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생아에서 채혈 시 음악제공이 통증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

        오혜린,양은주,이현주,박현경,김창렬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4

        Purpose: We studied this study to see the effect of hearing music on response to pain during needling. We hypothesized that music would reduce pain in newborns. Methods: Twenty term and near-term newborns were enrolled for the study. They were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from May 1, 2011 to September 30, 2011. We evaluated pain response to needling, such as arterial puncture or heel prick, by using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facial expression, crying, breathing patterns, arms, legs, state of arousal) and duration of crying through video recording. We started video recording when the newborns were stable with 0 score of NIPS, and continued for 3 minutes after needling. Each newborn took video-recordings in 2 separate periods. One was done with hearing music (Music group) and the other without music (Control group). Two observers reviewed the videotapes and gave final scores in agreement. T-test was done for comparisons of pain scale and duration of crying between music and control groups. Results: Mean age and hospital days at test of the subjects were 6±5 days of life (1-16 days of life) and 3±2 days, respectively. Twenty-one of 40 needlings (52.5%) for blood sample were from radial arterial puncture and 19 (47.5%) from heel prick. The music group had lower NIPS score than the controls (5.6±1.1 vs 6.5±0.7, P=0.006). Among the NIPS parameters, the music group had lower scores in crying and arm (crying, 1.6±0.5 vs 1.9±0.3, P=0.028; arm, 0.3±0.5 vs 0.7±0.5, P=0.01) parameters. The remaining parameters such as facial expression, leg, breathing patterns and state of arousal, and duration of cry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2 groups. Conclusion: c reduced pain response to needling in newborns. Music could be one of modalities to relieve pain during routine medical procedures in newborns. 목적: 신생아에서 채혈 중 통증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방법의 하나인 음악이 통증행동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의 신생아실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로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신생아 20명을 대상으로 신생아 1명당 2회의 다른 채혈시기에 한 번은 음악을 제공하고(음악군), 다른 한 번은 음악제공 없이(대조군) 채혈한 후 3분간 신생아에 대한 비디오 녹화를 통하여두 군 간에 통증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신생아 통증 정도는 신생아 영아 통증척도(neonatal infant pain scale,NIPS)를 이용하였고, 울음지속시간도 함께 측정하였다. 신생아 통증 척도는 신생아실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두 명이 녹화된 비디오테이프를 보며 점수를 측정하였고, 음악군과 대조군의 통증점수 비교는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신생아들의 평균나이는 6±5일(1-16일)이었고 채혈 시 평균 재원일수는 3±2일이었으며 평균 재태기간은 38±2주(35-41주)였다. 40회의 채혈 중 요골동맥천자는 21회(52.5%), 발뒤꿈치 채혈은 19회(47.5%)였다. NIPS점수는음악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며(5.6±1.1 vs 6.5±0.7, P<0.007) 이 중 울음과 팔 움직임에 의미 있는 차이를보였고(울음 1.6±0.5 vs 1.9±0.3, P<0.03; 팔 움직임 0.3±0.5 vs 0.7±0.5, P<0.02), 얼굴표정, 호흡양상, 다리움직임, 각성상태, 울음지속시간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신생아 채혈 중 음악이 신생아 통증척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음악이 신생아의 통증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중재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신생아 대상 임상시험

