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이 논문에서는, 아직 학계에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양명학 연구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보이는, 金源極(1871-1927)을 통해서 그가 ‘유교 이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이자 근대적 학술이 본격 유입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하면서 ‘양명학’을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던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김원극에 대한 소개는 서경석ㆍ김진량 엮음의 『식민지 지식인의 개화 세상유학기』, 최재목의 「日帝强占期 雜誌를 통해서 본 陽明學 硏究의 動向」, 금장태의 『한국 양명학의 쟁점』에 부분적으로 소개되어 있고, 본격적인 연구에 이르지는 못했다. 김원극은 그는 함경남도 永興郡 출신 유학자로, 松南, 春夢, 春夢子, 松南春夢 등의 필명을 사용하여 1908년부터 『西北學會月報』, 『太極學報』, 『大韓興學報』 등에 많은 다양한 글을 싣고 있다. 『태극학보』에는 주필로 활동하였고, 西北學會에서는 副總務로 활동하던 중 1909년(明治四十二年) 11월 11일 伊藤博文 被擊事件 嫌疑者로서 眞相調査를 받았으며 1910년에는 朴殷植에 이어 『서북학회월보』의 주필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1934년 11월 29일자) 기사에 따르면 「한학과 경제학을 겸비한 정치객이었던 바 그 외에도 문맹퇴치에도 노력하여온 드문 지사이었던 바 지난 소화 2년 8월 5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되어 있다. 김원극은 유교를 1910년대 당시의 서세동점, 약육강식의 세계사적 현실에 맞도록 근대적, 실천적으로 이해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그의 개혁적 특성은 이태리 건국 삼걸의 강조하고 그러한 기풍을 한국의 청년들에게 계몽할 것을 기대하고 촉구한 데에서, 아울러 유교를 서구 기독교에 대항할만한 근대적 콘텐츠(교리, 텍스트 등) 및 종교적 체제를 갖추도록 요구한 바에서 잘 드러나 있다. 이 점에서 그는 수구적 보수 유림들과 사고가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김원극은 박은식의 대동교 정신에 동조하는 유교 개혁 쪽에 서 있었다. 그는 유교의 본질은 계승하되 구체적 내용들은 한국의 지금ㆍ여기에 맞는 ‘時中’의 유교를 지향하도록 요구하였다. 그는 유교가 새로운 체제로 개혁하고 나아가서 利用厚生 및 국민ㆍ청년계몽이라는 세계사적 문명에 발맞출 수 있는 학술이어야 함을 적극 강조하였다. 이러한 그의 유교에 대한 관점은 그대로 양명학 이해에도 적용된다. 김원극의 양명학 이해는 「明代諸儒의 學說」과 「王陽明學論」에 잘 드러나 있는데, 먼저 「明代諸儒의 學說」에서는 양명학과 불교의 ‘합일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양명학과 불교의 합일론은, 「王陽明學論」에서는 양명학이 나의 정신을 번롱하여 단순히 悟道를 주안으로 한 禪家와 다름을 지적하고 ‘人倫交際의 道’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각 학술은 그 세부적 특성을 유지하지만, 큰 틀에서는 합치됨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王陽明學論」에서는 근대학문의 한 장르인 ‘倫理學’으로서 양명학을 이해하는데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의견은 아마도 1908년 그가 일본에서 유학을 하며 얻은, 당시 일본에서 유포되고 있었던 최신의 양명학 지식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추정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근대적 학술체계로 전통사상을 이해하려 했다는 점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양명학이 근대적 학문에 어울리는 특징이 있음을 평가하고자 했음을 인정해도 좋겠다. 김원극이 구상한 「倫理?」으로서의 양명학은 주체성과 능동성을 갖고 있으면서 ‘人倫交際의 道’로서 실제 사회에서 실용성을 갖춘, 化學ㆍ物理學ㆍ金石學ㆍ地質學등의 제 학문과 대등하게 내세울 수 있는 ‘인륜의 학문’(=윤리학)이었다. 다시 말해서, 1910년대의 한국에서, 외국의 신지식을 수용하고, 거기서 힌트를 얻어, 양명학을 근대적 학술로서 재해석하고자 했던 노력이 당시의 여러 양명학 연구가와 비교해 볼 때 큰 특징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focus on Kim Wongeuk(金源極. 1871-1927)’s Yangmyonghak(陽明學), especially, through reexamining his the famous two articles, Myongdaejeuhakseol (the Neo-confucian’s theories in Ming dynasty of china. 明代諸儒의 學說) and Yangmyonghakron(Essay on Yangmingxue. 王陽明學論). Kim Wongeuk is a man unknown to fame to us till now. But his Yangmyonghak (陽明學),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modern korea,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Korea. He studied at Japan for a number of years, and so he had many information about Modern knowledge on sciences and academism in Japan. Based on this, I think, most of his knowledge on Yangmyonhak(陽明學) is also from modern japanese academic, scientific research information, such that modern japanese youmeigaku (Yangmyonghak, 陽明學) by Inouetetsujirou(井上哲次?)’s Youmeigaku-notetsugaku(陽明學派之哲學), Takasetakejiro(高?