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 Sung Choi,정성훈,김은선,Eun Sun Kim,Eunhee Lee,Euiseok Jung,So-Yeon Lee,이우령,Hye Sun Yoon,Yong Joo Kim,Ji Kyoung Park,Son Moon Shin,Ellen Ai-Rhan Kim 대한신생아학회 2022 Neonatal medicine Vol.29 No.1

        Purpose: Pediatricians have a significant responsibility to educate mothers about the importance of breastfeeding. However, there have been minimal efforts in the courses of resident train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 in knowledge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a 4-week breastfeeding educational intervention among multicenter residents. Methods: Prospective interventional educational research was designed for residents at eight training hospitals in Korea. Institutional reviews were obtained in each hospital. The education curriculum consisted of 14 courses regarding breastfeeding theory and practice. These materials were used to teach pediatric residents for 4 weeks. Knowledge-base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course, and re-test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course using different test items of similar levels. Test scores and survey respons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 total of 73 residents (1st year 20, 2nd year 23, 3rd year 16, and 4th year residents 14) from eight training hospitals completed the intervention. Their average age was 30.3±2.9 years, 17 (23.3%) were male, 22 (30.1%) were married, and eight had more than one child of their own. The mean pre-test score was 61.8±13.4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78.3±7.5 (P<0.001). The inter-grade difference in the score was significant in the pre-test (P=0.005), but not significant in the post-test (P=0.155). There were more responses of obtaining confidence after the intervention (P<0.001). Conclusion: In our study, pediatric resi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after 4 weeks of the breastfeeding curriculum. This will provide a basis for future policymaking in the training of pediatric residents regarding breastfeedReceived: 6 January 2022 Revised: 15 February 2022 Accepted: 15 February 2022 Correspondence to: Ellen Ai-Rhan Kim, MD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390 Fax: +82-2-3010-6978 E-mail: arkim@amc.seoul.kr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Sung Choi, MD,PhD1, Sung-Hoon Chung, MD, PhD2, Eun Sun Kim, MD, PhD3, Eun Hee Lee, MD4, Euiseok Jung, MD5, So Yeon Lee, MD, PhD5, Wooryoung Lee, MD6, Hye Sun Yoon, MD, PhD7, Yong Joo Kim, MD, PhD8, Ji Kyoung Park, MD, PhD9, Son Moon Shin, MD, PhD9, and Ellen Ai-Rhan Kim, MD, PhD5 1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2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Seoul, Korea 3Department of Pediatr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uncheon, Korea 4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 5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6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7Department of Pediatrics, Nowon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ersity, Seoul, Korea 8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9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pISSN 2287-9412 . eISSN 2287-9803 Copyright(c) 2022 By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29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ing in Korea.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판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II) : Comparison of Safety 안전성 비교