        이주영,김한석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1

        The survival rates of high-risk infants and premature infants have increased, and the morbidity rates among survivors have decreased with the recent developm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However, in the real neonatal care practice, many drugs, medical devices and treatment protocols have been used based on results of studies in adults or older children, despite their lack of proven safety and efficacy in neonates. In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lthough pediatric clinical trials have been activated by several efforts of the government or national union, clinical trials targeting newborn or premature infants remains a challenge. Recently, political movements and efforts to promote pediatric clinical trials have been started in Korea, increasing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conducted among children. However, neonatal clinical trials account for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se trials. Performing neonatal clinical trials has many obstacles in terms of not only ethical and technical issues, but also the specific metabol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onates. Nevertheless, neonatal clinical trials are definitely needed to assure that safe and optimal evidence-based-therapies are applied in this special population. 신생아 집중치료 분야는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고위험 신생아 및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생존한 신생아들의 질병 이환율 또한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신생아 진료의 현장에서는 많은 약제와 의료기기 및 치료 프로토콜 등이 그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채 성인이나 큰 소아 대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되어 사용되고 있다. 서구 선진국은 정부나 국가연합 차원의 장려와 노력으로 소아 대상 임상시험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신생아나 미숙아 대상 임상시험의 발전은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우리나라 역시 아주 최근에 들어서 소아 대상 임상시험의 필요성에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있으며 임상시험 수행 건수도 증가하고 있으나, 신생아 및 미숙아 대상 임상시험은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한다. 신생아는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윤리적이고 기술적인 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으며, 성인이나큰 소아와는 다른 여러 가지 대사적, 생리적 특징을 가지므로 실제 임상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장애물이 있지만, 신생아 및 미숙아 대상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및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밝혀진 근거를 바탕으로 신생아들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최상의의료를 실천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 지정이 제주 지역 신생아 사망률 및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김영돈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1

        Purpose: The regional center for neonatal intensive care (RCNIC) in the Jeju area has provided intensive care for high-risk infants since its installation about 2.5 years ago.