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합성 이론에서 본 문화특정어의 번역특성: 『순이 삼촌』의 고유명사 한영번역을 중심으로

        양창헌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4 영어권문화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how culture-specific items in the novel 『순이삼촌』 Suni Samch’on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in the two translated texts. In TT1 most cases of proper nouns were translated in the form of direct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TT2 they were mostly translated in the form of indirect translation. TT1 has been found to be optimally more relevant than TT2 as far as the way proper nouns were translated is concerned. Due to the differences of cognitive environments between the readers of ST and those of TT, based on Gutt's relevance translation theory, translators need to provide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main text if it is needed. In this paper, Aixela's(1996) definition of the culture-specific items is adopted. In the section 4, proper nouns belonging to the culture-specific items in TT1 & TT2 are analyzed and then it is decided whether or not they fall under indirect translation and optimal relevance translation. When we have analyzed those cases in TT1 & TT2, it turns out that proper noun is translated through transliteration, a mixed use of transliteration and linguistic translation or linguistic translation. Of course, the translation mode of TT1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T2.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the extent in optimal relevance translation as well as direct and indirect translation is distinct. For example, the place name, ‘서촌’ is directly translated into ‘West Village’ in TT1 and indirectly into ‘west part’ in TT2, which means the first one delivers the interpretation of the ST expression to the target readers because of complete interpretive resemblance between ST and TT1, On the other hand, the semantic effect of the place name of the ST is lost in TT2 as a result of an indirect translation. Since we have a possible expression to deliver the original thought of the ST, the TT2 turns out not to achieve optimal relevance.

      •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최신 지견

        양창헌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東國醫學 Vol.6 No.-

        1983년 Warren과 Marshall이 H. pylori를 발견함으로서 상부 위 장관 질환의 병태생리 및 임상적인 연구에 많은 진보가 있었으며 특히 십이지장 궤양 및 위궤양의 병인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고 진단과 치료면 에서도 많은 번화가 있었다. 지금부터 불과 16년 전 만해도 이 세균의 존재조차 부정적이었으나 현재는 가장 흔한 인간의 만성적인 세균 감염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감염된 대다수의 사람들이 감염과 연관된 증상 없이 지낸다. H. pylori가 보고된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 급성 위염, 만성 위염, 소화성 궤양, 위암, 위 MALT(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림프종 및 비궤양성 소화불량증 등의 여러 가지 소화기 질환과의 관계가 많이 연구되었다. H. pylori 감염은 전세계적인 분포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계인구의 50%-60% 이상이 이 균에 감염되어 있고 개발 도상 국가에서 훨씬 더 흔하며 10세 이전에 인구의 약 50%, 20세 이전에 이미 80% 이상이 감염되어 있으나 선진국에서는 나이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인증가를 보이며 70대에 이르러서 약 70% 의 감염률을 나타낸다. 나이가 들수록 사회 경제적 및 환경요인이 나쁠수록 감염률이 높아진다. 현재까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H. pylori의 감염경로는 없으나 역학조사에 의하면 사람이 H. pylori의 가장 중요한 숙주이며 구강간 전파, 위-구강, 대변-구강 전파 등에 의한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감염이 주요한 감염경로로 알려져 있다. H. pylori 감염의 진단방법은 침습적 방법과 비침습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침습적 방법은 내시경 검사로 채취한 위점막 조직에서 직접 H. pylori를 검출하는 것으로 압착도말(touch print)후 변법그람염색, 병리조직학적 검사, 세균배양, 요소분해효소 검사(rapid urease test) 및 중합효소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등이 있다. 미침습적 방법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H. pylori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혈청학적 검사와 요소호기 검사(urea breath teat) 등이 있다. H. pylori 치료 목표는 상부 위 장관으로부터 이 균을 박멸시키는 것이나 H. pylori가 위장의 점액층 아래 점막상피에 근접하여 산재하므로 투여된 항생제가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위장의 점액층을 통과하거나 점약을 통하여 분비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까지 단독 항생제 요법으로는 H. pylori 박멸 효과가 없고 이상적인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약제를 사용하는 병합요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일부 병합요법이 90% 정도의 박멸률을 보이나 아직도 어떠한 요법이 가장 바람직한지 표준화되지 않아서 새로운 요법들이 계속 시도되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H. pylori에 대한 백신이 개발되면 치료와 예방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한번의 경구 투여로 H. pylori를 박멸함은 물론 일생동안 면역상태가 유지되어 재감염 등의 문제로부터 해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discovery of Helicobacter pylori by Warren and Marshall in 1983 has revolutionized the pathophysiological and clinical approach to diseases of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especially duodenal ulcer and gastric ulcer. Only 16 years ago the presence of H. pylori was unsuspected, but now it is known to be probably the most common chronic bacterial infection in humans, yet most individuals who are colonized never develop clinical manifestations of disease. Since the first paper identifying H. pylori was published in 1983, an information explosion has occurred concerning H. Pylori and its causal relationship to acute and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s, gastric cancer, gastric MALT(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non-ulcer dyspepsia. H. Pylori infection occurs throughout the world and it appears that at least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is infected with this organism. Infection rate is much more common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more than half the population are infected by the age of ten years, the incidence of infection rising to over 80% in young adults. In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gradual rise in prevalence through life, reaching 70% in the seventh decad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H. Pylori besides age is socioeconomic deprivation. The natural reservoir and mode of transmission for H. pylori are well not known, but epidemiological data support either oral-oral, fecal-oral or gastro-oral routes of spread. H. pylori infection can be diagnosed by invasive and non-invasive methods according to use gastric biopsies taken at endoscopy or not. Invasive methods are touch print with modified Gram stain, histologic stains, culture, urease test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Non-invasive methods include serologic test and urea breath test. The aim of treatment of H. pylori in any therapeutic context is eradication of the organism from the foregut. But antibacterial treatment of H. Pylori is difficult because of the habitat occupied by the organism below the layer of mucus adherent to the gastric mucosa. There are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including dual therapy, triple therapy and quadruple therapy that consist of one, two or three antimicrobial agents combined with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The ideal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does not ret exist. Data are emerging, however, on the use of low-dose, short-term triple therapies with high efficacy (90% eradication), low incidence of side effects and twice daily dosing for seven to ten days. In the future, vaccination against H. pylori may offer a promising preven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A single dose of an oral vaccine could eradicate current infection with H. Pylori and lead to life long immunity from re-infection with organism.

