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제, 광장, 아카데미아 사이의 경합과 연대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2

        1990년대 중반 우연히 국내에 상륙한 것처럼 보이는 국제영화제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적 산물에 가깝다. 엄밀히 말하자면 1980년대 국내의 문화운동과 1990년대 탈냉전의 세계 사이에 놓인 접촉지대의 혼종적이면서 동시에 토착적인 문화운동이었다. 1980년대 영화운동에서 시작해, 1990년대 예술영화전용관 설치, 그리고 1996년 국제영화제의 등장은 병렬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서사적 긴장을 빚는 과정이었다. 이 글은 글로벌과 로컬의 결합으로서 국제영화제가 이 둘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관해서는 별로 궁금해 한 적 없었던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고자 했다. 2000년대 이후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는 국내 국제영화제의 변화는 글로컬한 사회적 의제를 제시하고, 배제와 차별을 넘어 연대하고 공존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탐색하는 문화정치의 진화과정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영화산업에서 독립영화의 토착화(vernacularization)와 타자화(Otherization) - Yannis Tzioumakis의 Hollywood’s Indie(2012)와 독립영화의 탈/재영토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3

        이 글은 미국 독립영화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경향을 살피고 독립영화와 상업영화의 관계, 구체적으로 영화산업에서 독립영화의 위치에 관한 계보학적 탐색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야니스 치우마키스(Yannis Tzioumkis)의 최근 저서인 Hollywood’s Indie(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는 독립영화에 관한 연구이면서 동시에 독립영화 연구에 관한 메타 연구를 겸한다. 최근 들어 독립영화에 관한 학문적 관심이 늘어나기는 했으나, 독립영화는 소수의 영화팬이나 비평가들의 전유물이었던 시절을 오래 동안 견뎌온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는 동안 쌓여온 독립영화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인식을 재조정하려는 이 책은 독립영화에 관한 근본적인 성찰로 인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저자는 미국의 독립영화 씬이 198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의 계열사 그룹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이야기한다. 198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는 그 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인디(the indie), 그리고 인디우드(indiewood)는 각각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가 독립영화에 개입하는 방식과 그 효과의 차이를 기준으로 한다. 인디펜던트 시대는 1980년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가 운영한 계열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미국 내 독립영화 시장의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디 시대는 1990년대 파인 라인 픽쳐스와 소니 픽쳐 클래식이 등장하면서 사회적 문제의식과 당대 최신의 미학을 결합함으로써 미국 독립영화가 전세계 시장을 확보하는 교두보를 만들었다. 인디우드 시대는 영상산업으로 규모를 확대한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의 시장 전략에 따라 독립영화 고유의 다양성이나 실험성 등 그 자체를 상품으로 만들어 독립영화에 관한 미국적 토착화(vernacularization)를 완수했다. 그러나 도발적인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미국 독립영화에 관한 이러한 시대구분은 몇 가지 제한된 시야로 인해 정작 규명하려고 했던 독립영화의 실체를 모호하게 만들어버린다. 그 제한된 시야란 첫째, 지나칠 정도로 산업적 측면에 갇혀있는 것, 둘째, 산업적 측면에 집중하면서도 그것이 작동하는 토대로서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것, 마지막으로 미국 영화산업의 특수성을 보편적인 것으로 전제하는 일종의 제국주의적 시선이 그것이다. 결국 저자 역시 이 세 가지의 중요한 지점을 비판적으로 의제화하지 못함으로써 할리우드의 독립영화 시장 진출 과정, 즉 독립영화를 할리우드 방식으로 토착화하는 방식이 결국 독립영화를 타자화(otherization)하는 데로 귀결되는 맥락을 제시하는 데에는 실패한 한계를 지닌다.