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RCNIC on the survival rates of high-risk infants in the Jeju area. Methods: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outcomes between neonatal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the RCNIC in Jeju before and those admitted after its installation. Data were classified into either period 1 (2007-2009) or period 2 (2011-2013). Results: In Period 2, for infants with ≤24 weeks, 25-27 weeks, 28-31 weeks, 32-36 weeks, and ≥37 weeks, numbers of admitted patients increased by 800%, 8.3%, 81.8%, 203.2%, and 66.9%, respectively. For infants with birth weight <1 kg, 1.0-1.49 kg, 1.5-2.49 kg, and ≥2.5 kg, numbers of admitted patients increased by 162.5%, 68.4%, 236.2%, and 54.6%, respectively. For all the infants admitted at the RCNIC in Jeju, the mortality rates were 7.1% in period 1 and 1.6% in period 2. For infants with ≤24 weeks, 25-27 weeks, 28-31 weeks, 32-36 weeks, and ≥37 weeks, the mortality rates were 100%, 41.7%, 13.6%, 1.6%, and 3.8%, respectively, in period 1 and 25.0%, 7.7%, 2.5%, 0%, and 1.4%, respectively, in Period 2. For infants with birth weight <1 kg, 1.0-1.49 kg, 1.5-2.49 kg, and ≥2.5 kg, the mortality rates were 62.5%, 0%, 8.6%, and 2.84%, respectively, in period 1 and 14.3%, 0%, 0.5%, and 1.4%, respectively, in period 2. Conclusion: The installation of the RCNIC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neonatal survival rates in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Jeju area. 목적: 제주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은 2010년 1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주권역에 대한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로선정되었고, 2011년 3월에 개소하여 현재까지 제주 지역의 고위험 신생아 진료를 수행하여 왔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 시설 확충이 제주 지역의 신생아 생존율 향상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단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설립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월-2009년 12월(제1기), 그리고 2011년 1월-2013년 3월(제2기) 기간 동안, 제주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에 포함된 환아의 수는 제1기에 226명, 제2기에 466명으로 제1기에 비하여 106.2%의 증가율을 보였다. 평균재태연령 및 출생체중은 제1기에 36.0±4.1주, 2,680±901.4 g, 제2기에 35.6±3.8주, 3,511.7±856.6 g 였고, 원내출생아의 비율은 61.5% (139명) vs. 64.2% (299명), 남아의 비율은 58.0% (131명) vs. 57.3% (267명)로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태연령별 분포의 변화는 제1기에 ≤24주 0명, 25-27주 12명(5.3%), 28-31주 22명(9.7%),32-36주 62명(27.4%), ≥37주 130명(57.5%), 제2기에 각각 8명(1.7%), 13명(2.8%), 40명(8.6%), 188명(40.3%), 217명(46.6%)으로, 제1기에 비하여 각각 800%, 8.3%, 81.8%, 203.2%, 66.9%의 증가율을 보였다. 출생체중별 분포의변화는 제1기에 <1 kg 8명(3.5%), 1.0-1.49 kg 19명(8.4%), 1.5-2.49 kg 58명(25.7%), ≥2.5 kg 141명(62.4%), 제2기에는 21명(4.5%), 32명(6.9%), 195명(41.8%), 218명(46.8%)로, 제1기에 비하여 각각 162.5%, 68.4%, 236.2%, 54.6%의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사망률은 제1기에 14명(7.1%), 제2기에 7명(1.6%)이었고, 재태연령별 사망률의 변화는제1기에 ≤24주 해당없음, 25-27주 5명(41.7%), 28-31주 3명(13.6%), 32-36주 1명(1.6%), ≥37주 5명(3.8%)였고, 제2기에는 각각 2명(25.0%), 1명(7.7%), 1명(2.5%), 0명(0%), 3명(1.4%)으로, 제1기에 비하여 각각 80%, 66.7%, 100%,40%의 감소율을 보였다. 출생체중별 사망률의 변화는 제1기에 <1 kg 5명(62.5%), 1.0-1.49 kg 0명(0%), 1.5-2.49kg 5명 (8.6%), ≥2.5 kg 4명(2.84%), 제2기에 3명(14.3%), 0명(0%), 1명(0.5%), 3명(1.4%)으로, 제2기에 각각 40%,0%, 80%, 25%의 감소율을 보였다. 극소저출생체중아(<1.5 kg)의 생존율은 제1기에 77.8% (21/27), 제2기에 88.7%(47/53)이었고, 초극소저출생체중아(<1.0 kg)의 생존율은 제1기에 37.5% (3/8), 제2기에 81.0%(17/21)이었다. 출생체중 800 g 미만의 초미숙아의 생존율은 제1기에 0% (0/4), 제2기에 72.7% (8/11)이었다. 결론: 정부 지원에 의한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의 설립은 제주 지역 및 제주대학교병원에 입원한 신생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단기적으로 효과적이고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당뇨 임산부의 HbA1c 농도에 따른 신생아의 예후

