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섭식절제척도의 타당도 연구: 섭식절제 및 역규제적 섭식 척도들 간의 비교

        이임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7 No.1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traint Scale, Korean version. Nondieter group consists of 228 female college students and dieter group consists of 168 female students, also. Factor analysis of the Restraint Scale for both groups produced two replicated factors: Concern for Dieting and Weight Fluc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and the factors of the Restraint Scale, the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and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A factor analysis showed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formed by counter-regulation (EDI-Bulimia, TFEQ-Disinhibition, TFEQ-Hunger, DEBQ-External Eating, DEBQ-Emotional Eating). The second factor was formed by dietary restraint (TFEQ-Cognitive Restraint, DEBQ-Restrained Eating, RS-Concern for Dieting, EDI-Drive for Thinness). The third factor was formed by weight fluctuation (BMI, EDI-Body Dissatisfaction, RS-Weight Fluctuation). Although these three scales may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y may assess different constructs. 본 연구에서는 섭식절제척도(R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조절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여대생 228명과 다이어트를 실행하고 있는 여대생 168명에 대하여 섭식절제척도의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서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과 체중변동 요인이 나타났다. 섭식절제와 역규제적 섭식척도들 간의 상호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조절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여대생 228명의 섭식절제척도(RS), 식이행동 질문지(DEBQ) 및 삼요인 섭식 질문지(TFEQ), 섭식장애검사(EDI-2)의 하위척도들, 신체질량지수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하위척도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1 이상인 세 요인이 전체 변량의 5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주로 역규제적 섭식 및 정서적, 외부적 섭식으로, 요인 2는 섭식절제와 관련된 척도로, 요인 3은 체중 변동이나 신체 불만족, BMI와 같이 체형과 관련된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섭식절제와 역규제적 섭식 및 체중변동 요인에 대해 각 척도들이 공동으로 측정하는 부분과 독특하게 측정하는 부분을 구분함으로써 각 척도의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 섭식절제와 다이어트가 식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임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2000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4 No.1

        섭식절제는 다이어트와 통용되는 개념을 사용되어 왔으나, 점차 섭식절제와 다이어트는 별개의 개념으로 구별되었다. 섭식절제 수준은 섭식절제척도(RS)의 중앙치를 기준으로 섭식절제 집단과 섭식비절제 집단으로, 다이어트 실행여부는 현재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고 보고한 경우에 다이어트 집단으로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다고 보고한 집단을 비다이어트 집단으로 규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Lowe 등(1991)에 따라 피험자를 섭식절제 다이어트 집단, 섭식절제 비다이어트 집단, 섭식비절제 비다이어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을 간식조건과 비간식조건 처치에 각기 할당하였으며, 섭식절제 수준과 다이어트 실행여부에 따라 고칼로리 간식처치 후에 역규제적 섭식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간식조건과 비간식조건에서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의한 결고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대해 실험재료의 선택 및 섭식절제척도가 섭식절제 수준을 적절히 측정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restrained eating and current dieting on eating behavior. The restrained eating is measured by Restraint Scale(Herman & Polivy, 1975) and dieting is defined as eating behavior of taking low calory for the present. Subjects were college females,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restrained dieters, restraind nondieters and unrestraind nondeiters) at their restrained levels basing on the median score on Restraint Scale, and the current status of dieting. Three kinds of biscuit were used for experimental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n't show any significant result. Restrained eaters and unrestrained eater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load condition and nonpreload condition. Dieters and nondieter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ditions. It discussed that experimental materials and the measures might have some problems. Also it discussed that the definitions of restrained eating and dieting need more specification.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의 발암과저에서 아포토시스의 역할

        이임순,남계현,이권해,최규연,이순곤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8 No.3

        A considerable body of evidence has been accumulated suggesting that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develops from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CIN). Most women with invasive cancer of the cervix are from lower socioeconomic groups, have begun heterosexual activity early in life, marry early, are multiparous, and have many sexual partners. Although the epidemiology of the cervical cancer is known well, the pathogenesis of the cervical cancer from CIN is subtle yet. Apoptosis, including the programmed cell death, is important event in normal cell turnover and maintenance of adult tissues. Apoptosis exerts a homeostatic function in relation to tissues dynamics, as the steady state of continuously renewing tissues achieved by a balance between cell replication and cell death. The specific labelling of nick ends of fragmented DNA was used to see the apoptotic cells from normal epithelium of the cervix to invasive cervical cancer. The apoptotic cells were found normally in the parabasal layer of the epithelium. As the grade of CIN increase, the apoptotic cell were found in superficial layer of the cervix and number of the apoptotic cell were increased. In the cervical cancer, the apoptotic cell were found in the cancerous tissues more than in the normal epithelium.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cell prolifer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hibition of the apoptosis in the carcinogenesis of the cervical cancer.