      • Helicobacter pylori 제균치료-1주치료로 충분한가?

        양창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Warren과 Marshall이 1982년 위 생검 조직을 배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으로 Helicobacter pylori(H. pylori)를 동정한 이후 H. pylori는 만성 활동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는 한번 인체 위장에 감염이 되면 수년 또는 평생 동안 감염이 지속될 수 있으며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국은 위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H. pylori 감염률이 성인의 경우 69%~75%로 역시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H. pylori 감염의 치료방법으로 과거에는 bismuth 제제 포함 병합요법이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두 가지 항생제를 병용하는 삼제 병합요법이 H. pylori 감염의 1차 치료로 추천되고 있다. H. pylori의 제균치료 시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성공적인 박멸에 있다. PPI 포함 3제요법은 부작용이 적고 순응도가 좋으면서 제균율도 높기 때문에 1차 약제로 선호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최근 PPI 포함 삼제요법의 1주일 치료성적의 다수가 60~70%로 낮은 편이며 7일 투여에 비하여 14일 투여의 제균율이 의미있게 높다는 국내외의 메타분석결과와 최근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주 증가로 인한 제균율 감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약제와 투여방법 및 기간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제균율을 높이기 위하여 probiotics, 동반 치료약물 및 항생제내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치료기간의 연장, 새로운 가이드라인 등의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Ever since Warren and Marshall discovered H. pylori to be the cause of chronic gastritis by culture of gastric biopsy in 1982, H. pylori has also been discov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active gastritis, duodenal ulcer, gastric ulcer, gastric lymphoma and gastric cancer. Once the gastric mucosa is infected with H. pylori, the infection may persist for years or lifelong and spontaneous resolution is rare.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re a relatively high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gastric cancer, but there is also a high colonization rate of H. pylori in adults, 65-75%, compared worldwide. In the past, H. pylon infection was treated with a combination drug regimen including a bismuth agent, but recently triple combination regimens including a proton pump inhibitor (PPI) and two antimicrobial agents are recommended as first line therapy. The most basic aim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s successful eradication. A triple drug regimen including a PPI is preferred as first-line therapy due to it's few side effects, good compliance and high eradication rate.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success rate of 60-70% with a PPI including triple therapy for 7 days in South Korea, meta-analysis reports of a significantly higher eradication rate with 14-day therapy compared to 7-day therapy, and the recent decrease in eradication rates due to the increase in antibiotic resistance, not only is more research needed on new drugs, treatment methods and durations but also on additional therapeutic measures, such as probiotics, that may increase eradication rates and conquer antibiotic resistance. Also it seem to be the time to establish a new guideline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급성백혈병에서 염색체 이상과 암유전자의 전좌