武次?)’s Ouyoumeisyouden(王陽明詳傳), and the Youmeigaku(陽明學) edited by Higasikeiji(東敬治). The most korean thought’s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yonghak(陽明學) are from these modern japanese. Kim Wongeuk try to define Yangmyonghak as Oriental ethics. And he think the Yangmonghak is one with the Buddhism. His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n Yangmonghak ar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original. an orthodox method. Most people in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 criticize the Yangmyonghak are very like with Buddhism, but it is a distinguishing mark that Kim Wongeuk take an active a point of view the two are fusing with.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의 연구자들 즉 안재홍安在鴻(1891~1965)·백남운白南 雲(1895~1979)·최익한崔益輪(1897~?) 등이었다. 그들이 펼친 조선학은 ‘조선문화 부흥’의 일환이며, 그것은 문화제국주의의 한국학인 ‘청구학靑丘學’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이 대립되는 양자는 ‘한국사회·한국문화 특수성론’으로 공통되어 있었다. 그것은 전자가 후자의 전도형태 顧倒形態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정다산에 대한 연구는 1934년을 계기로 하여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다산 서거 98주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그들은 조선학 부흥운동을 꾀하면서 그 일환으로 다산 서거 100주년 기념사업을 계획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상을 비롯하여 여타의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실학 연구의 기념비적인 작업은 역시 1938년 12월 13일자 『동아일보 東亞日報』 2면 기사에 「茶山與觸堂全書 完刑記念祝寶 來十六日 明月館에서」 라고 있는 것처럼, (1934년에 시작하여) 1938년 12월에 이뤄지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신조선사新朝雖社 출판)의 완간 작업이었다. 『여유당전서』의 출판에 참여한 인물로는 실학 관련 기사를 쓴 정인보, 최익한, 문일명文一平(1888~1936), 안재홍 등이다. 최익한은 65회에 걸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독讀힘」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일제 강점기에 다산 서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조선학운동에서 ‘정다산`은 분명 우리나라 ‘위인’의 표상이자 아이콘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개념, 인물을 새롭게 영유領有하는 방법론이기도 하였다. 그를 둘러 싼 좌의 ‘세계’ 지향과 우의 ‘민족’ 지향이 서로 맞서는 가운데 ‘근대적’ 학술의 논의가 진척되었고 ‘허虛의 학’을 넘어선 ‘실實의 학’을 추구해가는 절실한 논의의 지명이 열리기도 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크게는 〈구(전통-구식)〉⇔〈신(현대-신식〉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그 대립 속에서 새로운 이념들이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익’측에서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대한 대응 논리로 포괄적인 민족사상 및 학문의 전통 확립을 위해 정인보鄭寅普가 ‘얼’을, 안재홍이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분일평이 ‘조선심朝鮮心’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주도해갔다. 이에 반해 ‘좌익’측에서는 이청원, 백남운 등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세계사의 보편성에서 한국사체계를 구성해 사회경제사학을 확립하는 한편 공산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정당화하였다. 이처럼 ‘세계’에 관심을 둔 좌, 민족에 관심을 둔 우의 ‘시점視點’은 정다산, 실학, 나아가서는 조선학을 서술해가는 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바로 정다산 논의는 ‘민족民族’과 ‘세계世界’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의 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especially, here focused the media and the journal in those days. In 1935,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Tasan Cheong Yag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eongwon and Seo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Tasan Cheong Yag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