      • KCI등재

        접속하는 도시에 투영된 <접속>의 무의식적 욕망

        전우형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4

        This paper explores the unconscious desire of Korean society in 1980-90s projected in the project film Contact (1997). The movie Contact appears to be a sensational representation of the new rom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unfamiliar sense of Contact has been realized only through the aspect of the project film. Many of the producers in this film have a special common experience in June 1987, the Uprising. And the historical event is projected unconsciously in the nighttime city and PC communication, which are important visualized in this movie. Therefore, romance of Contact needs to be seen as a certain meeting of the 1980s, rather than being unique and heterogeneous in the 1990s. The romance movie Contact has a specificity of delay and absence of meeting which causes romance. This deviant meeting is both the present and the past of the protagonists. Delays and absences of the actual existence of Donghyeon and Suhyeon in their pasts continue to intervene in their present and delayed meeting. So the delay and absence of meeting in the movie is cyclical. The romance genre and lack of love feel, at least in this extremely tempered film, the original experience of meeting seems like an allegory of Korean society in 1987. It is recursive in that the meeting called the movie Contact is a performanc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ast and gaze on the present. The romance of the movie Contact is the chair for restoring, meeting and loving will again. So, why does Contact call the past while putting the best of life and culture at the foreground? The sensuous image of this film is generally realized through the night view of Seoul in 1997. However, the everyday currents shown by the film simultaneously illuminate the loss of present. After the uprising in June 1987, Korean society is marked by the infiltration of neo-liberalism and the acceleration of snobbish life. So the title of this movie ‘Connect’ means not only PC communication, but whole 1990s lifestyle. The film sensibly reproduced the delay and absence of the neo-liberalization of Korean society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This unconscious transcends the performance as a projected film in that it does not talk about the 1980s, but rather illuminates the 1980s and 1990s with a vision of continuity rather than a disconnect. 이 논문은 기획영화 <접속>(1997)에 투영된 1980-90년대 한국사회의 무의식적 욕망을 규명할 목적으로 씌었다. 영화 <접속>은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연애 풍속도를 감각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접속>의 낯선 감각이 이처럼 기획영화로서의 면모를 통해서만 오롯이 구현된 것인지는 의심스럽다. 이 영화의 기획 주체들 중 다수는 1987년 6월 항쟁이라는 특별한 공통 경험이 있다. 그리고 그 역사적 사건은 이 영화에서 중요한 화소가 되는 밤의 도시와 PC통신에 무의식적으로 투영되어 있다. 그래서 <접속>의 로맨스는 1990년대만의 독자적이고 이질적인 것이라기보다 1980년대의 어떤 만남이 현재화된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로맨스 영화 <접속>은 로맨스를 유발하는 만남이 지연되고 부재하는 특이성을 지닌다. 이 어긋나는 만남은 주인공들의 현재이면서 동시에 과거이기도 하다. 동현과 수현 각자의 과거에 실재했던 만남의 지연과 부재는 만남이 지연되고 부재하는 그들의 현재에 지속적으로 개입한다. 그래서 영화에서 만남의 지연과 부재는 순환적이다. 로맨스 장르이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이 부재, 적어도 극도로 절제된 이 영화에서 만남의 원체험은 1987년 한국사회의 알레고리처럼 보인다. 그리고 영화 <접속>이 호명한 만남은 과거를 성찰하고 현재를 응시하는 수행적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재귀적이다. 영화 <접속>의 로맨스는 다시 이야기하고, 만나고, 사랑하는 의지를 회복하기 위한 의장이다. 그렇다면 <접속>은 왜 첨단의 삶과 문화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과거를 호명하는가. 이 영화의 감각적인 이미지는 대체로 1997년 서울의 야경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나 영화가 보여주는 일상화된 현재는 현재의 상실을 동시에 조명한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의 침투와 속물적인 삶의 가속화로 점철된다. 그래서 이 영화의 제목 ‘접속’은 단지 PC통신만이 아닌 1990년대식 삶의 방식 전체를 의미한다. 이 영화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한국사회의 신자유주의화로 인한 사랑을 감각적으로 재현했다. 이 무의식이야말로 1980년대를 굳이 이야기하지 않으면서, 1980년대와 1990년대를 단절이 아닌 연속성의 시야로 조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획영화로서의 성과를 초월한다.

