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SCOPUSKCI등재

        효모시스템에서 Human Transglutaminase C(TGase 2)의 발현에 관한 연구 : C-말단부위의 결손효과 An Effect of a Domain from Carboxyl Terminal Deletion of the Enzyme

        우상규,정선미,이상기,안병윤,김희철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Transglutaminase(TGase Ⅱ)는 펩타이드-결합 글루타민 잔기와 펩타이드-결합 라이신잔기 및 1차 아민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화합물과의 교차결합에 의하여 단백질의 변형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동물세포에는 구별가능한 5종류의 TGase가 존재한다[TGase Ⅰ(또는 K), Ⅱ(C), Ⅲ(E), Ⅳ(P)와 혈장단백 ⅩⅢa]. 그들은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에 약 70%의 상동성을 갖고 있으며, C-말단의 경우에는 거의 상동성이 부위(N-말단 2/3)와 비상동성 부위(C-말단 1/3 부위)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효소 또는 C-말단이 결손된 형태의 효소를 Saccharmoyces cerevisiae에서 발현 하고자 하였다. Southern blot, 역전사 중합 연쇄 반응, Western blot등을 통해 전체효소 및 C-말단 결손형 효소가 형질전환된 효모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ccinylated casein에 [1,4-^14C]-putrescine이 통합되는 반응을 이용한 활성 측정에서 C-말단이 결손된 TGase Ⅱ는 같은 세포 농도에서 전체 TGase Ⅱ 효소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람 TGase Ⅱ의 경우 N-말단의 높은 상동성부위가 효소의 역가결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효모시스템에서 발현한 결과 효소의 역가가 나타났으나 높지 않았으며 발현된 양이 극히 낮아서 단백질의 정제나 특성연구를 위하여 발현벡터의 개량을 포함한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흥미롭게도 TGase Ⅱ의 발현이 효모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현상이 표피세포의 각질화에 수반된 세포의 죽음과 유관한지의 가능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conserved domain and of the heterologous one-third part of the carboxy terminal domain of transglutaminase C (TGase Ⅱ), attempts were made to express TGase Ⅱ cDNA of human origin in yeast Saccharmoyces cerevisiae as in a full-length form as well as in a form of C-terminal truncation. The 2μ-based expression plasmids which contained the TGase Ⅱ cDNA under the gal inducible promoter were introduced into yeast and the maintenance of the full-length and truncated form of the TGase Ⅱ gene plasmids were confirmed by Southern blot. The expression of e results indicate that the N-terminal homologous domain of human TGase Ⅱ retains a catalvtically active domain. The level of TGase Ⅱ expressed in yeast, however, was far lower than satisfactory and other expression system should be sought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nzyme. The negative effect of TGase Ⅱ on the growth of yeast is interesting with respect to the physiological effect of TGase Ⅱ in the cornification f epidermal keratinocytes.

      • KCI등재
      • 분편 인플루엔자백신(split influenza vaccine)의 임상효과 및 면역원성에 관한 연구

        우흥정,김동림,정희진,천병철,이주연,안정배,김지희,박찬,신영규,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1