최재목(Choi Jae-Mo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Dasan Jeong Yak-yong in 1930"s japanese imperialism era of modern korea. In 1935,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Dasan Jeong Yak-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ong won and Su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Dasan Jeong Yak-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이 논문에서는 경주가 낳은 두 사상가 즉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을 ‘東’의 탄생이라는 ‘視點’에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다시 조명해보면서 범부는 신라 -경주로부터 내려오는 풍류를 잇는 수운의 혈맥을 다시 잇고 있는 것이라 보았다. 먼저 수운과 범부의 ‘東’이란 은유의 배경 찾기로서 다양한 ‘東’의 의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근대기 일본의 논의까지 안목에 두고 살펴보았다. 즉, 〈‘東’ - ‘日出’ 지역 쟁탈전〉, 〈‘西’에 맞선 ‘東’이라는 시점〉, 〈‘東洋’의 의미〉,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 〈‘빛은 동쪽에서’(Ex Orient Lux) - 한국의 ‘동/동방’ 찾기: 元曉, 塞部〉, 〈타고르가 말한 ‘東方의 등불’ 코리아(조선)〉, 〈‘東’의 우월성’, ‘東洋思想’의 등장〉, 〈근대기 동아시아의 ‘동양’ 논의 -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일본의 ‘동양’-‘아시아’라는 개념논의 - 이 그것이다. 이것은 최치원 등에 의해 ‘동’으로 대표되는 ‘신라 -경주’-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으로 전승되는 문화사적 고리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어서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이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몇가지 증거를 들어 논의하였다. 즉, 〈최근 신라-경주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 〈수운, 범부의 ‘해동’-‘신라’-‘경주’로의 눈돌림〉, 〈수운의 ‘다시개벽’에서 범부의 ‘동방르네상스’로〉, 〈신라, 경주 문화의 특수성 규명의 방법-범부의 ‘오증론(五證論)’〉, 〈‘血證’論의 확대-범부의 「崔濟愚論」: 무속(巫俗), 계시(啓示), 한울님[天主]의 강림(降臨)에 주목-〉, 〈범부의 ‘사우맞음(대조화)=풍류’는 수운의 ‘內有神靈外有氣化-侍天主造化定’의 부활〉, 〈수운의 ‘仙道+武道+巫俗’(「劍訣」)와 범부의 ‘花郞道’=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가 그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수운과 범부에게서 공통되는 요소들 ①신라-경주에의 주목, ②‘다시개벽’론-‘동방르네상스’론, ③‘내유신령외유기화’-‘시천주조화정’과 ‘사우맞음(대조화)’=‘풍류’, ④ 예컨대 「劍訣」에서 보이는 ‘仙道+武道+巫俗’의 특질과 ‘花郞道’의 ‘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의 특질이 지적되었다. 이렇게 수운과 범부의 연결을 통해 ‘동-동방’ 논의의 평가와 그 의의를 되짚어 보는 것은 이제 시작일지도 모른다.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은 ‘동=동방의 탄생’을 통해 우리 민족의 근저가 되는 ‘문화전통’의 본질적 요소들을 당시의 상황에서 재현하려는 하나의 노력이거나 운동이었음을 우리는 기어갈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노래와 영화 ‘신라의 달밤’ 등은 모두 신라-경주의 발견과 재탄생을 의미했고 신라-경주가 근-현대 한국적 맥락에서 또 다른 ‘시공간’으로 새롭게 탄생되던 것처럼 말이다.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two thinkers i.e. Suun Choi Jewoo and Bombu Kim Jeongsol who are born in Gyonju of Korea. Suun advanced Donghak(the east studies) against Seohak(the west studies). And Bombu advanced Dongbanghak(the orient studies) against Seobanghak(the occident studies). The Dongbanghak of Bombu, basically, succeed the Donghak of Suun. Suun is known as a close friend with Bombu’s grandfather in Gyonju. And so, Bombu seems to have many chance to hear from his grandfather or the neighbors about Suun. This study, especially, focus on how to born the viewpoint of the east in Suun and Bombu. The two thinkers pay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values and traditional ethos in korean, from the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o their days, because of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Pungryu(taste for the arts and a romantic turn of min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e. Jujahak(Zhuxi studies) one of the Neo-confucianism, the Christian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Then Suun’s Donghak against Seohak in spirit a shamanist custom as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仙道/巫俗). And Bombu’s