      • KCI등재

        1980-90년대 한국 독립영화의 전회-유령적 타자(Specter-others)와의 접속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오! 꿈의 나라>(1989)와 <파업전야>(1990)로부터 <접속> (1997)으로의 이동에 새겨있는 1980-90년대 한국 독립영화의 전회 양상을 살폈다. 서로 다른 이 두 영화 군(群)의 접속이 연대하여 싸우던 80년대식의 현재진행형일 가능성 여부에 대해 응답할 필요가 있다. 영화 <접속>은 PC통신에서 1980년대식 광장의 가능성을 읽어낸 장윤현의 아이디어에 명필름의 기획력이 더해져 제작된 영화이다. 사랑에 빠진 남녀 주인공의 만남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기존의 내러티브로부터 과감히 탈피했을 뿐만 아니라, 영화음악 사용료를 지불함으로써 합리적 제작과정의 첫 모델을 보여주었던 영화이다. 또한 할리우드영화의 스펙터클이나 기존 충무로의 멜로드라마 형식 대신에 아시아영화의 미학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한국영화에서 미적인 것의 재분배를 시도한 도발적인 영화이기도 하다. <오! 꿈의 나라>와 <파업전야>가 1980년대 독립영화의 상징적 사건이라면, <접속>은 1990년대 독립영화의 상징적 사건이다. 왜냐하면 1990년대 한국의 독립영화는 더 이상 주변에 머무르는 데 만족하지 않고 주류에 도전한다. 이때 주류란 개척해야 할 시장이라기보다 배척해야 할 충무로 권력에 가깝다. <접속>이 보여준 주도면밀한 기획력과 제작 및 배급 과정에서의 합리성, 그리고 젠더의 언어 실험 등은 1990년대식 영화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대기업 주도의 미디어 자본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다만 이 자본이란 구 자본과 권력이 엉겨 붙어 한국영화를 고사시키는 충무로 권력에 대항하는, 따라서 과거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미래의 기획을 가능하게 하는 성찰적 타자였음이 확인된다. 본격적인 상업영화 제작 방식으로 만들어진 <접속>이 1980년대 한국 독립영화 운동의 1990년대식 응답일 가능성은 일견 모순처럼 보이는 두 개의 벡터로부터 찾을 수 있다. 새로운 자본과의 결탁이 하나라면, 사회운동의 새로운 의제에 대한 실험과 재현 욕망이 반대편에 놓여있다 할 수 있다. 사실 이 두 개의 사건은 그간의 연구에서 1990년대 문화운동 내지 신사회 운동의 자유주의화에 관한 근거로 인용된 것이기는 하나 영화 <접속>은 이들을 통해 낡은 타자로부터의 해방 기획에 철저했다. 제작사 대표 심재명과 프로듀서 심보경의 존재는 대기업 미디어 자본의 합리성을 매개하면서 동시에 장윤현과 이은으로 대표되는 1980년대식 광장의 언어들을 전유하는 전복적 계기를 빚어낸다. 그들의 참여로 영화 <접속>은 젠더의 언어를 실험했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삶의 조건으로서 새로운 풍경의 광장에 접속했다.

