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에서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iral nervous necrosis

        김진도,김석렬,정성주,김영진,정태성,최태진,박성우,오명주 한국어병학회 2001 한국어병학회지 Vol.14 No.2

        1999년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남해안 일대의 홍민어 종묘 생산장에서 20~30열령의 치어가 척추만곡 및 이상유영을 하며 대량 폐사하였다. 병어는 특이 외부 증상이 없었고, 높은 누적폐사량이 바이러스 질병으로 의심되어, 조직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인 검사를 행하여 폐사원인을 확인하였다. 폐사개체의 조직을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뇌와 안구의 신경세포에서 공포와 괴사가 관찰되었고,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안구와 뇌에서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결과에서는 ≒426 bp의 DNA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홍민어에서 발생한 대량폐사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VNN)으로 진단되었다. Mass mortalities occurred among red drum lavae, 20 to 30 days old, culturing at hatcheries on southern costal area. No specific external signs were observed except abnormal swimming and spinal deformity. It was, however, suspected as a viral etiology due to high mass mortalities so that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gent. Both vacuoles and necrosis were observed on nerve cells of brain and eye by H-E staining, and viral particles were observed on electronmicroscopic examination. On the other hand, DNA fragment, approximately 426 bps, was amplified with RT-PCR. The above results were able to diagnosis the etiological agent of mass moralities in red drum larvae as VNN(viral nervous necrosis)virus.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유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

        석탄회를 이용한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효율성 평가

        오세진(Se-Jin Oh),김성철(Sung-Chul Kim),고주인(Ju-In Ko),이진수(Jin-Soo Lee),양재의(Jae E. Y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석탄 광산에 적치된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를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석탄폐석에 석탄회를 적용하여 컬럼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pH는 비산재와 바닥재가 각각 11.1, 9.7의 강알칼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강산성 조건의 폐석 (pH 3.5)를 교정하였으며 유기물을 비롯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인 인산, 칼슘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석과 혼합할 경우 비옥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폐석만을 충진한 컬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pH는 3.5~4.0의 수준을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석탄회의 처리량에 따라 40% (pH 5.0~6.0) 〉 20% (pH 4.5)로 나타나고, 동일 처리량 (40%)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율성은 완전혼합 (pH& & 5.0~6.0) 방법이 층위처리 (pH 4.0~4.5)에 비해 pH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침출수의 Ca과 Mg의 함량은 4 pore volume까지 빠르게 용탈되다 그 이후부터 안정화 되었으며 석탄회에서 용탈된 Ca과 Mg의 영향으로 폐석에 함유되었던 Cu, Pb, As, 및 Al 등이 탄산이온 (CO₃<SUP>2-</SUP>) 또는 수산화이온 (OH-)과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여 안정화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철의 용존함유량에 대한 분석결과 석탄회 처리구의 용존량이 석탄회를 40% 층위처리한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약 8-7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5) 석탄회를 이용한 폐석의 중화 및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폐석의 중화 효율성은 석탄회를 40% 완전혼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은 석탄회를 20% 완전혼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석탄회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폐석을 처리할 경우 약 20-40%의 석탄회를 처리해야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coal combustion ash (CCA) was evaluated for its stabilization effect on acidic mine waste with column experiment.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installed depending on mixing ratio between coal wastes and CCA (0, 20, 40%) and mixing method (completely mixing and layered). Artificial acidic rain (pH 5.6) was used for feeding solution with flow rate of 0.05 mL min<SUP>-1</SUP>. Result showed that higher pH of leachate was observed as more CCA was mixed. The highest pH in leachate was measured when 40% of CCA was mixed with coal waste (pH of 5.8). Also, complete mixing with CCA and coal waste wa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pH of leachate than layered treatment. Regarding the reduction of soluble Fe amount, the highest efficiency (78%) was observed when 20% of coal ash was completely mixed with mine waste. Based on those result, optimum mixing ratio of coal ash with mine waste can be ranged 20-40% depending on environmental circumstances in the field.

