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용훈 水原大學校 2020 論文集 Vol.34 No.-
Conservatism has diverse meanings just as all the other terminologies in social science have several, different meanings. The meaning of conservatism differs according to longitudinal settings as well as cross-sectional surroundings. Overall, conservatism is characterized to have two dimensions: the tradition and free society from the state on the one hand, liberalism and free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is the idea of the 19th century as an reaction against French Revolution, and the latter is the idea of the 20th century as an reaction against Soviet Revolution. Korea has undergone colonization er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o not much left to cherish for as far as political tradition goe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could achieve rapid economic growth under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tate, so liberalism and free market initiatives have not been so robust as other western counties. Korean conservatives seem to consider strong, rich country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they show sheer antipathy to communism and demand unshakable alliance with USA. But more and more people including young generation seem to disagree that individuals need to sacrifice for the state. Nor they have as much antipathy to communism as their ancestors. USA is no longer so close an alliance as in the cold war era. Here we can find the identity crisis of conservatives of Korea.
안전한 지역사회 공동체 치안 구축을 위한 경찰-자율방범대 협력방안
김용훈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법학논고 Vol.- No.80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the diversification of crime types is in full swing, and various new crimes are continuously appearing. This means that a more diverse response to crime is required, but the situation in which police personnel cannot be expanded indefinitely makes it more difficult to respond effectively to crime. As a result, interest in security governance has recently begun in earnest, which means that police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independent intentions cooperate to effectively achieve police purposes, that is, a form of implementing cooperative secur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areas. It is true that various discussions on cooperative security are being conducted in Korea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police power,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cussions is the autonomous crime prevention team. Moreove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elf-Defense Forces has recently been enacted and discussions are being held to promote its operation more effectively on the premise of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entities and police officers. However, the current law does not have many more practical regulations to more effectively induce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autonomous crime prevention units because it focuses on somewhat general and principled matters. However, the need for comparative legal discussions can be recognized in that the matter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rather than a matter of constitutional suitability, that is, an appropriate policy setting, and accordingly, the case of the UK, which maintains an active position in police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can be referred to. In particular, the UK embodies cooperative measures through the resource police officer system such as community support police officers and special police officers, especially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linking police work and main work,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operation is improved by dividing the function of resource police officers quite clearly. In addition, it also gives more practical motiva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payment of individual levels of incentives. Consider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crime prevention squad operated on the premise of voluntary particip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more active incentives like the UK. 사회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범죄유형의 다양화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각종 다양한 신종 범죄 약시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이는 범죄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대응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경찰 인력을 무한정 확장할 수 없는 상황은 범죄에 대한 실효적인 대응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 치안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고 있는데 이는 경찰목적의 실효적인 달성을 위하여 상호 독립적인 의사를 보유하는 경찰과 사적 단체가 협조하는 형식, 즉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 간 협력치안을 구현하는 하나의 형식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역시 경찰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협력치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 그 중 대표적인 논의 중 하나가 바로 자율방범대이다. 