      • KCI등재

        훼손과 분리의 영화 신체에 담긴 실험적 의미 : <바보들의 행진>의 검열 대응과 영상언어의 실험

        전우형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바보들의 행진>이 시도하고 있는 새로운 스타일이 1970년대 한국영화가 내재했던 간극을 문제시하고, 문자가 아닌 영상을 통해 새로운 세대감각을 표출하는 데에서 드러났음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 영화의 새로운 스타일이란 기존의 영화와는 다른 ‘훼손’되고 ‘분리’된 매끄럽지 않은 질감에서 찾을 수 있다. 1970년대 영화계의 가장 문제적인 장면은 국가의 과도한, 그리고 자의적인 간섭이었으며 이 영화는 검열로 훼손당한 영화의 신체를 직접 영화에 새겨넣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새로운 영화의 가능성을 실험에 옮긴다. 이 영화가 플라톤의 시인추방론 강의로 시작하여 가장 정점에서 칠판에 씐 ‘이상국가’에 낙서를 하는 장면을 선보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플라톤의 시인추방론이란 근대 이후 예술에 대한 국가의 검열로 정착했으며, 여기에 낙서를 덧입히는 장면은 분명 이 영화가 검열에 대한 일종의 저항의 기표로 읽히길 의도한 데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영화에 사용된 대칭을 이루는 카메라 워크는 기존의 문자가 전달하던 의미나 미학적 효과를 완벽하게 대체함으로써 영상세대의 시각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방법을 발견하게 된다. 이 영화는 대학생을 연기하는 신체와 대학생을 살아가는 현실적 신체가 분리된 채로 공존하며 서로 대칭을 이루는 독특한 이야기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이것을 단순히 내용으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클로즈업과 익스트림 롱 쇼트라는 카메라워크의 미학적 효과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영상세대의 새로운 감수성과 시각적 욕망을 충족시키기기 위한 실험을 선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 영화가 보여준 영화라는 새로운 신체는 ‘훼손당하고 분리된’ 그것이었다. 이전에는 기술의 낙후나 연출의 실패에 의해 우연적으로 등장했던 그것에 하길종은 실험적인 의미를 담아냈던 것이다. 아울러 이것은 1970년대 시대상황에서는 되도록 통일되고 화려하게 만들어져야 했을 영화에 대한 거리두기의 전략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영화가 보여준 대학생의 열정과 우울은 현실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이라거나, 현실의 틈과 균열을 완전하게 메우는 역할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하길종에게 영화는, 그리고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영화는 그것이 영화든 현실이든 내재하는 간극을 가시화하는 데에서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그 자체로 영화가 되어가는 하나의 과정이었다. Korean films have begun to serve as a new art form threatening literature rather than just commercial product in 1970s. In this period, Korean films did not just engage themselves in conveying the "stories" but conducting avant-garde experimentations with its texture through producing, camera work, editing, etc.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March of Fools(1975) directed by Kil-Jong, Ha problematizes "difference" immanent in 1970s Korean film and reveals a sense of new generation by resorting to film images rather than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the new style suggested by this film lies in its desecrated and dissociated textures. In the most problematic scenes of governmental censorship and intervention of this period, this film realized the potential of the genre by self-consciously carving its mutilated textures onto itself. This film substitutes unique camera works for the words especially in terms of its narrative function and aesthetic effects, speaking to the visual desire of film generation. Juxtaposing the body enacting an undergraduate and the actual living body of an undergraduate, for instance, the symmetrical camera works of this film maximize aesthetic effects through its close-ups and extreme long shots, not just conducting its narrative function.

