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연성 운동장애 환자에서 뇌 척수액 丫-Aminobutyric Acid 농도에 관한 연구

        권준수,김재진,우종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0 신경정신의학 Vol.29 No.6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role of 丫-aminobutyric acid(GABA) in the pathophysiology of tardive dyskinesia. GABA concentrations in CSF were m easured in 14 schizophrenic patients without tardive dyskinesia, 15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and 18 neurologic patients without psychotic symptoms. In addition, GABA concentrations in CSF and clinical improvement of tardive dyskinesia w ere checked for dyskinetic schizophrenics after 8 weeks of treatm ent with sodium valproate, the GABAergic drug. Results were as follows: 1 ) A significant reduction in CSF GABA levels was observed in dyskinetic schizophrenics compared with the neurologic patients. 2) CSF GABA levels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out tardive dyskines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net from those in neurologic patients, although the data suggested a decrease in CSF GABA levels in schizophrenic patients. 3) A significant decrease in dyskinetic symptoms occurr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sodium valproate, associated with increase in CSF levels of GAB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aken as a strong suggestion that GABA system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tardive dyskinesi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인 기억 장애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권준수,김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4

        Recognition memory and the dissociation of immediate and delayed recogni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and a continuous word recognition task. Fourt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14 age and gender matched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Among 240 stimulus words, 40 words were not repeated, 100 were repeated immediately and 100 were repeated after 5 intervening words. Both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s responded faster to words repeated immediately than to words repeated after a delay and to first-presented words. However, schizophrenic patients responded less accurately to words immediately and to words repeated after a delay than the controls. In terms of ERP,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200, LPC and N400 amplitudes, and a more frontally distributed N200 topography than the controls. For controls, immediate repetition was associated with a large LPC amplitude and the absence of N400, while delayed repetition was associated with a small LPC amplitude and the presence of N400. However, this association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repetition was not observed in schizophrenic patients. All o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recognition memory impairment, the cause of which may range from early encoding, and memory search to late retrieval.

      • KCI등재

        강박장애의 임상양상 - 입원환자의 연구 -

        권준수,이동우,윤대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서울대학교 신경정신과에 강박장애로 입원한 환자중 DSM-Ⅲ-R의 강박장애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26명 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강박장애의 현상적 특징, 임상경과, 가족력, 동반질환, 지능검 사 등에 대하여 기술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강박사고는 병적의심,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 대칭과 정확성에 대한 요구, 신체적 강박사고, 성적인 강 박사고, 종교적 내용 및 난폭한 행동에 대한 강박사고의 순서로 많았으며, 2가지 이상의 강박사고를 가진 경 우가 23%였다. 2) 강박행동에는 확인, 씻음, 질문, 대칭과 정확성에 대한 요구, 셈 등의 순서로 많았으며, 2가지 이상의 강 박행동을 가진 경우가 39%였다. 3) 동반된 진단은 우울증, 튜렛증후군, 틱장애, 유뇨증 등이었으며, 동반된 인격장애는 강박성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피동공격형 인격특질 등이었다. 4) 임상경과로는 순수강박장애보다 다른 동반된 질환을 가진 강박장애군에서 더 나쁜 예후를 보였다. 5) KWIS로 측정된 평균지능지수는 언어성 지수가 동작성 지수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 Hospital from 1980 to 1995, using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26 patients(male 22, female 4) who were compatible with the criteria of OCD by DSM-Ⅲ-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obsessive thinking was pathologic doubt, followed by contamination, need for symmetry, somatic and sexual obsession, religious and aggressive obsession in descending order. Twenty three percent of patients had multiple obsessions. 2) The most common compulsive ritual was checking, followed by washing, need to ask and confess, symmetry and precision, counting in descending order. Thrity nine percents of patients had multiple rituals. 3) Depression, schizophrenia, Tourette’s syndrome and tic disorder were the coexisting disorder with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Cormorbid personality disorders in OCD were obsessive personality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 4) The course in OCD with co-existing disorder was worse than that in pure OCD. 5) The verbal IQ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Q checked by KWIS i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성인 기억력 평가를 위한 전산화 도구의 개발과 표준화