Dongbanghak match for west in ancient and medieval culture, Pungryu of Silla, that i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for building nation morals and ethics strategies. Thus, the two thinkers, who is as a tradition-minded person, asserted each Donghak and Dongbanghak studies, as the main purpose of alternative cultural vision for survival strategy in modern korea under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최재목(Choi, Jae-mo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인천학연구 Vol.7 No.-
This study inquire into connection between Jung Jaedu(鄭齊斗. Hagok霞 谷)'s Yangming(陽明) studies which is from the thoughts of Wang Yangming of Ming Dynasty and East Asia Modern Thoughts. Jung Jaedu(Hagok), who stands foremost among the Yangming scholars of Joseon Yangming school, compile all the theories of former times Yangming scholars‘s into a his new system of yangming thought. And his Yangming Studies are related to Gwanghwa School, so-called Gwanghwahakpa(江華學派) who are generated from Hagok's Yangming studies. Gwanghwahakpa play an leading role in modern age. A many important the humanities and thoughts factors are originated from the School, such as a subjecthood historical view and Langue studies,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nd writings by brush, literature in spirituality, a practical studies(Silhak) the others. Korea modern Yangming studies, based on that many the important factors, took a new turn. But, in this study, I couldn't refer to the tendency of right wing in Yangming school, Korean traditional medical science, studies of the book of change(Iching), almanac, a view of nature and so on. This study, in addition,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Jung Inbo's Yangming Studies because of his studies has a link deeply with the Gwanghwahakpa's the tradition. Jung Inbo who succeed to the tradition of Gwanghwahakpa's humanities is representative Korean Yangming scholar in modern age of Korea.
연구논문 :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 -격몽요결(擊蒙要訣)』의 「혁구습(革舊習)」장(章),「지신(持身)」장(章)을 중심으로-
최재목 ( Jae Mok Cho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栗谷 李珥(1537-1584)(이하 율곡 혹은 이율곡)의 『擊蒙要訣』가운데 특히제2 『革舊習』章과 제3 「持身」章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에서 천명하려는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지성사적 안목에서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양의 擊蒙, 啓蒙, 訓蒙, 正蒙은 어둠에서 빛으로의 기획이었다. 전통적으로 아동용 텍스트들-즉 『童蒙先習』, 『啓蒙篇』, 『訓蒙字會』, 『正蒙類語』등에서 보듯이 - 가운데 ``蒙`` 자가 들어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다시 말해서 아동의 내면에 잠들어 있는 ``빛의 문양, 빛살무늬``를 일깨워내려는 기법을 내세우는 의도를 살펴볼수 있다. 특히 『擊蒙要訣』의 「革舊習」장과「持身」장에서는 유교가 가진 ``어둠``에서 ``빛``으로의기획이 잘 드러나 있다. 문자-지식-문명을 빛으로 상정하고, 그러한 가능성(=明德)이 인간 내면에 잠재해 있음을 전제한 다음, 빛의 저편에 있는 어둠(결국은 인간 혹은 인간의 내면이 대상이 되지만)을 빛의 세계로 편입시키려는(=明明德) 의도를 갖는다. 그것을 ``인간다움``의 완성으로 보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획이 꼭 유교에서 전매특허를 낸 것이 아님을 우리는 동서양 문화속의 여러 예들을 통해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유교에서는 문명화라는 전략 속에서, 童蒙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이를 어리석음으로 보고(童+蒙) 어린이=어리석음을 ``치고 때려``(=擊蒙), ``열어서``(=啓蒙), ``가르치고``(=訓蒙), ``바로잡는``(=正蒙) 작업을 추진한다. 