        안용민,권용실,권준수,민성호,박두병,양문정,소형석,송종호,신윤식,우행원,유범희,이홍석,정한용,한창환,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직접 교체 방법’또는 ’시작-감량 교체 방법’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정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지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 ’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 ’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의 올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량은 5∼20㎎ 범위로 제한하였다. 한정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복, 실험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 ’직접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 ’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 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l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 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ng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 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용민,김용식,정희연,신지용,윤세창,배안,이중서,주은정,이창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저자들은 태생기 동안에 받는 유전외적 요인, 즉 환경적 요인이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발병에 크게 관여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형제 중 1인 이상이 발병하여 가족력을 분명히 알 수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형제 환자군)과 가족력이 없는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산발성 환자군) 및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산과적 합병증, 신체미세기형 및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형제 환자군 43명(남 22명, 여 21명), 산발성 환자군 43명(남 23명, 여 20명), 정상대조군 43명(남 20명, 여 23명)이었다. 산과적 합병증은 Lewis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신체미세기형은 Waldrop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임상 양상으로서 발병 연령, 병전 기능 수준, 정신병리, 약물에 대한 반응,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정상대조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 전체를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의 총점과 각 소항목의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산발성 환자군과 형제 환자군을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생 당시에 태아가 받은 스트레스 항목의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에서는 전체 점수 및 입의 미세기형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의 전체 점수가 4점 이상인 환자수도 산발성 환자군에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 사이의 상호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 중에서는 Krawiecka 척도의 총점 및 양성 증상 점수와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만이 형제 환자군에 비해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형제 환자군에서 남자 환자의 산과적 합병증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 연구가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임이 시사되었지만,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분명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다. The authors hypothesized that sporadic schizophrenic patients had more chances of receiving environmental insults during the fetal neural development compared with familial schizophrenics. We tested our hypothesis by comparing obstetric complications(OCs), minor physical anomalies(MPAs) and other clinical features, an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OCs and MPAs in schizophrenic patients who had one or more sibling with schizophrenia(sibling group) and sporadic schizophrenics(sporadic group) and normal controls. OCs were evaluated by the scale of Lewis, and MPAs were measured by the Waldrop sc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s and MPAs between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s. Sporad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etal distress, total Waldrop score and Waldrop score for mouth than sibling group.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subjects having the Waldrop score over 4 points was greater in the sporadic group.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Cs and MPAs. The scores of initial psychopathology and post-treatment functioning were much higher in the sporadic group, but the other clinical feature showed no difference. Although male patients had more OCs than female patients in sibling group, no sex difference were observed as a whole. Our results suggest that, if the methodological weakness were complemented, OCs and MPAs would be useful tools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지난 4년간 학회지 "신경정신의학" 심사 평가보고

        오병훈,권준수,남궁기,김승현,지익성,김창윤,하규섭,박원명,김성곤,오강섭,김정범,이수정,정한용,이창욱,박용천,이영문,김세주,이병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5

        Four Years Reports o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during 2001 to 2005 were evaluated by 18 Editorial Board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We investigated the articles to specific fields and rejection rate etc. by different section chiefs. Although several problems concerning review time duration and rejection guideline issues indicated but generally all reviewer processes proved relatively clear and concise criteria. Through these object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Process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will develop a good journal.

      • KCI등재
      • 충북 남부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 및 애로기술 실태조사 연구

        윤상원,구경완,정성진,백기영,김선훈,서용성,이근복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1 반도체장비학술심포지움 Vol.2001 No.-

        본 연구에서는 충북 남부 3개군 지역(옥천 · 보은 · 영동)의 중소 제조기업의 경영실태 및 애로기술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되었다.·지역의 특정상황의 전제하에 지방 중소기업들의 실질적인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함은 물론 산 · 학 · 연 컨소시엄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시도되었다.세부적으로는 중소 제조기업의 경영 및 애로기술 특성을 일반적 사항, 경영애로요인, 경영전략, 현장개선기법, 정보화, 제품 및 공정 기술상의 애로기술 현황파악의 6개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들은 추후 산 · 학 · 연 공동기술개발 사업에 있어 창의적, 틈새적 과제발굴 및 신제품 기술개발의 토대마련이 될 뿐 아니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산 · 학 관의 지원 전략 수립에 적극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 3-Cyano 및 3-Carbomethoxy Chromone과 Allenylstannane과의 반응

        鄭大一,宋有淨,崔舜圭,李龍均,安賢淑,윤구식 東亞大學校附設基礎科學硏究所 1998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5 No.2

        t-Butyldimethylsilyl triflate 존재에서 3-Cyano 및 3-Carbomethoxy Chromone(1a,b)과 Allenylstannane(2) 과의 반응에서 Chromone의 C-2위치에 propargyl기가 도입된 유도체(3a,b)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유도체의 상대적 구조는 ¹H-NM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T.S구조의 모델을 통하여 가능한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Reaction of 3-Cyano and 3-Carbomethoxy Chromone(1a,b) with Allenylstannane(2) in the presence of tert-butyldimethylsilyl triflate afforded the corresponding the propargylation product(3a,b) in the moderate yield. The relative stereochemistry of 3a,b are obtained on the basis of ¹H-NMR analysis. And the possible reaction mechanism are suggested by the molecular models in the transition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