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생들의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와 활용에 관한 연구
이호정,오희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Elementary students have actively been utilizing makeup information, imitation and sharing from both online and offline sources. They can easily acquire and communicate makeup information through not only online sources, such as SNS, YouTube, but also offline sources such as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online and offline makeup information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ho are the first consumers of beauty products but will become address visas in the future.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on-line makeup information for girls who have experience of color makeup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 surveyed the purpose of using makeup information, channel of makeup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makeup information. Makeup imitation channel, makeup implementation o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using makeup information in both on-line and off-line is to make purchasing decisions on-line and to use it for offline purposes. On-line and off-line makeup information channels use channels such as YouTube and SNS online, and friends and parents channels offline. Second, the kinds of makeup information that are used in on-line and off-line are information such as point-make-up method on-line and information on cosmetics on off-line. Third, makeup imitation on and offline imitates YouTube, SNS on the online, imitates friend and sister in offline. Fourth, the object of makeup is me and friend. 최근 초등학생들은 온·오프라인에서 화장 정보를 학습하고, 모방 및 공유 등의 활용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초등학생들은 SNS, 유튜브 등 온라인뿐만 아니라 부모님, 친구, 선생님 등 오프라인에서도 화장 정보를 쉽게 탐색하고 커뮤니케이션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제품 최초의 소비자이지만 향후에는 주소비자가 되는 초등학생들의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와 활용에 대해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중 색조화장의 경험이 있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에서는 화장정보 이용 목적, 화장 정보 이용 채널, 화장 정보 종류를 조사하였으며,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의 활용에서는 화장 모방 채널, 화장 구현 대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오프라인에서의 화장 정보 이용 목적은 온라인에서는 구매 결정 등의 목적으로, 오프라인에서는 소통 등의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온·오프라인에서의 화장 정보 이용 채널은 온라인에서는 유튜브, SNS 등의 채널, 오프라인에서는 친구, 부모등의 채널을 이용하고 있다. 둘째, 온·오프라인에서 이용하는 화장 정보 종류는 온라인에서는 포인트 화장법 등의 정보를 오프라인에서는 화장품 등의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셋째, 온·오프라인에서의 화장 모방은 온라인에서는 유튜브, SNS 등을 모방하며, 오프라인에서는 친구, 자매 등을 모방하고 있다. 넷째, 화장 구현 대상은 나, 친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