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Rat의 복강내에 투여한 5-fluorouracil-polyglycolic acid 제형이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대영,송규상,최정목,노승무,정경수,오정연,김진향,양준묵,최선웅,이진호,조준식,민병무,김용백,김창식,박근성,김승영,김학용,인현빈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8 충남의대잡지 Vol.25 No.1

        For more effec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the authers made 5-fluorouracil-polyglycolic acid composite disks(FU-PGA disks) with 5-fluorouracil and polyglycolic acid, a biodegradable polymer. We inserted the FU-PGA disk into the peritoneal cavites of Sprague-Dawley male rats, the control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one FU-PGA disk insert group(300mg/kg), two FU-PGA disk insert group(600mg/kg), and three FU-PGA disk insert group(900mg/kg).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similar number of PGA disk inserts. A pharmacokinetic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5-fluorouracil concentration in the peritoneal fluid, blood, and tissues(liver, kidney and heart) at 24 hours, 72hours and 168 hours after insertion of the FU-PGA disk.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decreased after FU-PGA insertion. The degree was proportional to the duration and amounts insert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varied slightly. 2) Light microscopically, slight changes were noted at 168 hours in the 3 disk insert group (900mg/kg). Mild fatty change and hepatocyte degeneration around the central veins of the liver were noted, with vacuolar degeneration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of the kidney. 3) Electron microscopically,the liver showed focal increases of lipid droplets in the hepatocytes, and irregular nuclear membrane with focal nucleolar segregation of the fibrillar and granular elements. Also the double membranous structure of the hepatocytes and Kupffer cells was widened with bleb formation. The kidney showed wide separation of the nuclear double membrane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ar cells and mesangial cells, with vacuolation and myelin figure formation in the mitochondria of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ar cells, at 72 hours and 168 hours in the 2 to 3 FU-PGA insert groups. The heart showed focal loss of cristae,vacuolation and myelin figure formation in the mitochondria of the 2 to 3 FU-PGA insert groups. In conclusion, despite the large amont of FU-PGA insert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liver, kidney and heart were slight, and consonant with the very low amount of 5-fluorouracil concentrations detected in the liver, kidney and heart.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FU-PGA composite can serve as a new device for releasing drugs in a controlled manner and easily targeted to intraperitoneal organs. This device can improve the efficacy of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 1차원 MWPC를 이용한 디지탈 사진촬영장치의 개발(Ⅲ)

        강희동,조진호,박정병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5 연차보고서 Vol.1995 No.-

        Digital Radiography 장치로 응용하기 위한 1차원 MWPC를 이용하여 X-선 위치검출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위치검출 방법은 병렬판독법으로 얻으며 스캐닝장치를 이용해 X-선 영상을 얻는다. 제작한 검출기의 위치분해능은 0.8㎜이고, 동시성 선택회로를 고안하여 위치분해능을 0.4㎜로 향상시켰다. 실제 얻은 디지탈 값에서 각 채널에 대한 보정인자를 곱함으로써 영상의 균일성을 증가시켰다. 디지탈 X-선 영상은 0.4㎜의 scanning 간격으로 각종 피사체에 대하여 320×320 화소의 영상을 얻었다. X-ray position detecto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detector was applied to digital radiography system. One-dimensional MWPC(Multiwire Propotional Chamber) is the main component of this system. The way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incident x-ray is the parallel readout method. Digital image data are acquired by using fan beam x-ray and a scanning system.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detector is 0.8㎜. Spatial resolution was improved by a factor of two(0.4㎜) with help of the coincidence selection circuit. Uniformity was improved by converting data with calibration factor for each channel. With help of scanning system which has 0.4㎜ scanning pitch, x-ray digital images of 320×320 pixels were obtained for a fish and a chicken's foot. Bone image is appeared clearly in these image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고정식 교정 환자의 치태, 치은염 및 탈회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강국진,손병화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구강내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염,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증, 치근 흡수, 치수변화 등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발생의 원인으로 치태의 증가, 세균수의 증가와 조성의 변화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치은의 염증과 탈회를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장치장착 전후의 치태, 치은염 그리고 탈회의 변화를 시간에 따른 변화, 남녀간의 차이 그리고 좌.우 소구치 부위간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고, 여자의 경우 초경이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생48명(남자 26명, 여자 22명)과 실험군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할 환자 73명(남자 36명, 여자 37명)을 모두 잇솔질교육(TBI)을 실시한 후, 치태치수, 치은염지수 그리고 탈회지수에 대하여 대조군은 3주 간격으로 2회를, 실험군은 최초측정을 하고 공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뒤 3주, 6주, 9주에 걸쳐 총 4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P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서서이 증가하였다. 2. 치은염지수(G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치태 지수의 증가보다 좀더 바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탈회는 3주와 6주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탈회지수(DI)는 처음과 비교하여 6주 측정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4. 좌.우 소구치 부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에서 우측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Intraoral fixed type of orthodontic appliance can cause reversible or irreversible damages such as gingivitis, periodontitis enamel decalcification, dental caries, root resorption, and pulpal changes. Such adverse effects are brought by increase in dental plaque as well as oral flora. Such an increase cause gingival inflammation and enamel decalc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nowledge on initial changes in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enamel decalcification after bond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according to time flow, gender, and sides(right/left) of premolar region. For control group, 48 students of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26 males, 22 females) were chosen; for experimental group, 73 orthodontic patients(36males, 37 females) who will be treated with fixed appliances were chosen. All the subjects had no systemic disease, juvenile periodontitis and all the females had passed their menarc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was given to all the subjects prior to the experiment. for control group,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decalcification index were measured twice at 3 weeks interval ; for experimental group, the same was done prior to, 3, 6, 9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plaque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it showed gradual increase afterwards. 2. In gingival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afterwards it showed increase at a faster rate than plaque index. 3. Enamel decalcification began to show between 3 and 6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Decalcification index began to increase 6 weeks appliance place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wo sides of premolar region, the right side showed greater index in plaque and gingival index of experimental group.