더욱이 최근 「자율방범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올해 발효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사적인 실체와 경찰 간 협업의 가능성을 전제로 이의 운영을 보다 실효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현 법률에서는 다소 일반적이고 원칙적인 사항에 집중한 나머지 경찰과 자율방범대 간 협력을 보다 실효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보다 실제적인 규정을 많이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다만 당해 사항은 헌법적합성의 문제라기보다는 입법정책의 문제, 즉 적정한 정책 설정의 문제라는 점에서 비교법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민간과의 경찰협력에 적극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영국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영국은 공동체지원경찰관과 특별경찰관 등의 자원경찰관제도를 통하여 협력치안을 구체화하고 있는데 특히 경찰업무와 본업과의 연계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경찰관의 기능을 상당히 명확하게 나누어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수준의 인센티브의 지급을 통하여 보다 실제적인 참여 동기를 부여하고 있기도 하다.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운영되는 자율방범대의 본래적 특징을 고려한다면 영국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복지의 구현을 위한 정책적 함의 ― 노르웨이의 교육 복지 관련 법제도적 특징을 참고하여 ―
김용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Many states adopt and implement the policy and legislation concerning with th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ow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or the sak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urthermore as the state became a social law-abiding country, it is obligation for states to boost the policy relating to education in the name of “Education Welfare.”However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there are a great deal of forms of education welfare to realize the concerned policy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nd the policy demands the finance to some extent, it is difficult to define what desirable or optimal extent of education welfare is. Therefor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adopts the principle of “minimum protection”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social right in order to admit the broad discretion to legislate by law-makers. However, a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evel of welfare with the advance of a social law-abiding country, so it is obligation of states to boost the level of education welfare accordingly. And we can refer to various education welfare policies of other states. In other words, we also need to discuss this education welfare in order to secure our own education welfare. In particular, we are able to refer to the experience, policy and legislation of Norway concerning with the education welfare, due to the fact that Norway is said to be successful in implement the policy concerned the education welfare. 교육의 중요성에 따라 각 국가들은 자신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나름의 교육정책을 도입․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법치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교육정책은 보다 적극적인 형식을 취하게 되었고 이는 ‘교육복지’라는 형태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되게 되기에 이른다. 하지만 복지 정책의 경우 그 유형과 실현 형태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재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교육복지와 관련된 정책 수준을 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헌법재판소가 사회복지 정책 관련 법안을 심사하는 데에 있어 ‘과소금지의 원칙’을 채용하는 등 입법자의 입법형성권을 상당히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는 것은 그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법치국가의 도래 이후 복지의 수준이 고양됨에 따라 교육 복지의 수준 역시 제고될 필요성을 부인할 수는 없는 것이고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교육복지 관련 정책을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 정책에 대한 관심이 급기야 교육복지 정책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고 있는 우리의 경우에도 당해 사항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부인할 수는 없다. 특히 복지 정책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노르웨이의 교육복지 정책과 관련한 경험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LIB 습식분리막 열손상에 따른 발화위험성에 관한 연구
김용훈,이종두,진원철,장혜진 한국화재감식학회 2022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13 No.2
LIB-related fir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Among the LIB components, the separation membrane is the most important key material for stabilit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ost at the scene of a fire and cannot confirm its shape. Accordingly, fire statistics and cases were analyzed, and the experimental outline wa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wet separation membrane, which is the most used as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s for the experimental method, we conducted a study on the shrinkage rate and tensile strength of the wet separator according to thermal damage for each temperature change with five experimental variables using the wet separa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components, as a sample. Through this, the change in shrinkage rat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t separator were derived to understand the fire of lithium-ion batteries caused by damage to the wet separator and to contribute to the fire investigation analysis technique.