        김동섭,윤세훈,이승현,유승택,이창우,오연균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2

        Purpose: Blood glucose control in diabetic mothers during pregnancy is very importantbecause it can affect fetal and neonatal outcomes.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clinical outcomes of infants of diabetic mothers in relation to the maternal HbA1c level. Methods: The subjects were diabetic mothers and their newborns who were admittedin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7 to June 2012. We retrospectively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73 neonates, out of the 128 born to diabetic mothersand investigated neonatal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fferences inmaternal HbA1c levels. 55 neonates was excluded because maternal HbA1c wasnot measured. Results: The mean time for testing the maternal HbA1c was 30±5.0 weeks, and themean level was 6.7±1.4%. The mean birth weight in neonates was 3,094±831.6 gand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7% HbA1c than in the group with ≤6.4% HbA1c(3,370±950.8 g vs. 2,855±661.97 g, P =0.0113). When assessing neonatal morbidity,the rates of hypoglycemia (56.0% vs. 28.6%, P =0.0381), large baby (36.0% vs. 4.8%,P =0.0015) and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28% vs. 0%, P =0.0055) were higherin the group with ≥7% HbA1c than in those with ≤6.4% HbA1c. Serum blood sugar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7% HbA1c than those with ≤6.4%HbA1c (26.5±10.5 vs. 35.9±8.3 mg/dL, P=0.0196). When considering the rate of largebabies (≥4,000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rth weights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If the maternal HbA1c level during pregnancy is above 7% with glucosecontrol failure, infants born to diabetic mothers are susceptible to hypoglycemia,large baby syndrome and CHD. 목적: 임신 중 당뇨는 임산부 뿐만 아니라 태아나 신생아에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 동안 적절한 당의 조절은 신생아 의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임신 동안 고혈당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임산부의 HbA1c검사와 출생 신생아의 예후와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7월부터 2012년 7월 까지 만 5년 동안 원광대학교 병원 산과에서 임신 중 당뇨로 진단된 산모와 출생하여 신생아실과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 산모에서 출생한 총128명의 환아 중 임신중기 이후 HbA1c가 검사된 73명을 대상으로 HbA1c의 측정 정도(≥7%군, 6.9-6.5%군, ≤6.4%군)에따른 산모와 신생아의 특성, 주산기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HbA1c가 측정된 시기는 평균 30±5.0주 이었고, 평균 농도는 6.7±1.4%이었다. 출생 신생아의 평균 출생체중은3,094±831.6 g 이었으며, ≥7%군에서 ≤6.4%군에 비해 높은 체중을 보였다(3,370±950.8 g vs. 2,855±661.97 g,P=0.0113). 신생아합병증은 ≥7%군에서 ≤6.4%군에 비해 저혈당(56.0% vs. 28.6%, P=0.0381), 거대아(36.0%vs 4.8%, P=0.0015), 선천성심장병(28% vs. 0%, P=0.0055)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저혈당의 정도는 ≥7%군에서 ≤6.4%군 보다 의의 있게 낮았으며(26.5±10.5 vs 35.9±8.3 mg/dL, P=0.0196), 거대아(≥4,000 g)로 분만된 신생아들에서 HbA1c군 간의 출생체중 비교는 의의가 없었다. 결론: 임산부에서 혈당 조절 실패로 HbA1c가 7% 이상을 보이면, 출생한 신생아에서 저혈당, 거대아, 선천성심장병의발생 가능성에 주의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Pyrosequencing 분석을 이용한 신생아 장내 미생물 군집 프로파일 분석: 예비연구

        김종걸,이성근,김영돈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2

        DNA pyrosequencing, one of the advanced methods for DNA sequencing, has beenemployed for phylogenetic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ies using the conserved16S rRNA gene. We performed a pilot study on a mother-neonate pair utilizing theDNA pyrosequencing assays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in maternal amniotic fluid (AF), vagina, and rectum and newborn gastric fluid (GF)and stool. Phylum level analysis revealed that bacterial community was dominatedby Firmicutes (63.2%) in maternal feces, and Actinobacteria (84.9%) in maternalvaginal swab.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both the AF and GF were dominatedby Proteobacteria (67.8%). Interestingly,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newborn’smeconium was quite similar to that in the AF.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bacterialcommunity in newborn’s feces was different on day 14 and dominated by Firmicutes(91.1%). Genus-level analysis revealed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in maternalfeces was dominated by Anaerococcus (19.5%) and Prevotella (18.7%), whereas thatin the maternal vaginal swab was dominated by Atopobium (83.6%). The bacterialcommunities in both the AF and GF were dominated by Sphingomonas (38.5%).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newborn’s meconium was quite similar to that inthe AF, which was dominated by Sphingomonas (45.2%). However, the compositionof bacterial community in the newborn’s feces on day 14 was relatively different. Future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infant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factorsinvolved in the changing profile of newborn’s fecal bacterial communities. DNA 서열 결정을 위한 진보된 방법 가운데 하나인 DNA pyrosequencing은,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세균 군집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에 이용되는 기법이다. 이러한 DNA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저자들은 한 쌍의 산모-신생아 쌍을 대상으로 산모의 양수, 질, 직장, 그리고 신생아의 위액 및 대변에서 각각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문(phylum) 수준에서의 분석 결과, 산모의 대변에서는 Firmicutes (63.2%)가, 질에서는 Actinobacteria (84.9%)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산모의 양수와 그 신생아의 위액에서는 Proteobacteria (67.8%)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신생아 태변 내 세균 군집의 양상이 양수의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생후 2주된 신생아의 대변 내의 양상은 사뭇 달라서 Firmicutes (91.1%)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속 (genus) 수준의 분석에서는 산모의 대변 내 세균 군집은Anaerococcus (19.5%) and Prevotella (18.7%)가 주를 이루었으나, 질에서는 Atopobium (83.6%)가 주를 이루었다. 산모의 양수와 신생아의 위액에서는 Sphingomonas (38.5%)가 주를 이루었다. 신생아 태변 내 세균 군집의 양상은 양수의것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그러나 생후 2주된 신생아의 대변에서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신생아의 대변 내 세균군집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많은 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제 1회“이른둥이 희망찾기”캠페인의 의의