      • KCI등재

        소리의 접촉지대로서 <영화시대>와 재현의 정치

        전우형 문학과영상학회 2019 문학과영상 Vol.20 No.3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ound rediscovered for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colonial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rough sound. The rediscovery of sound, which has become a trace organ in modern literature, comes from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that the process was not only a visual impairment in literature, but also a process of rediscovering sound from literature and reality as well as images. In the early 1930's, when the appreciation of Western talkie films was dominant, it was urgent to discover our words or sounds from literature to solve the problem of local specificities raised by talkie films. In this process, the film was focused on restoring and accumulating sound through the genres of vocal poetry, folk songs, poetry, and contemporary songs. This paper confirms this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papers in the early publishing of the Film Age, which emerged during the transition to talkie film. It was clearly close to a control over the tendency of modern literature to lose sound and a new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contact zone of literature, film, silent film and talkie film. If the restoration and accumulation of sound through pre modern and modern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sound as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the problem of writing and embodying sound in talkie films was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rough sound. What was noteworthy in the process of debate between pro and tendency film among socialist film discourses during this period was the question of what the film would say to the real public of colonial Korea. It was linked to this situation that the accumulation of sounds from literature in the early days of the Film Age and the imagination of sounds close to the screams of the masses were represented. The imagination of attempting to use the voice of the public as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wake of the emergence of talkie films carries out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that it was a desire for our film that we had never had in between the flood of Western cinema and Japanese control. 소리, 무성영화,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ound rediscovered for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colonial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rough sound. The rediscovery of sound, which has become a trace organ in modern literature, comes from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that the process was not only a visual impairment in literature, but also a process of rediscovering sound from literature and reality as well as images. In the early 1930's, when the appreciation of Western talkie films was dominant, it was urgent to discover our words or sounds from literature to solve the problem of local specificities raised by talkie films. In this process, the film was focused on restoring and accumulating sound through the genres of vocal poetry, folk songs, poetry, and contemporary songs. This paper confirms this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papers in the early publishing of the Film Age, which emerged during the transition to talkie film. It was clearly close to a control over the tendency of modern literature to lose sound and a new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contact zone of literature, film, silent film and talkie film. If the restoration and accumulation of sound through pre modern and modern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sound as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the problem of writing and embodying sound in talkie films was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rough sound. What was noteworthy in the process of debate between pro and tendency film among socialist film discourses during this period was the question of what the film would say to the real public of colonial Korea. It was linked to this situation that the accumulation of sounds from literature in the early days of the Film Age and the imagination of sounds close to the screams of the masses were represented. The imagination of attempting to use the voice of the public as the language of representation in the wake of the emergence of talkie films carries out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that it was a desire for our film that we had never had in between the flood of Western cinema and Japanese control. 발성영화, 접촉지대, 『영화시대』, 경향영화, 재현의 정치학

      • KCI등재
      • KCI등재

        1980년대와 한국영화사 담론의 접촉지대

        전우형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is article attempts to confirm a knot of the 1980s and to examine its resources and dynamics as a result of the emergence of new discourse about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is paper verified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independent film groups in the 1980s and the Removal of ban on the North Korean artists and their works as resourses, and the balance between the creation and criticism of Korean films and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film studies as dynamics. This paper is meaningful to discover various points of contact within and outside Korean cinema in the 1980s as another approach to the existing debate on this, which simplifies the emergence and influence of nation/people discourse. At the end of the journey from the anti-imperialism through the Third World Film Movement to the North Korean and Communist film theory in the 1980s, the independent film group's publication encounters the film movement of KAPF, however coincidentally, a separate interpretation is required. This, in turn, is the process of theorizing the historical resources of Korean independence films and expanding them into social movements by refracting the theoretical radicality of the discourse of nation, people, and democrac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orean film history, newly described as a product of contact zones, not only created knots in Korean film history, but also created a nodule in the boundaries between the disciplines. The incident then revealed that the history of the film, which is the subject of the masses in later film history, should be further reveal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disciplines of science and science should be further broken down, and above all, the people found in the contact zone at that time need to be further subdivided. It continues to raise. This is the current meaning of the knot of Korean film history that appeared in the 1980s. 이 글은 한국영화의 역사에 관한 사유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생긴 1980년대의 한 결절을 확인하고 그것의 자원 및 역학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 글은 1980년대 독립영화 그룹의 형성과 월북작가에 대한 해금(解禁)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주목하고 한국영화의 창작과 비평 사이의 균형감각과 탈분과학문적 영화연구를 그 동학의 한 예로 검증했다. 이 글은 새로운 한국영화사 담론과 관련한 기존의 논의가 민족/민중 담론의 출현과 그 영향으로 단순화되는 것에 대한 다른 접근으로서 1980년대 한국영화 안팎의 다양한 사회적 접촉지대를 발견하려는 데 의의가 있다. 1980년대 독립영화 그룹의 간행물들이 반제국주의로부터 제3세계 영화운동을 거쳐 북한 및 공산권의 영화이론에 이르는 여정의 끝에 카프의 영화운동과 만나는 지점은 아무리 우연일지라도 별도의 해석이 요구된다. 이는 결국 한국영화사에 대한 새로운 담론의 출현이 역사적 자원을 소환함으로써 1980년대 독립영화의 영화사적 위치를 발명하고 비평과 창작의 균형감각을 선취하는 것임과 동시에 당대 한국사회의 민족/민중 담론의 이론적 급진성을 내화함으로써 사회운동으로 확대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접촉지대의 산물로서 새로 서술된 한국영화사는 기존의 한국영화사에 결절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분과학문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 자체에도 하나의 결절을 만들어 냈다. 한국영화사 담론의 1980년대식 전회는 한국영화 및 영화사를 규정해왔던 낡은 경계와 위계를 탈구축하는 접촉지대의 산물이다. 그때의 그 사건은 이후의 영화사에서 민중이 주체가 되는 영화의 역사는 더 밝혀져야 하고, 분과학문 사이의 경계는 더 무너져야 하고, 무엇보다 그때의 접촉지대에서 발견한 민중은 더욱 세분화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것이 1980년대에 등장한 한국영화사에 관한 사유의 결절이 갖는 현재적 의미이다.