        장성익,양창헌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3

        To investigate the specific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role on oncogenes in human acute leukemia, bone marrow cells from ten cases of acute leukemia patients were cultured and karyotyped after G-banding. DNA in situ hybridization was also performed on the same samples with K-ras, erb-B2, mos and p53 oncogenes. The most characteristics of chromosome abnormalities were marker chromosomes, deletion types of (1)(q26), (2)(p25), (7)(q25), 8(q26), (16)(q24) and t(3;10)(q12;q11) in AML, while deletion types of (1)(q28), (1)(p11), (9)(q34) and t(9;22)(q34;q12) were found in ALL. It was found that three oncogenes (erb-B2, mos, p53) except K-ras were activated with translocation in both subtype leukemia by DNA in situ hybridization. It was obscure that chromosome aberrations and activation of oncogenes were not corelated by individuals. It is presumed that acute leukemia-related antioncogenes are located on the chromosome 1 and 2 and direct activating gene causing acute leukemia in oncogenesis is located on the chromosome 9. An activation of erb-B2, mos and p53 is related to the secondary effect on oncogenesis in acute leukemia.

      • Rifampin에 의한 급성 신부전 1례

        김응석,이정호,이승석,이동철,이영현,서완다,양창헌 東國大學校 醫學硏究所 1995 東國醫學 Vol.3 No.-

        Rifampin은 항결핵치료제로 매우 좋은 효과를 얻고 있으며, 특히 Rifampin을 포함한 병용요법으로 결핵단기요법을 가능케 하였다. 부작용은 오심 및 구토 등의 위장관장애, 혈청 transaminase치 및 bilirubin치 상승 등의 간기능 장애, 근무력감 및 감각이상 등의 신경장애와 과민반응으로 피부염과 인푸루엔자 유사증세가 나타나며 드물게는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급성 신부전등이 생길 수 있다. 이 중 Rifampin에 의한 급성 신부전은 국내에서도 그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중독한 부작용을 보이므로 항결핵제 투여시 이러한 점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Rifampin복용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ifampin induces various adverse reactions including fever, nausea and vomiting, abdominal pain, jaundice, petechiae, thrombocytopenia, and acute renal failure etc. It has been well defined that adverse reactions to rifampin is more common when the drug is given intermittently and latter resum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acute renal failure after taking a single dose (600㎎) of rifampin. The case was 52 years old women who received irregular anti-tuberculosis therapy due to pulmonary tuberculosis during 12 months, 8 years ago. At this admission, she took a single dose (600㎎) of rifampin, and on the same day chest discomfort and chill were developed, so it was discontinued. And then abdominal pain, nausea, oliguria and elevated BUN & Creatinine followed. On 9th day after onset, hemodialysis was started. But patient was expired by complicated pneumonia on 51th day after onset. So we report a case with the relevant literature.

