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MOOC 강좌의 ‘효율성’과 ‘이수율’ 제고를 위한 제언: ‘대학 교양수업(한자어)’과의 연동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6 No.-
This article is written focusing on the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in which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participating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eneral status of Korea's K-MOOC, and the K-MOOC operation case developed by me. Therefore, as it is constructed by personal examples, it is not a generalizable theory or theory. K-MOOC started later than MOOCs in other countries, but it is achieving brilliant results as the government agencies of the country take the lead. In this process, I considered what direction and role K-MOOC should aim for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Korea. Therefore First, the direction of the K-MOOC course developers, second, how to design weekly learning goals and units when developing actual courses, third,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ourth, quantitatively improve K-MOOC's completion rate. 이 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세계 대학들이 개발⋅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우리나라 K-MOOC에 관한 개괄적인 현황, 그리고 필자가 개발한 K-MOOC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개인적사례에 의해 구성된 것이니만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이론이나 정설은 아니다. K-MOOC는 해외 MOOC보다 후발 주자이나,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라는 국가 기관이주도⋅운영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자는 K-MOOC 가 우리나라 고등교육(대학⋅대학원) 현장에서 어떤 방향성과 역할을 지향해야 하는가를 고민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째, K-MOOC 강좌를 개발하는 주체 - 교수자, 대학등의 기관 - 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 둘째, 실제 강좌를 개발할 때 주별(週別) 학습목표와 유닛(차시)을 설계하는 방법, 셋째, K-MOOC가 온라인(비대면) 수업임을 감안,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전략, 넷째, K-MOOC를 효율성과 이수율제고를 위한 방안, 끝으로 K-MOOC가 이제는 양적 확산에서 질적 향상으로 변모할수 있는 도전적 제언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김용재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이 글은 우리나라 전통사상의 한 축으로 엄연히 자리잡고 있는 ‘儒敎’에 대하여 교육적 측면을 주요 테제로 자성과 성찰의 차원에서 작성된 글이다. 특히 儒敎敎育은 ‘인성(도덕)교육’과 ‘예절교육’ 및 ‘경전(한자한문)교육’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거의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의 유교교육은 단순히 지식 전달[主知主義式]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마음[心]으로 느끼며 깨닫는[覺] 과정의 연속을 교육의 목표이자 성과로 삼는 것임을 감안할 때, 지금의 서구교육이 만연된 현대사회에서 또다른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즉 전통 유교에서의 교육 목적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復性의 중요성을 의미하며, 그 회복과정이 공부의 방법이고 학습이었다. 즉 성인군자와 같은 최고의 이상적인 인간으로의 회복이 교육의 전부였다. 전통 유교에서 지향하는 ‘聖人君子’는 곧 자신의 내부로 향한 끊임없는 성찰과 반성을 수렴하여 자신의 외연을 넓힘으로써, 하늘[天:自然]과 동일시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음에서 우리는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항상 변함없는 준칙으로서의 自然律을 성인(聖人)에 상응시키고, 그 변함없는 常道를 따라가기 위한 道德律을 인간에게 부여함으로써 ‘자연률’과 ‘도덕률’이 합치되는 ‘天人合一’ 경지를 찾으려는 것이 유교교육의 종착점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성인 공자로부터 비롯된 유교 교육의 본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우리 시대에 전통문화 및 유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함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통문화 및 유교 교육의 구체적인 현황을 제도권內 초중등학교의 정규과정과, 제도권外의 평생교육기관 및 단체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향해야할 전통 유교교육의 활성화 방향에 대해서 인성 도덕교육, 예절교육, 경전(한자한문)교육이라는 세 가지측면을 중심으로 접근해보았다. In the West, ‘Education’ aims at activities for acquiring various types of knowledge through reasonable thinking.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modern capitalism, education enhances the educated persons’ labor value and provides them with conditions for better life in the course of entering into a new world. In this sense, educators play the roles of only delive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reasonable thinking and assisting students with their potential for growth as much as possible. Then what meanings does our traditional education have? ‘Traditional education’ is limited to Confucian education that has made its accomplishments through Confucian customs over thousands of years. In education pursued by Confucianism, the expansion of reasonable knowledge is also important but there are preconditions for that. It is ‘realization’ obtained from the students’ own experiences and feelings in the course of life maintaining relations with others. It is not deniable that humans are social beings by nature. The Western term ‘person’ implies extreme individuality. When ‘person’ is translated into a Chinese term, it is expressed as ‘Ingan (人間)’ in the region of Confucian culture like us. ‘Gan (間)’ contains the meaning that attaches a high value to relations with others than to individuality. Accordingly, ‘study,’ ‘learning’ or ‘education’ is a series of processes executed in the relation between ‘I’ and ‘others.’ Etymologically, ‘study (Gongbu:工夫)’ was originally ‘Gongbu (功扶),’ which means all kinds of acts applicable and helpful to the process of achieving ‘merits.’ That is, the objective of education in traditional Confucianism is the restoration of human nature, and the process of restoration is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it was all of education to restore the supreme ideal humanity like a saint. ‘The saint and man of virtue’ pursued by traditional Confucianism was a person who identifies himself with Heaven [Nature]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 on his inner world and extension of his outer world, and this is the ground of Confucian education. The ultimate destination of Confucian education is the state of oneness between Heaven and the self, in which ‘natural rules’ conform to ‘moral rules,’ by attributing natural rules as unchanging norms to saints and endowing humans with moral rules as their everyday precepts to follow.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nature of Confucian education originating from Saint Confucius and discusses today’s necess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Confucianism. Furthermore, we survey and analyze current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Confucianism in institutional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s as well as in non‐institutional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organizations, and based on the results, approach how to activate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in the future from three aspects, which are moral character education, etiquette education, and scripture (Chinese literature and character) education.