        김창렬,배종우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launched the 1st Korean Prematurity Day, so called “Prematurity, Hope” campaign on November 11, 2012, just before the World Prematurity Day of November 17 which was launched in 2011. There were about 330 attendees including about 100 previous premature infants and their families,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nd government officers,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of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and other medical societies, reporters and journalists. The campaign was the biggest event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to the public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in 1993. While Korean birth rate has been dropping these days, preterm birth rate keeps increasing. However, our socioeconomic support for health of premature infants is insufficient. A purpose of the campaign was that top priority to solve low-birthrate has to be the health of premature infant in Korea. The campaign has been accomplished successfully. We hope that it would have a better effect on preterm infants’ families, communities, health policy of government and medical environment for preterm infant care. We describe the background, purpose, preparation, progress, outcomes and future plans of the “Prematurity, Hope” Campaign. 2012년 11월11일, 대한신생아학회가 주관한 제1회 "이른둥이 희망찾기" 캠페인이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개최 되었다. 이 자리에는 이른둥이로 출생했던 약 100여명의 아동들과 그 가족뿐만 아니라 정관계, NGO, 언론계, 학회 회원 등 약 330여명이 참석했는데, 1993년 대한신생아학회 창립이래 가장 큰 대국민 행사로, 11월 17일인 "World Prematurity Day"에 앞서 열렸다. 이 캠페인은 저출산 시대에 이른둥이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국가사회적 관심과지원이 미미하기에 "저출산 해결은 출생한 이른둥이부터 건강하게 키워야 한다"라는 구호아래 시작되었고, 이를 통해 이른둥이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 이른둥이와 부모에게 자신감 고취, 이른둥이에 대한 올바른 건강정보 제공 등, 이른둥이를 위한 국가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함이었다. 이 캠페인은 첫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국민들에게 전달되었고, 국가사회적 관심과 반향을 이끌었다. 이 글을 통해 이번 캠페인의 배경과 목적, 준비와 진행, 결산과 의미,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에서의 신생아기 사망률 및 이환율