      • Automatic Level Nikon AP의 測定誤差에 關한 硏究

        全禹亨 안성산업대학교 1980 論文集 Vol.12 No.-

        A study of Measuring Errors of Automatic Level Nikon AP. Recently the uses of automatic level is popular because of its handy operation and its comparatively being of better func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ment error and the accuracy in the experiment with the automatic level Nikon AP. 1. The air bubble in the circular level has to be with in the blue circle on glass and at least touched internally to the line. 2. When the same leveling rod is measured and observed considerably long period, the collimation error is approximately of 4" resolving power of the telescope and proportional to the Collimation distance. 3. In case of common leveling once setting error is proportional to the collimation distance and the accurcy of the Automatic level compensator is 2-9". 4. The error of closure in leveling is getting smaller as the collimation distance is getting shorter. 5. If the collimation distance is within 60m, the error of closure is less than 10mm, with is the allowable limit of the second order leveling in Korea. 6. The level used in this experiment was belong to 3rd class.

      • KCI등재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과 표상으로서의 접경(Contact Zones)

        전우형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7

        이 글은 30년 남짓 기억의 억압 아래 놓여있는 사노맹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노맹에 관한 기록과 기억의 아카이빙을 통해 사노맹에 관한 기억의 새로운 순간을 만들고자 했다. 사노맹의 실체를 복원하기 위한 자원으로서 사노맹에 관한 오픈소스 외에 지난 2년 남짓 30여 명의 활동가들과 만나 작성한 면담 자료를 활용했다. 사노맹은 비합법 전위조직이면서 동시에 선전선동 사업을 통해 대중적 전위운동의 선두에 섰다. 이러한 위치는 1980년대 사회운동의 발전상태와 객관적 요구에 조응하기 위한 전략이었으며, 출범선언문 첫 문장에 등장하는 ‘붉은 악령’은 경계를 넘어 모든 곳을 노동계급 헤게모니의 현장으로 만드는 접촉지대로서의 위상으로 새롭게 읽힌다. 사노맹은 실패한 운동이지만, 선전선동 사업을 통해 현장을 접촉지대로 확장하고 다자적 주체의 출현을 기획했던 것만큼은 사회운동의 진화와 함께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합법화된 정치적 공간에 가득한 지체와는 다른 동력으로서 비합법 대중적 전위조직을 선취한 사노맹, 그리고 이후의 사노맹이란 퇴행하는 진보 정당정치 바깥에서 사회적 의제를 제안하고 투쟁의 현장을 만드는 다자적 공동체로 연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