      • KCI등재

        제주도 지하수 질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장기(1993-2015) 모니터링 자료의 평가

        김호림(Ho-Rim Kim),오준섭(Junseop Oh),도현권(Hyun-Kwon Do),이경진(Kyung-Jin Lee),현익현(Ik-Hyun Hyun),오상실(Sang-Sil Oh),감상규(Sang-Kyu Kam),윤성택(Seong-Taek 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1

        1993년부터 2015년까지 관측된 제주도 지하수 장기모니터링 관측정(N = 4,835)에서 수집된 지하수 수질자료(N = 21,568)를 기반으로 질산성질소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의 중앙값은 2.5 mg/L로서 다른 국가나 대륙의 조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용도, 행정구역 및 고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산간 지역에 비해 저지대 해안가에 위치한 농업 및 주거지역에서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Mann-Kendall 및 Sen’s slope 분석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농도의 추세 분석 결과, 하류 저지 대에 비해 중산간지역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제주도 내 토지 피복의 시계열 변화 특성과 결부 지어 보면, 중산간지역의 오염 증가 추세는 농업지역의 확장 등 인위적 활동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기지정된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지하수 관리 측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관리를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한다.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y an analysis of time series groundwater quality data (N = 21,568) that were collected from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umber of wells = 4,835) for up to 20 years between 1993 and 2015. The median concentration of NO 3 -N is 2.5 mg/L,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from regional surveys in other countries.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wells tend to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different water usage (of the well),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ic elevations: nitrate level is higher in low-lying agricultural and residential areas than those in high mountainous areas. The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analysis show that nitrate concentration in mid-mountainous areas tends to increase, possibly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areas toward highland. On the other h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pecially Designated Ground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show the temporally decreasing trend, which implies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management actions in Jeju. Proper measures for sustainable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KCI등재

        모 제약회사 근로자들의 직업성 천식 유병률과 약제 분말 노출수준

        오성수,최용휴,김은아,이영목,장재길,유장진,박승현,김태균,정수영,김규상,강성규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제약회사에서 직업상 천식의 유병 규모를 파악하고 작업공정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통해 제약회사의 약제 분말에 대한 노출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약회사에서 약제 분말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천식을 선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및 진찰, 혈액검사, 폐기능 검사 그리고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각 부서별 공정에 따라서 총분진과 항생제 또는 효소제 분말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하였다. 직업상 천식이 의심되는 근로자에 대하여 기관지과민성에 대한 검사(메타콜린을 이용한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와 약제 분말 기관지유발시험을 실시하여 확진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및 진찰에서 작업 관련 천식 증상이 있는 근로자는 11명(34.4%)이었고, 약제 분말을 이용한 피부단자시험에서 1+ 이상 반응을 보인 근로자 10명(31.2%)이었다.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 결과 8명(25.0%)이 양성(PC20 ≤16 mg/ml)이었다. 약제 분말 기관지유발시험을 통해 직업상 천식으로 확진된 근로자는 5명(15.6%)이었다. 작업환경 측정에서 원료를 충진하거나 투입하는 작업 그리고 정립작업에서 약제 분말에 대한 노출이 많았다. 결론: 제약회사에서 직업상 천식은 주로 제조공정 중 약제 분말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발생하여, 증상 및 직업성 천식의 유병률이 높았다. 따라서 원료를 충진 또는 투입하는 작업과 정립작업 등 제조과적에서 약제 분말 노출을 줄이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여, 약제 분말을 취급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천식 증상 조사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피부단자시험,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 등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fter the investigation of one worker with occupational asthma, we surveyed the preva- lence of occupational asthma and the exposure level of pharmaceutical dust of 32 workers in a pharmaceutical company. Methods: Thirty-two of the 90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consisted of questionnaire, blood sampling, spirometry and skin prick tests with 8 common allergens as well as 9 antibiotics and 2 enzymes. Various indic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were also measured. Subjects who had a symptom suggestive of work-related asthma or positive skin prick test were further investigated by PC20 methacholine. Nine subjects who had a PC20 result of 16 mg/ml or less (n=7) or had work-related symptoms and positive skin prick test (n=2) were referred to undergo a specific bronchial provocation test to phar- maceutical dust in an academic allergic disease center. Results: Eleven of 32 workers (34.4%) had a work-related symptom suggestive of occupational asthma. Ten (31.2%) showed positive skin prick test. 8 (25.0%) had a PC20 result of 16 mg/ml or less (indicative of significan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5 (15.6%) had a positive result on the specific bronchial provocation test. Exposure levels of stuffing, input of raw materials and screening process were relatively high. Conclusions: This survey showed that pharmaceutical workers have an increased risk of occupational asthma. Although pharmaceutical factories maintain a relatively good working environment, careful control of respiratory tract exposures, especially during stuffing, input or raw materials and screening process, is important to prevent occupational asthma. Pharmaceutical workers need to undergo regular skin prick and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s, as well as asthmatic symptom survey, to ensure the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occupational asthma.

