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프로농구 관중의 관전유형 분석

        조병훈,백승엽,김상관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999 경남 체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농구경기 관중들의 관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하여 관람 스포츠 소비자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LG 세이커스 프로 농구단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기 위해 '98-99 프로농구 LG세이커스 창원 홈경기 관중 총 35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농구경기 관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선호하는 팀, 선호하는 이유, 농구장에서의 불편사항, 구단 서비스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변인별 유의차 검정은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농구경기 관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있어서는 농구경기 자체의 재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관중들이 높게 인식하고 있고, 다음으로 홈팀의 경기성적, 치어리더(응원), 특정선수 순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선호하는 팀에 관한 문항에 있어서는 LG가 성별로는 남자 148명(71.84%), 여자 86명(59.72%)으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에서 92명 (73.0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선호하는 팀에 대한 이유에 있어서는 열심히 하는 팀을 좋아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이미지, 연고지 팀, 매너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고지 팀보다는 열심히 하는 팀을 손호하는 것으로 보아 팀의 성적도 중요하지만 승패를 떠나 열심히 하는 팀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농구장에서의 불편사항은 입장표 구입이 남·녀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장권 구입 경로에 있어서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5. 구단 서비스에 관해서는 연간 입장권 판매, 지정 좌석제 도입에 대하여 연령층이 높을수록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신중히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관중들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이벤트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2년간의 융모막융모생검 성적

        조태호,차상헌,이임순,유훈 순천향대학교 1989 논문집 Vol.12 No.3

        Chonionic villus sampling for the first trimester prenatal diagnosis has the potential of becoming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midtrimester amniocentesis. Prior to becoming a standard, however, considerable caution and monitoring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ccuracy and safety of the procedure. In this pursuit, we wish to present our experience and trial in the technical aspects and safety of chorionic villus sampling. Chorionic villi were obtained by transcervical catheter(Trophocan and S-1) or transabdominal 19 gauge spinal needle under the real-time ultrasound guidance. Both direct and cultivation method of chorionic villus for chromosome preparation were performed. The patients consisted of 135 pregnant women who did genetic chorionic villus sampling in 8 to 14 weeks gestation with genetic ind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hromosomal abnormality was found in 7 cases(5.2%): 1 in 47, XX, +21, 2 in 46, XY, inv(9)(p11q 21), 1 in 15q partial trisomy, 2 in 47, XXY and 1 in 45, X/47, XXX. 2) The fetal loss was found in 4 cases(3.0%).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orionic villus sampling now be considered a vialbe and quite possibly an equal safe alternative to second trimester amniocentesis.

      • 천연항균성 물질을 이용한 Vibrio vulnificus의 살균 및 독소생성 억제효과

        조성환,서일원,최종덕,전상수,라택균,정수근,강동훈 國立統營水産專門大學 附設 水産科學硏究所 1993 수산과학연구소보고 Vol.4 No.-

        생선회용 해산물에 오염되어, 생식한 경우 발생되는 패혈병의 원인균주인 Vibrio vulnificus의 생육 및 독성생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천연 항균제인 Grapefruit종자추출물(GPSE)을 이용하여 그 항균효과를 검토하였다. In vitro 시험결과, Vibrio vulnificus에 대한 GFSE의 생육최소저해농도는 50~100 ppm 정도이었으며, Vibrio vulnificus 균체세포틀 100 ppm 농도의 GFSE 용액으로 처리하고 전자현미경 촬영시료로 조제하여 촬영한 후, 미생물형태을 무처리대조구와 비교, 검토한 결과, GFSE 처리로 세포막 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고 균체내부가 빈 ghost 형태의 균체수가 증대되어 GFSE의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생선회용 해산물에 GFSE를 근육주사하고 Vibrio vulnificus를 접종한 수조내에서 사육하여 채취한 어육부를 마쇄하여 일정량씩을 표준사료에 첨가해서 통닭용 병아리를 실험동물로 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체중증가율, 단백질이용효율, 혈청내 효소활성, 혈청의 주요성분함량 등에 있어서, GFSE 처리수조내에서 사육한 해산물을 첨가한 시료시험구의 경우, 무첨가사료처리구와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를 목격할 수 없었으며, GFSE 첨가에 따른 실험동물의 성장저해 또는 독성현상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각 처리구에서 사양한 해산물의 어육부에 오염된 Vibrio vulnificus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 250ppm 이상의 GFSE 처리구에서는 Vibrio vulnificus를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To prevent food-poisoning outbreaks by Vibrio vulnificus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was examin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 vitro) for the microorganism was found to be 50~100 ppm.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Vibrio vulnificus showed the biocidal action of this natural antimicrobial agent would be related to specific respiratory effect coupled with the destruction of permeable function of microbial cell membrane. After Anguilla japonia GFSE-injected to the body was incubated in the seawater contaminated by Vibrio vulnficus the fish meats were taken up, mixed with control diet and used as a diet in the feeding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GFSE treated with fish muscle on body weight protein efficiency ratio, serum enzymes and serum blood component of broiler chicks was investigated. It is proved from this study that there is neither Vibriosis nor toxicity associated with GFSE itself and fish meats treated with it when it is injected to the fish body at a level of 250 ppm or less.