      • 양방과 한방에 대한 인식 조사

        강병조,채병진,권도훈,김풍택,김재식 경북대학교 병원 2002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6 No.1

        In order to out whether or not the general public have understanding of modern and oriental medical practices and if they do what the extent of their understanding is, 640 subjects were chosen over a four-month period in 1998. They were given questionnaires to answer and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The public were found to prefer modern medicine. 2.About 1/3 were using both modern and oriental medicines. 3.4/5 of the cases believed certain diseases are to get better efficacy from oriental medicine and such diseases are known to be neuraligia, mylgia, stroke, lumdago and gastric disease. 4.3/4 believed that modern medicine is good for treatment while oriental medicine is good as restorative. In summary, this study show that major medical system is mod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is only restorative and complementary.

      • 양방과 한방에 대한 인식 조사

        강병조,채병진,권도훈,김풍택,김재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9 생물치료정신의학 Vol.5 No.2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general public have understanding of modern and oriental medical practices and if they do what the extent of their understanding is, 640 subjects were chosen over a four-month period in 1998. They were given questionnaires to answer and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1. The public were found to prefer modern medicine to oriental medicine.2. About 1/3 were using both modern and oriental medicines.3. 4/5 of the cases believed certain diseases are to get better efficacy from oriental medicine and such diseases are known to be neuraligia, myalgia, stroke, lumbago and gastric disease.4. 3/4 believed that modern medicine is good for treatment while oriental medicine is good as restorative.In summary, this study show that major medical system is mod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is only for restorative and complementary.

      • KCI등재후보

        상아질에 적용된 재 습윤제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영,조영곤,김종욱,박병철,유상훈,진철희,최희영,기영재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Human molars were sectioned to expose the superficial dentin surfaces.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ype of adhesives-Single Bond (S) and One-Step (0)], and again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different dentin surface treatment-dry for 15s (D) , blot dry (BD) or dry for 15s, and rewet with different rewetting agents[distil1ed water (DW), Gluma Desensitizer (GD) and Aqua-Prep (AP)]for 30s. After application of adhesive, composite resin was built up on the bonding surface. Each tooth was sectioned to obtain stick with 1mm^(2)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μTBS was determined by EZ test. In the S group, the mean μTBS of GD, AP and B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W and D group (p < 0.05). In the 0 group, the mean μTBS of AP, GD, BD and DW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 group (p < 0.05). The data suggested that Gluma Desensitizer and Aqua-Prep could be successfully used as rewetting agents, and Distilled water could be acceptable in aceton based adhesive system only.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악성 갑상선 우연종의 임상상 및 초음파 소견의 진단적 가치