      • Angioimmunoblastic Lymphadenopathy with Dysproteinemia 2례 보고 : 임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Clinical and Radiolohical Features

        박수성,이성우,배한익,오연희,김수성,이창우,양창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4 東國醫學 Vol.2 No.-

        Angioimmunoblastic lymphadenopathy with dysproteinemia(AILD)는 임상 및 조직병리학상 Hodgkin's 림프절증과 유사한 양성 질환으로 급작스런 전신성 림프절증, 간비대, 비장비대, 원인미상의 고열, 발한, 그리고 체중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임상검사 소견으로는 자가면역 출혈성 빈혈, 다클론성 과감마글로불린 혈증등이 나타나며 초음파 및 도플러 검사상 림프절 비대와 함께 풍부한 혈류소견을 보인다. 저자들은 임상소견과 임상검사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AILD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uthors describ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in 2 patients with angioimmunoblastic lymphadenopathy with dysproteinemia(AILD). Symptoms of systemic disease include fever, sweats, weight loss, generalized lymphadenopathy, hepato-splenomegaly, maculopapular rash, pruritis', and frequent hemolytic anemia with positive Coombs' test. Dysproteinemia menifested by polyclonal hypergammaglobulinemia. There is exuberant blood flow in enlarged cervical lymph nodes on doppler sonogram. Lymph node biopsy is necessary in order to distinguish AILD from lymphoma.

      • 정상성인의 신경전도속도에 관한연구

        최경찬,하정상,변영주,박충서,양창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6 No.1

        건강한 성인 8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한 신경전도속도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지의 정중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3.0-4.2msec이고, MNCV는 각각 52.1-70.3m/sec(W-E), 44.6-71.0m/sec(E-Ax), 56.6-70.8m/sec(W-E), 50.5-75.1 m/sec(E-Ax)이며, CNAP의 진폭은 6.5-46.1㎶였다. 2) 척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2.4-3.4msec이고, MNCV는 각각 54.6-72.8 m/sec(W-E), 41.1-64.9 m/sec(E-Ax)이며, 진폭은 3.1-12.0㎷였다. 척골신경의 SNCV는 각각 31.3-44.7 m/sec(F-W), 55.9-70.9 m/sec(W-E), 46.9-67.1 m/sec(E-Ax)이며, CNAP의 진폭은 4.8-42.9㎷범위였다. 3) 요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1.0-2.7msec이고, MNCV는 53.1-77.5 m/sec(W-E)이며, CMAP의 진폭은 1.1-6.6㎷범위였다. 요골신경의 SNCV는 각각 38.5-52.1 m/sec(F-W), 53.2-75.2 m/sec(W-E)이며, CNAP의 진폭은 2.5-9.2㎷범위였다. 4) 하지의 비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3.5-5.7msec이며, MNCV는 각각 44.4-58.6 m/sec(A-FH), 42.8-65.8 m/sec(FH-PF)이며, CMAP의 진폭은 0.6-12.7㎷범위였다. 5) 후경골신경에서는 TL이 4.0-6.2msec이며, MNCV는 40.6-60.6 m/sec이며, CMAP의 진폭은 3.9-29.2mV범위였다.6)비골신경의 SNCV는 37.5-49.5m/sec이며, CNAP의 진폭은 0.7-17㎶범위였다. 7) H-반사의 평균 잠복기는 28.4msec였다.

      • 담즙산에 의한 위 점막 손상

        조현홍,서정일,이경희,김태년,정문관,이현우,최원희,양창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2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9 No.2

        십이지장으로 분비되고 위내로 역류될 수 있는 bile acid가 위점막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 200-250gm전후의 Sprague-Dawley흰쥐를 사용하여 pH3인 염산과 TCDA 15mM혼합용액을 위장내에 주입하고 같은 산도의 염산을 위장내로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TCDA에 의한 위점막 손상은 TCDA 투여후 75분이 지난 후 제일 저명하게 나타났고 15 분, 30분, 120분 및 150분에는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TDCA 투여후 75분에 나타나는 소견으로는 점막과 점막하조직의 울혈, 혈관 확장, 임파선 확장, 부종 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 확장 및 부종은 점차 소실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CDA가 급성 위점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만성적 위점막 손상에 대해서는 여러 조건하에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le acid on gastric mucosa, we performed biologic test using Sprague-Dawley rat. Mixture solution of TDCA 15mM and HCl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one group and HCl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another group. The significant gastric mucosal change was vasodilatation and edema, that was disappeared progress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bile acid can damage gastric muc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