      • KCI등재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2006-2010)

        조흥순,전상훈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cent trend(2006-2010)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in Korea and to fi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To accomplish the purpos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Policy Science and precedent studies were examined, as well as 3 scientific journals and recent doctoral dissertat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were more than 50% of the total. Especially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studies of entire school systems and teaching staff and higher education were mainly published. The aim of the most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o find the ways of improving current educational systems. But the relative portion of theory based researches was small.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and formation made up a significant portion. Some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f Education and Policy Science are needed for developing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Second, more researches of curriculum and students(the key areas of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e studies of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nd theory based researches are needed.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 ‘교육행정학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정책학회보’에 게재 된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정책학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정책학의 지식 기반과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연구주제별, 연구목적 별, 정책과정영역별, 정책수준별, 연구방법별, 연구수행형태별 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교육행정학연구’와 ‘교육정치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논문은 전체 게재논문의 과반 수에 해당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수가 점차 늘어나 교육정책연구가 활성화되 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제에 있어서는, 활동부문별로는 전 학교공통 주제, 교원, 고등교육 부 문의 주제가 많았고, 기능별로는 교육제도와 교직원 관련 주제 논문이 다수 였다. 학술지 논문 은 사회적 쟁점이 된 교육현안 연구가 대다수였고, 박사학위논문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 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과정과 학생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연구목적별로는, 다수의 논문이 실 태분석을 통한 교육정책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정책이론 검증과 개발을 위한 논문이 적었 다. 정책과정영역별로는 정책평가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책수준별로는 국가수준이 대다수였다.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양적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책평가 논문에서 양적연구방법 사용 빈도가 높았다. 연구수행형태별로는 단독연구가 많으나 공동연구가 늘어나고 있고, 비지원 연구 가 대다수였으며,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비 교육학 전공자의 논문이 상당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정책연구의 심화 · 발전을 위한 공론의 장 필요, 학생과 교육 과정 분야에 대한 연구 촉진, 미래지향적 · 거시적 관점의 교육정책 연구 활성화, 정책이론의 접목과 개발 연구 촉진, 공동연구의 활성화와 동기부여책, 문헌연구 이외에 연구방법 다양화, 시 · 도 수준의 정책연구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하악골에 발생된 Low grade 골육종:증례보고

        조현이,정종철,김호성,최재욱,성대경,서지훈,김성범,이계혁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2 No.1

        Osteosarcoma is a primary malignant tumor arising most often in the long bone, but rare in jaw bone. Especially osteogenic sarcoma of the mandible is a rare tumor, comprising less than 0.5% of all head and neck tumors. Osteosarcoma occurs cheifly in young persons, and presenting very survival rates. Histopathologically this tumor can be classified three types, osteoblastic, fibroblastic, chondroblastic and classified from low grade to high grade by anaplasia or mitosis of the tumor cells. Sometimes, the exact diagnosis of osteosarcoma is difficult especially in low grade osteosarcoma, even if clinical or radiographical findings suggest to osteosarcoma. So suspcious to malignant bone tumor in clinical or radiological findings, biopsy should be taked from deep portion and multiple area, and sharing the patient history and radiographs with pathologist will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the diagnosis. We report a case of low grade osteosarcoma on the mandible initially difficulty in accurate diagnosis. Th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for routine dental treatment but radiographic findings displayed ill-defined radiolucency with osteoid formation on the mandible. Final diagnosis was difficulty in initial biopsy but subsequent biopsy taked from deep portion presented infiltrative growth and mitosis of the tumor cell in some area with small osteoid bone formation, so we could reach final diagnosis as low grade sarcoma. We treated this patient with bloc resection of the mandible and 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iliac corticocancellous block.