        목적 : 아단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백신의 인플루엔자 예방효과, 인플루엔자 방어 항체형성, 인플루엔자 백신의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총 571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하였고, 이들 접종자에서 인플루엔자 양질환의 이환을 조사하여 인플루엔자 백신의 인플루엔자예방효과를 알아보았고, 백신의 접종 전 및 접종 4주 후 혈청에서 혈구응집억제물(Hemagglutination Inhibition : HAI) 항체 검사를 실시하여 백신의 방어항체생성을 조사하였고, 백신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신접종 후 1주일 이내의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백신 접종군과 백신 비접종군에서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이환을 조사한 결과 접종군 28.35%, 비접종군 35.88%으로 나왔으며, p 값이 0.001로 통계적으로 접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예방 효과는 20.97%를 보였다. 백신의 방어항체 형성의 평가를 위해 유럽의 인플루엔자 백신 허가 기준을 조사하였는데 B/Guangdong/5/94균주의 백신접종 후 항체가 40이상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기준은 모두 만족 시켰다. 부작용은 전체 조사자 521명중 149명(29%)으로 주로 접종 부위의 국소 부작용을 호소했고, 전신 부작용은 2% 내외였으며 특별히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 분편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양질환의 예방과 방어항체생성에 효과 있으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fluenza vaccine are well known in developed country. The influenza vaccination has been recommended as one of the tentative immunization schedule for indicated persons since 1997 in Korea. But there are still no available data about them, even though nearly 5 million doses of influenza vaccine were used in 1997-1998 season. So it is immediately needed to investigate the safety. efficacy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vaccine among Korean. Methods : We studied the clinical efficacy of influenza vaccine by monitoring Occurrence of influenza-like illness in influenza risk group(vaccination ; 300, non-vaccination; 215) from December in 1997 to March in 1998. We used the split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containing 15 microgram of hemagglutinin of A/Beijing/262/95(HlNl), A/Wuhan/359/95(H3N2), B/Mie/1/93 and B/Guangdong/5/94. Hemagglutination inhibition(HA1)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before immunization and 1 months after vaccination And we evaluated adverse effect of influenza vaccination at 7 days after vaccination. Results : Influenza vaccination was associated with si@icant reductions in influenza-like spptoms(vaccination group; 28.35%, non-vaccination group, 35.88%, p=0.001). The preventive effect of influenza-like i3lne.s among influenza risk goup was 20.97%.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A and B exceeded all of the European licensure criteria for immunogenicity except postvaccination proportion of titers 240 of B/Guangdong/5/94 strain. And the adverse effects were mainly local injection site problem and no serious adverse effect was noted. Conclusion : Split influenza vaccine is safe, inmunogenic and eff'tive in influenza risk group in Korea.

      • KCI등재

        열공형과 비열공형 피질하 혈관성 치매에서 위험인자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배희준,정지향,유경호,나덕렬,김상윤,최경규,양동원,손의주,이상도,김재우,박경원,김응규,이재홍,박미영,한일우,함동석,최문성,하충건,최성혜,이애영,이병철,한설희 대한치매학회 2003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2 No.2

        Backgrounds and Objectives: Vascular dementia is a group of dementing disoders arising from various stroke syndrome. Among these. 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dementia (SIVD) is regarded as a relatively distinct clinical entity. However, MRI patterns of SIVD are not homogenous. In some patients, lacunes are dominant, and in others, subcortical white matter changes 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risk factor profiles between SIVD with and without multiple lacunes. Methods: We divided 47 subjects (22 males, mean age. 68 years) recruited from VADAPET (Multicenter Trial For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the PET Images Of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Patient) study into two groups one with more than 5 lacunes in deep gray matter (lacune group) and the other with 5 or less(non-lacune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Nineteen of 47 patients (40%) belonged to the lacune group. The lacune and non-lacune groups d d not differ in the following variables: ag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heart disease, history of stroke or TIA, history of trauma or major surgery,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stroke, or dementia, age at diagnosis of dementia, body mass index, white blood cell count, ESR, CRP, fibrinogen, hemoglobin A1C,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creatinine, proteinuria, glucosuria, and microhematuria. However, male sex, smoking alcohol.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were possibly associated more with lacune group SIVD than with non-lacune group (p<0 1)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smoking,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IVD with multiple lacune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IVD with multiple lacunes may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moking habits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from SIVD without multiple lacune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에서의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김철권,변원탄,장우석,장정희,조진석,김명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연구목적 :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가 정신분열병의 취약지표를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중고등학교 재학생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28명과 부모중 한 명이 알코올 의존증으로 정신과적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자녀 18명, 그리고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 41명을 대상으로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를 시행하여 세 군간에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 세 군간에 총 시행 횟수, 총 정답반응 퍼센트, 총 오답반응 퍼센트, 보속반응 퍼센트, 보속 오답반응 퍼센트, 비보속 오답반응 퍼센트, 개념수준 반응 퍼센트, 완성한 범주 수, 첫 범주를 완성하기까지의 시행 횟수, 한 분류범주를 지속하지 못한 횟수, 그리고 학습 효율성 등과 같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 대조군의 하위 10%에 해당되는 총 정답반응 퍼센트 점수를 절단점으로 삼아 세 군에서 그보다 낮은 점수를 얻은 피검자들의 숫자를 확인한 결과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 의해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취약지표를 찾아낼 수 없다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could be used to detect the vulnerability markers of schizophrenia, three groups such as offsprings of schizophrenic patients(n=28), offsprings of alcoholic patients(n=18), and offsprings of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n=41) were examined for their concept formation and abstract thinking by means of WC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all variables of the WCST such as number of total administered trials, total correct response %, total error response %, perseverative response %, perseverative error response %, nonperseverative error response %, conceptual level response %, number of completed category, number of trials to complete lst category, number of failure to maintain a set, and learning to learn among three group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ases with extreme low WCST total correct % of lower 10% of the normal controls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CST could be an ineffective instrument for using to detect the vulnerability markers of schizophrenia.