      • KCI등재

        정상 임신부에서 혈청내 Interleukin-2와 Tumor Necrosis Factor-α 값의 변화

        이임순,이순곤,이해혁,김동희,이슬기,양회경,최경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태아는 면역학적으로 반동종이식(semiallograft)이고, 일부의 반복유산이 숙주와 이식편 사 이의 반응때문이라면, 숙주와 이식편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interleukin-2[IL-2]와 tumor necrosis factor-α(TNF-α)의 측정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중 일어나는 면역학적 변화에 대한 예비연구로 임신부의 혈청내의 IL-2와 TNF-α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혈청 TNF-α와 IL-2는 효소 결합 면역흡착검사[ELISA kit: R&D system, Mineapolis, M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대상은 50명의 합병증 없는 임신부, 30명의 건강한 비임신부, 적어도 2번 이상의 유산경력이 있는 5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5명의 임신부는 임신 6-14주였고, 채혈당시 질출혈과 절박유산 증상으로 세번째 결국 유산 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혈청 IL-2값은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에서 각각 11.0 22.5pg/mL 와 66.2 47.5pg/mL로 검출되어 임신부에서 증가하였으며, 임신 초기에 증가하여 임신 기간중 일정하였다. 혈청 TNF-α 값은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에서 각각 11.6 28.1pg/mL와 11.4 21.8pg/mL로 검출되어 차이가 없었다. 숫자는 적으나 원인불명의 반복유산환자에서 혈청 IL-2값은 어떤 규칙을 찾을 수가 없어 의미가 없었으나, 혈청 TNF-α값은 29-34pg/mL로 정상임신부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의 IL-2값에 차이가 있으며, 임신부에서 IL-2값이 증가하였다.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의 TNF-α값은 차이가 없었다. 수는 적으나 원인불명의 반복유산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하여 TNF-α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Objective: Because the fetus exists immunologically as a semiallograft, pregnancy loss may be a manifestation of host versus graft rejection in some cases. So we undertook a preliminary study to determine IL-2 and TNF-α levels in serum during normal pregnancy. Methods: Samples were taken for serum TNF-α and IL-2 enzyme linked immunosolvent assays (ELISA: R&D systems, Minneapolis, MN) from 50 pregnant women without any complications, 30 healthy non pregnant women and 5 women with at least two previous abortions between 6-14 weeks. 5 women had symptoms of an threatened abortions as evidenced by a vaginal bleeding and ultimately had a third abor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student t test. Results: Serum IL-2 levels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11.0 22.5pg/mL and 66.2 47.5pg/mL in control and normal pregnant women. The peak IL-2 level was reached as early as the first month and was stable during pregnancy. Serum TNF-α levels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11.6 28.1pg/mL and 11.4 21.8pg/mL in control and normal pregnant women. Serum TNF-α levels in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 were 29-34pg/mL. Conclusions: In normal pregnant women we found an increase in serum levels of IL-2 compared to the non-pregnant women. As regards serum levels of TNF-α, no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between normal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In women with URA an increase in serum levels of TNF-α were found compared to the normal pregnant women.

      • KCI등재

        중년성인의 생활사건 경험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 관계성의 조절효과

        이임순,김봉환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성인의 생활사건 경험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희망과 생활사건 경험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남도, 강원도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의 성인 5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사건 경험은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사건 경험 중 경제 요인이 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희망의 하위요인 중 주도사고에는 경제요인과 개인․사회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생활사건 경험과 희망 간 관계를 관계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중년성인의 생활사건 경험이 희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약하게 하여 희망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과의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중년성인들에게 인식시킴과 동시에, 상담의 장면에서는 희망을 높일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iddle-aged adults' experience of living events on hop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experience of living ev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547 adults aged 40 to 60, who are studying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Gangwon-do provi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living events influenced on hope, and the financial factor of the experience of living ev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ope. Also, financial and personal-soc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ding thinking among the sub-factors of hope. Second, the relatedness moderated between experience of living events and hope. In other word, the higher the level of relatedness, the higher the level of hope by weakening the negativ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living events on ho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middle-aged adults,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can raise hope in the counseling practice a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