        권준수,류인균,홍경수,연병길,하규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전산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며, 표준화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 법 : 숫자 따라하기검사, 시각 단기기억력검사, 한글언어청각학습검사, 시각도형학습검사를 전산화하였으며, 27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48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검사 성적을 기존의 인지기능 검사 성적과 비교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들의 내적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20세부터 50세까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한국 남녀 성인 150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자료를 얻었다. 결 과 : 전산화 기억력 검사들의 검사-재검사 성적은 paired t-test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Pearson 상관계수 0.405∼0.873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숫자 따라하기검사, 시각 단기기억력검사, 언어청각학습검사는 기존의 지필 혹은 전산화 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각도형학습검사는 유용한 검사이나, 향후 방법론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산화 기억력 검사 성적은 학력이 높을수록 우수하였으며, 성별과 연령도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전산화 기억력 검사의 표준화 자료와 해석기준을 제시하였다. 결 론 : 20세부터 50세까지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한국 성인 남녀에서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전산화 언어 및 시각 기억력 검사도구가 개발되었으며, 표준화 자료와 해석기준이 마련되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computerized memory tests for Korea adults. It also aimed at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tests and providing their normative data. Methods : Computerized versions of digit span, visual span, auditory applications and correction. The test-retest reliabilities of each test was evaluated by the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data from 27 normal persons. The validity of each test was evaluated by the Pearsons'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omputerized test scores and the pre-existing cognitive function tests using the data from 48 normal persons. The normativ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50 Korean adults, age 20 to 50, whose educational levels were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test and retest scores. High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 tests and the retest scores(r ranged from 0.405 to 0.873). The computerized digit span, visual span, and auditory verval learning tests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e-existing memory measures. The computerized memory test scor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level. The visual learning test seems useful, however, it requires methodological refinement. The normative data and guidelines for interpretation were provided. Conclusions : Clinically applicable computerized memory assessment tools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developed. The normative data for the Korean adults aged 20 to 50 were obtained and the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were provided.

      • 치료 저항성 환청을 호소하는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과 전기충격요법(Modified ECT)의 연속적인 치료 경험 1례

        권준수,전홍진,윤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정신분열병에서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지속되는 환청은 환자에게 매우 불쾌한 감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청의 내용에 따라 위험한 경우도 있다. 환청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 결과로 환청이 정상 청각경로의 비정상적인 활성으로 발생하며, 환청이 들리는 동안에 좌측 상부 측두엽 등이 활성화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치료 저항성 환청을 가진 35세 기혼 여자 환자에 대해서, 좌측 상부 측두엽을 국재화한 후 뇌의 국소적 자극이 가능한 Magstim 200장비와 Double cone shaped coil을 이용하여 1HZ slow wave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을 가하였다. 항정신병 약물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고 100pulse의 총 14회의 자극을 통해 환청의 주관적인 크기의 30% 감소와 정동의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종료 2주 뒤에 추가적으로 시행된 9회의 전기충격요법(ECT)결과 환청이 빠른 속도로 완전히 소실되었다. 치료저항성 환자의 환청에 대한 치료효과는 rTMS보다 ECT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may provoke the uncomfortable feeling and be dangerous according to its contents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c patients. Previous functional brain imaging studies on suditory hallucinations reported that the abnormal activations of the normal auditory pathway and the activations of the left upper temporal lobe were found while patients were hallucinationg voices. Base on the these findings, we treated a female schizophrenic patient with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that were treatment-refractory with rTMS and the ECT continuously while she was on the drug treatment. The total amount of pulses applied in each trial ranged from 240 to 1000pulses. Fourteen trials were done and resulted in decrease by 30% in the subject severity of auditory hallucinat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affect. Two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rTMS trials, nine trials of ECT were administered which leaded to complete disappearance of auditory hallucinations. This result suggest that ECT is more effective than rTMS in treating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c patients.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