김용재,이필우,김은변 한국목재공학회 1976 목재공학 Vol.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adaptability of barley flour, potato flour and white ash as extender and filler of urea-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as a substitute material of wheat flour. The extenders and filler used at this study were extended by several groups of percentages. Shear strength, moisture contents, and specific gravities were compared among tested group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 Wet and dry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10% barley flour, 30% potato flour, and wheat flours were shown better results than non extended plywood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ywoods extended until 50% barley flours and non extended plywoods. 3)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50% potato and 100% barley flours were shown worse result than non extended. 4) Dry and wet shear strength of plywoods extended by white ash were shown worst result. 5) The plywoods extended by potato flours were shown nat only better shear strength, but also considered more profitable cost for extending.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5] — 「公冶長」을 중심으로 —
김용재 한국한문고전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to offer a new method and viewpoint of the study on the Confucian classics.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till now the stud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in South Korea have obtained many good results mainly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adminstration, or at least in the domain of philosophy. However, the research activities for analytical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one of the fields of the study on Confucian classics, have been not so energetic. So I became interested in the undeveloped field of study on Confucian classics and that’s why I choose the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the subject of my study. Zhuxi’s Sishujizhu(Collected Annotations on the Four Books) has been one of the most researched areas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This is because Zhuxi’s commentary has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Confucian history of Korea. We should notice that, however, it remains unanswered whether Zhuxi’s commentary on the Four Books (including Analects) is entirely correct. Even ‘the Four Books’, which appeared after Song dynasty, is a vague concept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text of the Analects examining not only Zhuxi’s commentary but Old commentary before Zhuxi’s and the relatively new commentary in Ching dynasty (1616-1912). In understanding the Analects, only few attempts have so far been made at research of these ‘other’ commentaries excepting Zhuxi’s one. In particular, I illustrate the distinction of these ‘other’ commentaries and Zhuxi’s one, as well as the exact meaning and real intention of the text of the first volume in Analects. 이 글은 필자가 『論語』 經文에 관한 해석의 다양성과 객관성을 찾아본다는 취지하에 연구하기 시작한 것으로서, 그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논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論語』 해석에 있어서 ‘정확성’을 찾아내기보다는 ‘다양성’의 지평을 열어보고자 함에 궁극적인 목표가 설정되어 있음을 次第에 미리 밝힌다. 이유는 주지하시다시피, 우리나라의 경전 해석이 대체로 朱熹의 『集注』를 매우 충실히 계승하는 것으로 일관하여 왔기 때문이다. 『集注』는 실로 대단한 권위와 정본으로 여겨졌으며, 朝鮮의 儒者들에게 있어 사상적 입론의 근거를 내세우는 第一 원칙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여 요즘 중국과 일본의 경학 연구자들은 경전 해석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들은 음운학이나 역사학⋅어법학 등, 經書와 연관된 주변 학문과의 학제間 연구의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경전 해석에 관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이며 개방적인 연구 방향을 새롭게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대외적 학문 연구 분위기에 편승하여 경전 해석의 다양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취지도 있겠으나, 필자는 무엇보다도 訓詁와 義理 그리고 考證에 입각하여 『논어』 경문의 해석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각 篇別[시리즈]로 연구의 습작을 내놓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ⅰ)「公冶長」편의 체제와 구조적 특징, (ⅱ)諸註釋에 근거한 「公冶長」편 경문의 해석上에 있어 다양한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무역보험 활성화 전략에 대한 연구 : 무역보험을 악용한 사기 예방방안 중심으로
김용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2 No.4
70~80년대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수출대금의 결제방식, 대금결제 회수 및 동구권수출시 회수 불안 문제 등으로 수출을 아예 포기하거나 주저하였다. 그래서 정부(지식경제부)는 이와 같은 불 안을 해소시키고 신시장 개척 지원, 수출 지원 및 수출 진흥을 위하여 1992년 7월 한국무역보험공 사(전 한국수출보험공사)를 설립하여 정부기금으로 수출보험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중소 조선업체들이 수출보증보험을 부보하고 선적을 건조하여 수입자에게 수출을 하였어야 했는데 2~3년 전부터 조선경기가 불황기에 접어들자 보험금만 사취하고 선박을 건조하지 않고 폐업하거 나 도주하여 올해 4월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선수금 환급보증 무역(수출)보험금 약 9,000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 수사하고 있다고 한다. 즉,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허위 유가증권 작성, 허위 작성된 유가증권행사 등의 혐의라고 한다. 본 논문은 무역(수출)보험의 경우 2009년을 기준으로 과거 10년간 보험사기로 인해 총 57건 에 530억 원의 보험금을 편취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2011년 4월에 발생한 선수금 환급보증 무역(수출)보험금 약 9,000억 원을 제외한 횡령보험사기 유형과 발생건수, 편취금액을 살펴보고 무역보험 사기 예방방안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