        허주선,김규리,김윤주,신승한,이재명,이주영,손진아,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1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neo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of infants affected by twin-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compared to the control twins matched for gestational age. Also the perinatal outcomes of donor parts of TTTS twins with their counterpart recipients were compare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infants bor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April 2005 and July 2011. Eighteen pairs of TTTS infants were allocated to the TTTS group.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6 pairs of twin infants unaffected by TTTS who were matched for gestational age. Neonatal deaths and morbidities were recorded. Results: The mortality in TTT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27.8% vs. 4.2%, P=0.001). The incidence of acute renal failure (41.2% vs. 9.7%, P<0.001), cardiac ventricular hypertrophy (31.3% vs. 2.9%, P<0.001), congestive heart failure (45.7%vs. 5.6%, P<0.001), grade ≥2 intraventricular hemorrhage (33.3% vs. 11.1%, P=0.012) and grade ≥2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24.2% vs. 2.8%,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TTS group tha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and morbidities between donors and recipients except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acute renal failure in donors (70.6%vs. 11.8%, P=0.001). Conclusion: Twin infants affected by TTTS have higher risk of neonatal death and several severe morbid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ert monitoring and checking about possible morbidities are very important in newborns with TTTS and early intervention is critical for improving the overall outcome of the affected infants. 목적: 분만 후 생존한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자군과 주수를 짝지은 대조군을 비교함으로써 쌍생아 수혈 증후군의 신생아기 사망률 및 이환율을 분석하고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내의 공혈자와 수혈자 간에도 사망률과 이환률을 비교하여 이를 토대로 쌍생아 수혈 증후군 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4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과분당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18쌍의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자와 36쌍의 주수를짝지은 쌍생아 대조군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신생아기 사망, 합병증에 대해 의무 기록을 고찰하였다. 결과: 쌍생아 간 출생 체중, 혈색소 차이는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29.9% vs. 10.1%, P<0.001; 0.2g/dL vs. -0.3 g/dL, P=0.024). 신생아기 사망률은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27.8% vs. 4.2%; P=0.001). 두 군간 신생아기 이환율을 비교하였을 때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은 급성 신부전(41.2% vs. 9.7%, P<0.001), 중등도 이상의 삼첨판 역류(12.5% vs. 1.4%, P=0.033), 심실 비대 (31.3% vs. 2.9%, P<0.001), 울혈성 심부전(45.6% vs. 5.6%, P<0.001), 2단계 이상의뇌실내 출혈(45.7% vs. 5.6%, P<0.001), 2단계 이상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24.2% vs. 2.8%, P=0.001)이었다.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내의공혈자와 수혈자 간에 신생아기 사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합병증은 급성신부전(70.6% vs. 11.8%; P=0.001)이었고 그 외 심부전, 뇌실내 출혈,뇌실주위 백질 연화증을 포함한 다른 합병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아는 그렇지 않은 쌍생아에 비해신생아기 사망률 및 몇 가지 중대한 신생아기 질병 이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출생 후 환아의 혈역학적 변화 및 발병 가능한 합병증에 대해 집중적으로 감시,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발병시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환아의 전체적인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산 지역 응급의료정보센터를 통한 산모와 신생아 전원에 대한 연구

        김묘징,김미진,이명철,유재호 대한신생아학회 2011 Neonatal medicine Vol.18 No.1

        목적: 산모와 신생아 환자의 응급 진료는 치료의 특수성 때문에 치료할 수 있는 의료 기관 및 자원이 한정적이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저자들은 부산 지역 1339 응급의료 정보 센터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 환자의 전원 상태를 조사하고, 주산기 의료 전달 체계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부산 지역1339 응급 의료 정보 센터 전산 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원이 의뢰된 산모 378명과 신생아 136명을 대상으로 전원 성공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 수 및 소요 시간, 전원 이유, 전원 거절 이유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산모는 전원 성공률이 65.5%였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은 2.7개, 소요 시간은 평균 24.4분(11.3-29.8분)이었다. 전원을 의뢰한 이유는 미숙아 분만이 가장 많았고, 전원이 거절된 이유는 의료진 부족, 의료 장비 부족, 병상 부족 순이었다. 신생아는 전원 성공률이 71.3%였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은 2.4개, 소요 시간은 평균 15.6분(7.9-21.3분)이었다. 전원을 의뢰한 이유는 호흡기 증상이 가장 많았고, 전원이거절된 이유는 병상 부족, 의료 장비 부족, 의료진 부족 순이었다. 결론: 응급 의료 정보 센터를 통해 많은 산모와 신생아가 전원되나 전원 성공률은 높지 않았다. 산모와 신생아 환자에 대한주산기 진료 체계의 적정성 평가와 함께 앞으로 통합적이고 지역화된 주산기 의료 전달 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겠다. Purpose: In relation to perinatal healthcare, medical institutions and resources are limitative and also are in a state of flux due to the therapeutic specialty. We analyzed requests for interhospital transfers received by Busan 1339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EMIC) to grasp the state of perinatal healthcare delivery syste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data inputted into the computing system of Busan 1339 EMIC,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09. In connection with 378 pregnant women and 136 newborns who were required to transfer, retrospective analyses were made of the success rate of transfer (SR), the number of contacted hospitals, the time required for transfer and the reason of transfer and refusal. Results: In the case of pregnant women, the SR were 65.5%. They came in contact with 2.7 hospitals, and it took 24.4 minutes. As for the reason of transfer, preterm labor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case of newborns, the SR were 71.3%. They came in contact with 2.4 hospitals, and it took 15.6 minutes. The most common reason of transfer were respiratory symptoms. In the reason of refusal with pregnant women and newborn, the lack of medical staff, medical equipments and wards accounted for great. Conclusion: Many pregnant women and newborns have been transferred to hospitals by EMIC, but the SR has not been higher ye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propriety of perinatal treatment system, as well as to set up effective perinatal healthcare delivery system.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10대 임신에서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

