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 keV $Ar^+$이온빔으로 개질된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위의 구리 박막 증착
조준식,윤기현,고석근,Cho, Jun-Sik,Yoon, Ki-hyun,Koh, Seok-Keun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1
A surface of polytetrafluoroethylene(PTFE) was modified with changing ion doses by 1 keV $Ar^+$ ion irradiation and Cu films having thickness $5000\;{\AA}$ were deposited on the modified PTFE. The SEM study showed that the surface texture of modified PTFE was in the form of cones whose height increased depending on ion doses. Through XPS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of F ls peaks decreased with ion doses by preferential sputtering of F atoms and the C-C and / or C-F chains were formed by the crosslinking in the newly unstable chains. Cu films were deposited uniformly along the filaments formed on the modified PTFE. In x-ray diffraction (XRD) spectra of deposited Cu films on modified PTFE, a preferred orientation along (111) and (200) planes was found and the peak intensity of (111) plane increased as surface roughness of modified PTFE increased. The resistivity of Cu films was changed from $2.7{\mu}{\Omega}cm$ of unmodified PTFE to $4.3{\mu}{\Omega}cm$ of modified PTFE at ion dose of $1{\times}10^{16}/\textrm{cm}^2$ and the abrupt increase of resistivity in the modified PTFE at ion dose of $1{\times}10^{17}/\textrm{cm}^2$ was due to being cut off the film which resulted from the increased surface rough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and Leisure Travel Based on Social Media Data
조준식,곽주현,구동균,이승재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7 No.-
본 연구는 위치 기반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가통행 중 개별행태와 교통수단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여가통행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다양한 여가유형에 따른 통행패턴이 복잡하게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self-survey method를 활용한 전통적인 가구통행실태조사 방법으로 정확한 비일상통행 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에 이르렀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social media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social media에 자신의 여가통행 기록에 대한 다양한 게시물을 업로드한다. Social media 게시물은 게시일자와 위치정보 같은 정형 데이터와 컨텐츠와 이미지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웹크롤링 기법을 사용하여 social media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서울의 녹색교통진흥지역을 대상으로 연도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개인별 여가 유형 및 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게시물의 컨텐츠에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해당 텍스트를 토픽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를 적용하여 여가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개별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가 유형별로 게시물의 위치정보와 다양한 교통수단의 이용량을 비교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운동, 관광, 휴양, 사교의 네 가지 대표 여가 유형이 각각 북부, 중부, 남부, 동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관광형 여가활동에는 공유자전거 이용과 대중교통 이용이 수반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운동형 여가활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공유자전거와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활동유형과 교통수단 선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통행 목적 파악 시 교통수단과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태양풍 동압력 증가에 의한 밤 지역 극관의 위도 상 위치 변화
조준식,이대영,김경찬 한국우주과학회 2010 한국우주과학회보 Vol.19 No.1
태양풍 동압력은 지구 자기장에 부딪히면서 많은 영향을 준다. 여기서 우리는 태양풍 동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밤 지역 극관의 위도 상 위치 변화에 대해 관심이 있다. 동압력 증가 이전과 이후의극관의위치를결정하기위해 DMSP(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위성이 관측한 하강 입자 자료를 사용하였고 이로부터 산출된 b5e parameter 값을 통해 극관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특히 IMF의 각 성분 별 방향과 크기에 대한 조건이 극관의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동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극관의 위치가 고위도로 올라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극관의 크기가 수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MF Bz가 북쪽 방향(northward IMF Bz)인 경우와 남쪽 방향(southward IMF Bz)인 경우에 따라 극관이 이동하는 정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통계적으로 볼 때 극관의 위도상 위치가 상당히 분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가능한 극관의 위도 분포가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분산 현상은 극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준식 대한위암학회 2002 대한위암학회지 Vol.2 No.4
위암의 진단에서 CT스캔은 수술 전 병기결정이나 수술 후 추적검사에서 필수적인 검사방법으로 인정을 받고 있고,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유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선식 CT를 사용하고 여러 가지 스캔방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인접장기로의 직접침윤, 작은 크기의 간전이의 발견, 정상 크기범위의 림프절에서 전이의 발견, 양성 림프절과 전이의 감별, 복막전이에 대한 평가에서 지금까지의 보고들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CT의 한계점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나선식 CT보다 더 빠른 시간내 더 얇은 두께의 절편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관상면 및 시상면으로 정밀하게 재구성하거나 3D영상을 얻을 수 있는 다검출식 나선식 CT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CT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조준식,신경숙,강대영,Jo, Jun-Sik,Sin, Gyeong-Suk,Gang, Dae-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5
Inflammatory pseudotumors are tumor-like benign lesions of uncertain pathogenesis and have most commonly been reported in the lungs. In the pancreas they are rare. We describe a case of inflammatory pseudotumor of the pancreas which was seen to be isoattenuating at non-contrast CT, and as a well-defined nodule with homogeneous enhancement in the pancreatic tail at contrast-enhanced CT. After a preoperative diagnosis of islet cell tumor, partial pancreatectomy of the pancreatic tail, with splenectomy, was performed. The gross specimen was a yellowish-white, solid mass and the lesion was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as inflammatory pseudotumor with an extensive area of sparse cellular fibrosis and collagen de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