아동들은 교육의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서, ``암흑(혹은 흑암)``의 존재가 된 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먼저 ``격몽`` 이해의 근거로서 ``어린아이``란 무엇인가를 다루고, 이어서이율곡 『擊蒙要訣』속의 「革舊習」章과 「持身」章이 가지고 있는 ``心身`` 건축의 설계도를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빛`` 회복하기로서 주자학적 공부론을, 마지막으로 인간다움을향한 ``擊蒙``을 동양식 ``빛``의 기획 혹은 건축술로서 조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革舊習』章과 「持身」章의 내용은, 이율곡이 『擊蒙要訣』의「서」에서 밝혔듯이,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것`` ``인간 살아가는 여러 복잡한 관계들(오륜)의 마땅함을 터득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 즉 (=五倫)의 매뉴얼을 신체화하는 것임을 논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천지의 빛 속에서 인간도 하나의 빛이 되어 스스로의 빛을 밝히며 살아가는일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philosophical meaning a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ith the discerning eye of mentality history, particularly centered with the two chapters, Hyukguseup(innovating the past habits) and Jisin(embodied in the body), among Yulgok Yi I``s Gyeokmongyogyeol(the point of hitting the stupidity), which tried to clarify itself. Eastern gyeokmong, gyemong, hunmong, jeongmong, which are generally used, were the planning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Traditionally, as seen in children``s texts - e.g. Dongmongseonseub, Gyemongpyeon, Hunmongjahwe, Jeongmongryueo, etc. - the reason why ``mong`` enters in the middle is the same reason. In other words, the technique to awaken ``pattern of light, rays of light`` which is sleeping within the child and the intention of training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of Gyeokmongyogyeol, the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hich Confucianism had, appeared. It has the intention to include(myeongmyeongdeok) the darkness beyond the light(eventually the human or human inside becomes the target) into the light world, after presuming letter-knowledgecivilization as the light, and premising that possibility(=myeongdeok, enlightening the bright virtue) is hidden in human inner side, into the light. That is to see the completion of ``humanity``. Of course, we can prove that this planning is not necessarily patented only in Confucianism through various examples of eastern western culture. However, in Confucianism, in the strategy of civilization, as we can see in the word,dongmong(dong/children+mong/stupidity), they promoted the task to ``beat and hit``(gyeokmong) children=stupidity, ``evoke`` it(gyemong), ``teach`` it(hunmong), and ``correct`` it(jeongmong) by seeing children as stupidity(dongmong). Children became the beings of ``darkness(or heugam)``, as the target of education, not the main agent. First, this discussion treated what is ``children``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gyeokmong, next, investigated the blueprint of ``mind and body`` architecture which Yi Yulgok``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in Gyeokmongyogyeol. Then, it investigated non- Confucian method of study as the recovery of ``light``, lastly, explored gyeokmong towards humanity as the oriental planning or architecture of ``light``. As the result, a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determined in the Introduction(Seo) of Gyeokmongyogyeol, this research discussed the point to learn and practice ``to be a man of decent character``, ``propriety of various complex relationships(Oryun, the five kinds of virtues) in human life``, that is, to embody the manual of (Oryun). That is, human being becomes a light in the light of the world and lives by emitting one``s own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