      • 비글개에서 신원방우황청심원의 급성 및 아급성독성시험

        성하정,권오경,방명주,곽형일,이진영,신대희,박대규,정규혁,윤효인,조명행 성균관대학교 약학연구소 1998 成均藥硏論文集 Vol.10 No.1

        Single and 4 weeks oral administration of New wonbangwoohwangchungsimwon (NSCH) which was used l-muscone as substitutive material of musk, to beagle dogs of both sex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both acute and subacute toxicity. Beagle dogs (3 males and 3 females) in acute experimen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sinlge dose of 2,000 ㎎/㎏ and groups of 9 male and 9 female beagle dogs in subacute experiments were given daily different dosage of NSCH, 160 ㎎/㎏/day (low dosage group), 400 ㎎/㎏/day (middle dosage group), 1,000 ㎎/㎏/day (high dosage group) once a day for 4 weeks by oral route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gul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6. 4. 16). LD_50 value for beagle dogs was more than 2,000 ㎎/㎏ per oral for both male and females. In animals administered with NSCH, there were neither dead animals nor significant changes of body weights.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 sign, urinalysis, eye examination, hematology, serum chemistry, organ weight and other fingings. No histological lesions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bove data strongly suggset that NSCH in beagle dogs is considered to be safe.

      • 한개의 산소다리를 가진 몰리브덴(V)착물의 산소고리화반응(I). : 아세톤 수용매에서 용매물과 〔Mo_2O_3(bipy)_2(NCS)_4〕의 반응 Reaction of 〔Mo_2O_3(bipy)_2(NCS)_4〕 with Solvent Water in Aqueous Acetone Mixture

        吳相牛,權鎭基,金昌洙 慶北大學校 物理化學硏究所 1986 硏究論文集 Vol.7 No.-

        아세톤수용액에서 한개의 산소가 다리로된 이핵몰리브덴(V)착물인 〔Mo_2O_3(bipy)_2(NCS)_4〕는 이옥소다리이핵몰리브덴(V)착물인 〔Mo_2O_4(bipy)_2(NCS)_2〕를 생성한다. 〔Mo_2O_3(bipy)_2(NCS)_4〕에서 〔Mo_2O_4(bipy)_2(NCS)_2〕로 바꾸어 지는 속도는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용매 물과 이옥소다리이핵몰리브덴(V)착물의 생성속도는 속도법칙, 속도=k〔Mo_2O_3(bipy)_2(NCS)_4〕〔H_2O〕에 따른다. 이옥소다리착물의 생성반응메카니즘에 대해서 논의된다. 관찰된 음의 활성화부피는 착물이용매분자를 전이상태에서 강하게 당길 것으로 보인다. Monoxo-bridged binuclear molybdenum(V) complex, 〔Mo_2O_3(bipy)_2(NCS)_4〕 in aqueous acetone mixture produces the corresponding dioxo-bridged binuclear molybdenum(V) complex, 〔Mo_2O_4(bipy)_2(NCS)_2〕. The rate of conversion of 〔Mo_2O_3(bipy)_2(NCS)_4〕to 〔Mo_2O_4(bipy)_2(NCS)_2〕 has been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 rate of formation of dioxobridged binuclear molybdenum(V) complexes with solvent water follows the rate law, rate=k〔Mo_2O_3(bipy)_2(NCS)_4〕〔H_2O〕. The reaction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dioxo-bridged complex is discussed. The observed negative volume of activation shows that the complex is strongly attracted to the solvent molecules at transition state.

      • P-Toluenesulfonanilide의 공간군 결정

        오인근,김창진,서일환,조성일 충남대학교 1985 忠南科學硏究誌 Vol.12 No.2

        The space group os p-toluenesulfonanlide, C_13 H_13 NO_2S, has been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photographic data collected three-dimensionally using Weissenberg and precession methods with Cu Kα radiation (λ=1.5418 Å). The crystal data are monoclinic, space group p 1 2_1/n 1 with cell dimensions a=15.369±0.423Å, b=9.806±0.009Å, c=8.99±0.03Å, β=98.53±0.18°and z=4. The precise a and b parameters were obtained by finding a proper extrapolation function and using the least-squares refinement of eight 2θ values measured on (hk0) and (h0ℓ) Weissenberg photographs, and because of insufficient number of diffraction-spots along the c^* axis the c parameter and the β angle were measured from oscillation and Weissenberg photographs respectively. Four molecules in a unit cell appear to be related by screw diads parallel to the b axis and n-glide planes perpendicular to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