        박인호,소철환,조정익,유승택,이승현,홍기연,오연균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3

        Purpose: The number of teenage pregnancy is increasing on these days due to changes in sexual awareness, precocious puberty,lack of proper sex education and abortion restrictions. We evaluated the clinical features including the rate and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 and neonates caused by teenage births. Methods: Subjects were mothers whose ages were below 19 at time of admission in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July 2011.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eenage mothers and her neonates retrospectively,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above and below the age of 16 . Results: The number of neonates of teenaged mothers was 73, which is 10.4 per 1,000 births and it showed an upward trend during the late decade of 2,000’s. 14 (19.2%) of the mothers were multiparous, and 69 (94.5%) unmarried, 25 (34.2%) no prenatal examinations, 11 (15.1%) an abortion history, 47 (64.4%)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25 (34.2%) a single parent. Among the maternal complications, premature birth was the most prevalent with 34 cases (46.6%), followed by 11 (4.1%)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The most common neonatal complication was prematurity in 37 cases (50.7%), followed by 30 (41.1%) low birth weight, 19 (26%) ICU admi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bove and below the age of 16 in neonatal and obstetrical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number of teenage pregnancy is increasing recently, and they had a high prevalence rate of prematurity, low birth weight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the grouping by age of above and below 16 was no affect the prognosis. 목적: 성 인식의 개방, 성조숙, 미비한 성교육, 낙태금지 등으로 청소년 임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어린나이 임신은 태아의 자궁내 성장지연, 태아곤란, 조산, 저출생체중, 영아 사망 등 고위험 신생아 발생의 요인이 된다. 이에 10대의 신생아 분만율을 포함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주산기 관련 특성과 합병증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신생아실및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중 산모가 19세 이하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분만한 신생아들의 의무기록을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특성, 주산기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으며, 16세를 기준으로 그 이상군(≥16세 이상)과 미만군(<16세 미만)으로 구분하고 차이점이 있는지도 비교하였다. 결과: 10대 산모에 의한 신생아분만은 총 73명으로 분만율은1,000명의 분만아 당 평균 10.4명이었으며 2000년대 후반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대 산모의 산과력 상 경산부 14명(19.2%), 미혼 69명(94.5%), 산전 진찰을 받지 않은 경우 25명(34.2%), 유산 기왕력 11명(15.1%)이었으며, 교육 수준은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가 47명(64.4%)이나 되었고 결손가정은 25명(34.2%)이었다. 산모의 문제점은 조산이 34명(46.6%)으로 가장 높고, 양막조기파수 11명(15.1%), 양수과소증 3명(4.1%), 빈혈 3명(4.1%) 순으로 나타났다. 신생아의 평균 출생체중은 2612.4±764.6g, 평균 재태주령은 35.6±3.5주, Apgar 점수(1,5분) 6.6±2.0, 8.1±1.8이었고, 문제점으로는 미숙37명(50.7%), 저체중출생 30명(41.1%), 집중치료센타 입원 19명(26%),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Grade III) 10명(13.7%)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산모 16세를 기준으로 구분한 이상과 미만 두군 간에 산과적, 신생아적 문제점의 차이는 없었으며 사망률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청소년기 10대 임신이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출생한 신생아는 고위험 요소인 미숙, 저체중출생,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등에서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이고, 고위험군의 기준으로 구분한 16세의연령 기준은 신생아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임신에 따른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