      • 1980年度 痢疾樣 大便을 가진 患兒들에 對한 臨床的 細菌學的 觀察

        趙龍勳,南聖枝,具滋薰,安斗洪,薛盛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1980年 1月부터 1980年 8月까지 滿 8個月間 痢疾樣 大便을 主訴로 本 小兒科에서 入院및 來院한 患兒 75名을 對象으로 臨床的, 細菌學的 觀察을 하여 다음과 같은 咸績을 얻었다. 年齡別 分布는 1歲에서 5歲 사이가 35例(47%)로 가장 높았으며 이들中 Shigella는 23例(30%), Entameba histolytica는 13例(17%)였고 Vibrio parahaemolyticus는 한 例도 檢出되지 않았다. 檢出된 Shigella 23菌株는 모두 Shigella flexneri 였다. 月別分布는 6月 16例(20%), 7月 30例(40%)로서 最多數를 占하였으나 細菌性 痢疾의 경우 月別에 관계없이 均等하게 分布하고 있었다. 臨床症狀및 理學的 所見으로는 細菌性痢疾의 경우 38℃ 以上의 發熱 19例(83%), 嘔吐 6例(26%), 腹痛 8例(35%), 痙攣 5例(22%)였으며, 아메바性 痢疾에서는 發熱 4例(31%), 痙攣 1例(8%)로서 細菌性 痢疾에서 아메바性 痢疾보다 發熱과 痙攣이 빈번히 나타났다. 泄瀉의 性狀에서는 細菌性 痢疾 23例中 血粘液性이 19例(83%)였는데 비해 아메바性 痢疾 13例에서는 粘液性이 8例(62%)였다. 泄瀉의 回數에서도 細菌性 痢疾에서는 대부분이 11回以上이었는데 比해 아메바性 痢疾에서는 대부분이 10回未滿이었다. 末梢血液에서의 白血球數는 全例의 35%에서 白血球 增多症을 보였다. 分離된 Shigella 23菌株에 對한 抗生劑 感受性 檢査를 平板混合포稀釋法에 依해 調査해 본 結果 kanamycin, gentamicin, amikacin, cephaloridine, rifampin이 100%의 感受性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nalidixic acid에서도 87%의 感愛性을 나타냈으며, sulfonamide,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tetracycline, ampicillin, bactrim 에서는 한 菌株를 제외한 모든 菌株에서 耐性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들 Shigella 23菌株中 1菌株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菌株에서 6種 以上의 抗生物質에 對해 多抗生物質耐性을 보여 주었다. A clinical and laboratory study was conducted on 75 children with dysentery-like stool, who were admitted or visited to our pediatric department during 8 months period from January to August 198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One to five years of age group was affected most frequently (47%). Shigella flexneri was identified by stool culture in 23 cases (30%) and Entameba hitolytica in 13 cases (17%). In bacillary dysentery group, fever was the most common symptom occuring in 83%, followed by abdominal pain in 35%, vomiting in 26% and convulsion in 22%. In amoebic dysentery group, fever was noted in 31% and convulsion in 8%, showing some contrast to the frequency of fever and CNS manifestation. About the character of diarrheal stools, 83% of bacillary dysentery group showed bloody, mucoid stool and 62% of amoebic dysentery group mucoid ones. Frequency of diarrhea was 11 times per day or more in 73% of bacillary dysentery patients, and 10 times per day or less in 92% of amoebic dysentery patients. The result of sensitivity test of isolated Shigella to various antibiotics were as follow: 100% sensitive to kanamicin, gentamicin, amikacin, cephaloridine and rifampin. 87% to nalidixic acid, and 4.3% to sulfonamide,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tetracyclin, ampicillin and bactrim. And 22 out of 23 isolated Shigella strains revealed multiplydrug-resistance patterns to 6 or more antibiotics.

      • 폐결핵의 조기진단에 있어서 이중중합효소연쇄반응법의 유용성

        조성란,최영진,김용훈,이철세,김영창,김휘준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2

        Background: Pulmonary tuberculosis is a great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Early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tuberculosis) in clinical sample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control of tuberculosis. Recently, molecular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early detection of M. tuberculosis. Methods: To elucidate the effectiveness of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early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we peformed Acid-fast bacilli (AFB) stain, AFB culture, and nested PCR on 84 sputa. Results: 8 (9.5%) specimens were positive by AFB stain, 17 (20.2%) by AFB culture, and 15 (17.9%) by nested PCR. Using AFB culture as standard method, the sensitivity of AFB stain and nested PCR was 47.1% and 82.4%,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of AFB stain and nested PCR was 100% and 98.5%, respectively. Conclusions: Nested PCR was more sensitive than AFB stain and had shorter processing time(24-48hrs) than AFB culture. So it may be effective to use nested PCR in order to detect M. tuberculosis when AFB smear Is negative.

      • 배추 內婚系와 交配後代에서 自家不和合 遺傳因子의 活力變異에 대한 硏究

        趙成大,閔炳訓,李政明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93 硏究論文集 Vol.14 No.-

        배추의 自家不和合 因子組成이 다른 全球(S_(5)S_(5)) 및 野崎 2號(S_(6)S_(6))계통과 이들간의 交配에서 얻은 F₁식물(S_(5)S_(6)), 그리고 F₁을 自殖하여 얻은 F₂植物體群을 상호교배하여 自家不和合 遺傳因子에 대한 優劣關係의 遺傳과 發現樣相을 연구 하였다. F₁ 및 F₂식물체에서의 자가불화합 支配 對立因子間의 관계는 花粉에서 安定的이었으나 株頭에서의 환경적 요인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F₁식물의 自家不和合 程度나 S-因子間의 優劣關係는 이를 自殖한 F₂식물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ominance-recessive relationship of S-genes and degrees of self incompatibility in 2 inbred lines of known S-allele and their F₁and F₂ plants by full diallele crosses. The dominance-recssive relationship between S-genes in pollen was stable in F₁and F₂ plants throughout the experiment. In stigma, however, the relationship apparently changed or reversed in F₁or F₂ plants and also possibly by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F₂ plants did not exhibit the same dominance-recessive relationship as in the F₁plants, especially in stig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