii 패혈증 1례 보고

        이해미,배성하,이수남,이정우,신아영,류시영,이수연,윤문희,한선영,한남익,이영석,유진홍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3

        Citrobacter species is a gram-negative bacilli that can cause opportunistic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hosts. Citrobacter braakii refers to the genomospecies 6 of the Citrobacter freundii complex. There are no detailed studies on infections caused by this newly identified specific genetic species in Korea. We herein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ho, after undergoing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developed biloma which later progressed to C.braakii sepsis and did not respond to treatmen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in Korea on C. braakii infection resulting in septic shock in a patient with malignancy in Korea.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