        신정희,Siegfried Bauer,윤영선,정현철,이영준,우찬욱,최병민,김해중,박상희,송지원,이장훈 대한신생아학회 2010 Neonatal medicine Vol.17 No.1

        Purpose:In recent years, Korea has showed a steady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eenage birth, while the overall birth rate has declined. As the teenage birth is known as a high risk pregnancy itself, we examined perinatal complications of teenage mothers and whose neonates in aspects of medical problem, and social status and support. Methods:We examined the perinatal characteristics of teenage mothers and whose babies, who were hospitalized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9 us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Twenty-seven teenage mothers and their 28 bab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Teenage mothers were all unmarried and showed high rates of preterm labor, maternal anemia, and unexpected delivery. Among them, 11 (40.7%) were from families that were separated. Eleven mothers (40.7%) did not have any antenatal care. There were high rates of prematurity and low birth weight (60.7% and 64.3%,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 includ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Fourteen babies (51.9%) were not going to be brought up by their biological parents. Conclusion:Teenage pregnancy had high rates of preterm labor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often caused by the lack of proper antenatal care. Babies from unmarried mothers were likely to be adopted and this could be a social burden. Therefore, to reduce unplanned teenage pregnancy and births, sex education and soci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all teenagers. 목적:현재 국내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고 있고 또 출산 연령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10대 청소년들의 분만은 줄어 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임신은 어린 신부와 그들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들에게도 의학적인 문제점뿐 아니라 사회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입원한 산부가 19세 이하로 청소년이었던 산부와 그들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산부는 27명이었으며 대상 신생아는 28명이었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산부와 신생아의 특성, 주산기 합병증 및 지원했던 사회적 지원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27명의 모든 산부는 미혼이었으며 이 중 11명은 결손 가정의 자녀였다. 임신으로 적절한 산전검사를 받은 산부는 3명뿐이었으며 특히 11명(40.7%)의 산부는 산전검사를 전혀 받지 않았다. 산부의 주산기 합병증으로 조산, 빈혈, 조기 양막 파수, 융모양막염 등이 있었다. 대상 신생아 28명 중 미숙아는 17명(60.7%)이었으며 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10명(35.7%)이었다. 신생아의 합병증은 모두 미숙아에서 나타났으며 호흡곤란증후군 8명, 패혈증 3명, 치료가 필요했던 동맥관 개존증, 괴사성 장염, 뇌실 내 출혈 등이었다. 입원 중 사망한 환아는 1명으로 사인은 폐출혈이었다. 퇴원한 신생아 27명 중 14명(51.9%)이 입양되었거나 아동 보호 시설에 위탁되었고 친부모에게 양육된 경우는 12명(44.4%)이었다. 결론:청소년 임신은 조산으로 출산하는 경우가 많고 산전 검사를 제대로 받지 못해 적절한 출산 준비 없이 신생아를 출산하게 되어 미숙아의 빈도가 높고 이로 이한 주산기 합병증이 많다. 또한 신생아가 미혼모에게서 출생하게 되므로 친부모에게 양육되지 못하고 입양되거나 아동 보호 시설에 위탁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청소년에 대한 피임 교육과 함께 임신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임신이 된 경우 적절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회 지지가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