김용훈,이환성 한국정부학회 2010 한국행정논집 Vol.22 No.3
지방자치단체의 민간위탁이 확산되는 것과 함께 민간위탁의 성과에 관한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어떤 조건 하에서 민간위탁의 성과가 높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논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은 서울시의 시설위탁인데, 시설위탁은 사무위탁이나 수익형 위탁, 단순용역 등 다른 유형의 위탁과는 달리 재정적인 효율성 증가도 주된 목적의 하나이겠지만 공공서비스의 효율적 제공에 더 큰 주안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탁기관의 특성이 공 공서비스 제공의 양과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탁기관의 규모변수를 통제한 가운데, 재무구조와 인력구조, 그리고 계약방식에 따라 민간위탁의 성과가 어떻게 차별화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탁기관의 특성과 민간위탁의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쟁은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민간위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으므로, 무조건적으로 경쟁을 도입·확산시키기 보다는 기존 수탁기관이 충분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전제라면 재계약이 오히려 더 좋은 대안일 수 있다. 재계약은 기존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내실 있는 모니터링이 동반되어야 한다. 둘째, 재정자립도는 서비스의 양과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므로, 수탁기관을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수탁기관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그러므로 성과가 높은 수탁기관에 대한 보조금 확대가 다른 정책수단에 비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셋째, 직업안정성이나 인력의 전문성과 같은 조직특성은 민간위탁의 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부는 수탁기관의 내부 운영에 관하여 지나친 간섭을 지양하고 수탁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과태료 집행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전략 ― 북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험을 참고하여 ―
김용훈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7 No.3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the administrative penalty is imposed as sanctions other than criminal punishment because it is the sanction for breach of duty in the administrative law, and therefore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are not applied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penalty. At this point, the dilemma of imposition and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enalty can be seen. In other words, since the act imposed an administrative penalty by an authority is a simple violation of duty, the level of disadvantage imposed on it also needs to be correspond to it. That is why it is not easy to try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es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enalty. Furthermore for the same reason,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administrative penalty to administrative punishment as well. However, as we can not deny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penalty and the concerned enforcement, we are required to consider how to invent the system to levy the administrative penalty effectively. To this end, we are able to confer to the UK’s experience. In actually, the UK actively makes use of policy and system to levy the administrative penalty effectively using car seizure procedures. In other words, the officer called FEO and the contractor play a significant role in directly enforcing the seizure procedure against the defaulter and they are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the enforcement procedure through emotional pressure and the concerned procedures such as car seize and settlement etc. Of course, the procedure is considerably sophisticated, and the parties are given rights to ensure, there are various rights for the sake of the concerned persons such as a right to appeal. Taking the fact into consideration that we have an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we are able to apply the concerned system of UK such as car seize and settlement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 of the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enalty throughout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과태료는 행정법적 수준에서의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 특히 대표적인 행정질서벌이다. 특히 이는 형벌 외의 제재로 구분되기 때문에 형법총칙과 형사소송법 등 형벌에 적용되는 법규의 적용으로부터 자유로운 제재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위반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행정법규 위반행위에 대하여 당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 또한 어렵지 않게 상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문제는 당해 지점에서 과태료 집행에 있어서의 딜레마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과태료를 부과하는 대상행위의 행정법규 위반 정도가 심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에 대한 규제의 수준 역시 과중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과태료의 집행 수준 역시 실제로 과중하게 설정하는 것에는 상당한 부담이 존재하는 것이다. 과태료 징수의 효과적인 집행을 위하여 과태료 액수의 상향을 고려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행정질서벌로서의 과태료를 행정형벌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비범죄화를 위한 노력이 보편적으로 경주되고 있는 것을 상기하면 당해 방안의 실효성 역시 장담할 수만은 없다. 결국 간접적 행정질서에 위해를 가하는 행위에 가하는 과태료 제도의 존재 의의를 부인할 수 없다면 당해 과태료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특히 이의 징수율을 확보하는 방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태료 제도의 실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태료 집행의 실효성 제고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영국은 이를 위하여 차량 압류 절차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즉 FEO라고 불리는 집행관과 contractor라고 불리는 담당관은 과태료 미납자에 대하여 압류명령을 직접적으로 집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당해 절차를 통하여 종국적으로 미납된 과태료를 충당하여 과태료본래의 목적으로 어렵지 않게 달성하고 있다. 물론 당해 절차는 상당 정도 면밀하게 도모되고 있으며 각 단계별로 당사자에게 이의신청 기회를 주는 등 당사자의 권리 보장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우리 역시 과태료 징수율의 제고에 난항을 겪고 있어서 과태료 제도의 제도적 의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태료 징수 혹은 집행절차의 개선이 도모되어야 한다. 특히 경미한 법위반에 대하여 부괴되는 과태료의 제도적 의의를 고려한다면 자동차 압류 절차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상당하며 특히 우리는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을 통하여 과태료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도모되고 있다는 점에서 당해 법률에 관련 사항을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