      • KCI등재

        만성 스트레스에 대한 뇌 및 위장관계의 Polyamine반응 : 단일성 및 복합성 스트레스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Complex Type Stress

        강영우,김희철,이성룡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7 No.2

        Objectives : There is a hypothesis that subject may adapted to same kind repetitive stress. Polyamine(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is one of the stress responses in brain and peripheral organs. Therefore,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complex type of chronic stresses by examining the changes of polyamine levels in brain and peripheral tissues. Method : There are four groups in this study. 1) control group(n=5) : animals with no stress, 2) immobilization stress group(n=5) : animals with 10 times of immobilization stress, 3) cold-water swimming stress group(n=5) ; animals with 10 times of swimming stress in cold water, 4) complex stress group(n-5) : animals with immobilization and cold-water swimming stress. For immobilization stress(10 days), rats were placed in restrainers once daily, for 3 hours, For cold water swimming stress, rats were placed in ice-cold water once daily for 3min(10 days). For complex stress, rats were alternately underwant immobilization stress and cold swim stress, for 10 days(5 times, respectively). For polyamine analysis, polyamine extracted from brain tissu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and gastrointestinal tract(gastric and duodenal mucosa) and measured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ultraviolet detector at 242nm. Results : Putrescine levels in frontal cort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mmobilitation stress and complex stress, respectively. Putrescine levels in hippocampu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Spermidine levels in duodenal mucos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cold swimming stress. However, spermine levels were not changed by any type of stres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lyamine reponses between single type and complex type stresses. Conlusions : Attenuations of putrescine and spermidine levels after chronic stresses seem to be a adaptation process of polyamine responses.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olyamine responses between single type and complex type stresses.

      •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리섬유강화 복합절연재료의 표면처리에 관한 연구

        이규철,남창우,김희대,황영한,김경석 울산대학교 1997 공학연구논문집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계 복합 절연재료 Glass-cloth/Epoxy 의 계면 접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 조건에 따라 각각 복합 절연재료를 제작하였고, 전기·기계적특성의 상관관계를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행하여 비교하였다. Glass의 젖음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처리 조건에 따라 주위온도 80[℃]에서 접촉각을 측정하였고, 주위온도 및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면서 비유전율(εr), 유전정접(tanδ) 및 전기적 절연강도를 측정하였다. 기계적 특성을 측정한 후에 파단면의 형상을 SEM으로 분석,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1) 주위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유전율 및 유전정접은 증가하였고, 전기적 절연강도는 감소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서 전기·기계적특성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2) 접촉각 측정 주위온도가 80[℃]일 때, 표면처리 조건에 따른 젖음성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플라즈마 처리효과는 표면세정, 미세요철, 표면대전 및 젖음성의 감소와 같은 복합효과로 볼 수 있다. (4) 전기·기계적특성의 관점에서 복합 절연재료의 경화온도가 80[℃]일 때, Glass-cloth/Epoxy복합 절연재료의 최적처리시간은 3분 정도로 나타났다. The Glass-cloth/Epoxy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s for this study have been prepared with several different surface treatmenttechniquen such as untreatment ultrasonic treatment and plasma treatment, and their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compared each other. It has been found that plasma-treated glass has the smallest contact angle with a drop of epoxy. The plasma-treated composite materials have superior dielectric strength and mechanical tensile-strength compared to the materials subjected to other surface treatments. Also,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exists an optimum plasma treatment duration for improving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s. The optimum plasma treatment durations are about 3 minutes for Glass-cloth/Epoxy at 80[℃]. Longer plasma treatment has been appeared to degrade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