        강한욱,김광원,이병완,강보현,김형훈,김범진,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최근 갑상선 초음파 검사의 빈번한 시행으로 갑상선 우연종의 발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갑상선 우연종은 임상적으로 어떻게 접근하고 치료를 해야 하는지 적지 않은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경 1.5㎝ 이하의 갑상선 우연종의 유병률, 입상적 특징 및 초음파 특성, 그리고 가장 효율적인 진단적 접근에 대해 알아 봤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내과 및 일반외과로 갑상선 결절을 주소로 내원한 145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우연히 발견된 직경 1.5㎝ 이하의 갑상선 결절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갑상선 결절의 촉지 유무, 갑상선 기능검사, 항갑상선 항체, 갑상선 초음파 및 미세침 흡인세포검사, 99m^Tc 갑상선 스켄, 수술 조직검사 및 병기를 검토하였다. 결과: 분석한 갑상선 결절 1475예 중 갑상선 우연종의 유병률은 13.4%(198예)였다. 갑상선 우연종에서 악성률은 28.8%(57예)으로 나왔다. 양성 및 악성 갑상선 우연종에서 나이, 성별, 갑상선 기능검사, 결절 크기에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갑상선 스켄은 갑상선 우연종의 감별에 적합하지 않았다. 갑상선 결절의 초음파 지표 점수만이 양성 및 악석 갑상선 우연종의 감별에서 초음파 지표 점수의 민감도는 88.9%, 특이도는 74.4%, 양성 예측률은 92.4%로 나왔고 진단적 정환도는 85.5%였다.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50명중 stage 1은 34명, stage 2는 6명, stage 3은 10명으로 대부분의 악성 갑상선 우연종은 낮은 TNM 병기로 나타났으나, 상당수에서는 국소 침범의 소견을 보였다. TNM 병기의 3기 환자 전부는 45세 이상이였고, 주로 갑상선암의 피막 침범에 의한 것이었다. 임파절 전이는 6명의 환자에서 나왔다. 결론: 악성 갑상선 우연종은 비교적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며 양성 우연종과는 임상적으로 구별이 안 된다. 악성 갑상선 우연종은 발견 당시 대부분 낮은 병기이나, 갑상선의 피막 침범 및 임파절 전이가 상당수에서 발견되었다. 갑상선 우연종의 초음파 소견은 향후의 진단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 초음파 지표 점수 2점 이상의 갑상선 우연종에서만 초음파 유도 미세침 흡입검사를 권장한다. Background: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has made the detection of asymptomatic small thyroid possible. Recent increases in the detection of incidentalomas have created a clinical dilemma on how to properly manage such incidental nodule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clinical and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ptimal diagnostic approach toward incidentally detected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of less than 1.5㎝ in size.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undertaken on the 1,475 patients who had visited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00. The review consisted of a physical examination of the thyroid gland, thyroid function test, antithyroid antibodies, thyroid ultrasonography,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pathology and TNA staging of the incidentally detected thyroid nodules of less than 1.5㎝ in size. Results: The prevalence of thyroid incidentalomas was 13.4% and the malignancy rate within them was 28.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thyroid function test and size between the benign and malignant incidentalomas.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meaningful diagnostic value for the detection of malignancy in incidentalomas. Most malignant incidentalomas were of a low stage. Conclusion: Occult thyroid cancers are fairly common finding. There are no clinical differenc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less than 1.5㎝; however, ultrasonographic findings can be used to decision of optimal management strategies (J Kor Soc Endocrinol 17:649∼656, 2002).

      • 신경회로망 예측기법을 이용한 Variable Rate Leaky Bucket 알고리즘의 구현에 관한 연구

        강상욱,윤정오,최병진 경운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論文誌 Vol.3 No.2(B)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이용한 B-ISDN의 출현은 다양하고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트래픽 자원들의 버스트성 때문에 이들 트래픽을 동시에 서비스하는데 혼잡제어 (congestion control)라는 새로운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UPC/NPC (user parameter control/network parameter control)에 대한 여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트래픽 상태와 버퍼의 점유 상태에 따라 토큰 생성율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VRLB(variable rate leaky bucket) 알고리즘이 UPC/NPC 메커니즘의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VRLB 알고리즘과 같은 기존의 UPC/NPC 메커니즘의 단점은 토큰 생성율이 현재 망의 상태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버스티한 성격을 지닌 트래픽 자원 하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큰 생성율을 현재 상태에 기반을 두고 결정하는 VRLA 알고리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신경회로망의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토큰 생성율을 미리 예측하여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혼잡제어를 수행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