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진우,이철,Qinghao Jin,이문순,김영수,홍진태,이미경,황방연 대한약학회 201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8 No.6
Belamcanda chinensis (L.) DC., which belongsto the family of Iridaceae,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sthma, tonsillitis, andmany other throat disorders. Bioactivity-guided purificationof the methylene chloride-soluble fraction of the rhizomesof B. chinensis based on the inhibition of nitricoxide production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seventeenknown compound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basis of extensive spectroscopic measurement such asNMR and ESI–MS. All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 cells.
선형열처리법으로 직접 접합된 Si 기판 및 산화된 Si 기판의 접합 특성
이진우,강춘식,송오성,류지호,Lee, Jin-Woo,Gang, Choon-Sik,Song, Oh-Seong,Ryu, Ji-Ho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10
실온에서 직접 접합된 실리콘 기판의 접합강도를 향상기키기 위하여 기존의 고온 로내 열처리법을 대체할 수 있는 선형 열처리법을 개발하였다. 한 개의 열원과 타원형 반사경으로 구성된 선형 열처리법은 접합면의 간격이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는 특성과 온도 증가와 더불어 접합면에 생성된는 기체상의 밀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응용하여 접합면의 기체상을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기판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법으로 Si$\mid$$\mid$Si 기판쌍 및 Si$\mid$$\mid$$SiO_2/Si$ 기판쌍의 직접 접합에 적용하여 보았다. IR camera와 HRTEM으로 직접 관찰한 접합면은 실온에서 접합면에 침투한 외부 불순물에 의한 비접합 영역을 제외하고는 자제 생성된 기체상에 의한 비접합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고 매우 깨끗한 접합계면을 나타내었다. 접합된 기판쌍을 Crack opening법과 인장시험법을 적용하여 접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합 강도는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점차로 증가하였고 두 측정방법 모두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Linear annealing method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bond strength of Si wafer pair mated at room temperature instead of conventional furnace annealing method. It has been known that the interval of the two mating wafer surfaces decreases and the density of gaseous phases generated at the interface increases with increase in an-nealing temperature. The new annealing method consisting of one heat source and light reflecting mirror used these two phenomena and was applied to Si$\mid$$\mid$Si and Si$\mid$$\mid$$SiO_2/Si$ bonding. The bonding interface observed directly by using IR camera and HRTEM showed clear bonding interface without any unbonded areas except the area generated by the dusts inserted into the mating interface at the room temperature. Crack opening method and direct tensile test was appplied to measure the bond strength. The two methods showed similar results. The bond strength increased continuoustly with the increase of annealing temperature.
이진우,전승훈,김규호,김창완 한국습지학회 2014 한국습지학회지 Vol.16 No.2
최근 하천정비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수 및 치수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쪽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환경 또는 하천복원이 하천사업의 핵심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하천이 치수목적의 하천정비에 의해 홍수조절과 주운을 돕기 위해 직강화 되었다. 하도를 직강화 할경우 안정성 유지가 중요하므로 하천을 따라 제방이 축조된다. 이와같이 이수와 치수를 목적으로 하천에 축조된댐, 보, 제방 및 수문 등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하천의 종·횡적 연결성(Connectivity)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연결성이란 어떤 서식처에서 다른 서식처로 에너지와 물질을 이동시키거나 자연적인 수로를 통하여 서식처 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동적인 자연통로로써 장기적인 하천복원관점에서 볼 때 연결성 증대는 유역 내 건강한 생태계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횡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하천복원의 첫 번째 단계로써 연결성에 대한기본개념을 설명하고 대상유역을 선정하여 연결성을 저해하는 격리, 차단 공간의 유무에 따른 유역 내 흐름양상의변화를 수치모의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 내 수리수문연결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차후 하천복원사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