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에 따른 폭발저항 성능

        이진영,김단비,원천봉,윤영수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2

        In this study, standoff detonation tests and static beam tests on 160×290×2200 mm RC beam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l damages caused by blast load on the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index. Seven specimens were manufactured with variables of shear reinforcement ratio and rebar spacing. New-emulite150, emersion explosive with TNT equivalent of 1.01, was used in blast test. Local damages of specimen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crater, spall diameters and weight loss. In addition,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index were measured by conducting the static beam tests on the damaged and undamaged specimens. In these test results, decreasing rebar spacing is the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blast resistance when the shear reinforcement ratio is fixed. 본 연구에서는 근접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RC보의 휨 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 방법에 따른 폭발 저항성능 향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60×290×2200 mm의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하여 폭발실험과 정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체는 전단철근량과배근 간격을 변수로 하여 총 7본 제작하였다. 폭발실험은 TNT 등가 계수가 1.01인 에멀젼 폭약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시험체의crater, spall 지름과 무게손실(weight loss)을 측정하여 시험체의 국부손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폭발하중을 받아 국부손상이 발생한 시험체와 손상을 입지 않은 시험체의 정하중 휨실험을 수행하여 휨강도 및 연성지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전단철근량이 동일할 때 전단 철근의 배근 간격을 작게하는 것이 폭발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범임을 알 수 있었다.

      • 특정 소득취약계층의 소득구조 실태와 정책적 함의1)

        이진영 한국경제연구원 2014 KERI Brief Vol.14 No.16

        본 보고서는 소득취약가구(가구의 경상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20% 미만에 해당하는 가구) 중 노인가구·모자가구·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해당 가구의 특징 및 소득구조 분석을 통해 이들 가구를 위한 정부 지원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분석 결과, 소득취약 노인가구·1인가구의 특징은 가구주의 여성화 및 고령화, 가구주의 96%가 고졸 이하 학력자, 20%대의 낮은 취업률, 이전소득 의존적 생계로 나타났고, 소득취약 모자가구의 특징은 가구주의 고령화, 모의 70%가 고졸 이하 학력자, 변동성 심한 취업률, 근로소득 의존적 생계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 정부정책에 대한 보완점을 제시하면, 소득취약 모자가구 및 한부모가구를 위한 정책대상의 확대 및 정책 홍보, 모자가구 및 한부모가구의 가구주를 위한 일자리 정책 마련, 독거노인을 위한 현금급여 지원 정책 강화 및 노인가구를 위한 일자리사업의 재편 등을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아세안(ASEAN) 개발격차 완화를 위한 역내외 정책분석: 자원의존이론을 중심으로

        이진영,문경연,김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3

        This study focuses of ASEAN’s efforts to overcome the development gap among the member states, and the role of the external partner countries in the process. It critically examines both how ASEAN and member states’ policies address the regional development gap, and the policy dimensions of ASEAN cooperation with external countries. These research questions highlight policy aspects of ASEAN and its member states’ efforts to overcome internal development gaps as well as how the 3Ps (People, Prosperity, Peace) of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are engaged in efforts to ease the situation. In our analysis here, Resource Dependency Theory (RDT) is used a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policies of ASEAN, individual member states, and external countries. In addition to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ur methodology for this also includ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organizational actors. Our work reveals that ASEAN has developed and introduced a number of programs to address the development gap between member states, but that the success of these measures can be significantly enhanced through close and continuous cooperation with external countries. Our study thus concludes with the recommendation that the ROK should adopt policies that clearly complement those of ASEAN on this issue, and that meet the development needs of particular member states. 본 연구는 아세안 회원국 간 경제 발전의 정도가 다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아세안 차원의 노력과 역외 국가의 역할에 주목한다. 연구의 핵심 질문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아세안 개발격차(development gap) 완화를 위한 아세안과 아세안 개별회원국의 정책과 분야는 어떻게 설정되고 초점이 무엇인지, 둘째, 아세안 역외 국가와의 협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질문은 아세안 내에서 개발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아세안과 회원국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신남방정책의 3Ps, 사람 공동체(People), 상생번영 공동체(Prosperity), 평화 공동체(Peace)가 아세안 개발격차 완화를 위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질문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이론 중 하나인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e theory)을 차용하여, 아세안, 아세안 회원국, 역외국가 간의 주요 논의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더불어 현지 기관 관계자 인터뷰를 병행한다. 분석 결과, 아세안은 회원국 간 개발격차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도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역외 국가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 연구는한국 역시 아세안과의 지속적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아세안 개발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2 Listeners’ Task Dependent Metacognitive Awareness and L2 Listening Comprehension

        이진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2 listeners’ metacognitive awareness depending on various task demands and conditions, and L2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Metacognitive awareness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ccount for L2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Previous research has pointed at research as well as pedagogical needs for exploring how metacognitive awareness and its sub-factors are related to task variables, and ultimately to L2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two major task factors the study probes are the modes of delivery (audio and audiovisual) and aural text interactiveness (news and film) A total of 62 tertiary-leve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sources included a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Metacognitive Awareness Listening Questionnaire (MALQ) for both overall and task-specific task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metacognitive awareness and its dimensions served as predictive powers for L2 listening performance. It was also suggested that task variables such as text genres and delivery modes influence the predictive power of learners metacognitive awareness for L2 listening. Research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

        이진영 한국경제연구원 2016 KERI Insight Vol.16 No.21

        본 연구는 KLIPS 1차-17차 자료에서 추출한 부자쌍(父子雙)을 이용하여 학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세대별로 비교하고 자녀의 학력이 부자(父子) 간 소득계층 상향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아버지의 소득계층을 상위 50% 와 하위 50%로 구분한 뒤 자녀의 학력이 부자 간 소득계층 상향이동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 50% 표본에서는 자녀가 대졸자이면 고졸자에 비해 부자 간 소득계층 상승 확률이 19-3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위 50% 표본에서는 그 확률이 4-7%로 크게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대졸학력이 부자 간 소득계층 상승확률에 미치는 양(+)의 효과가 아버지의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소득이동성 제고는 소득불균등이 야기하는 사회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소득분배 정책 수립 시 중요한 목표로 고려되어야 한다. 공교육 정상화, 성과주의 임금체계로의 전환 등을 통해 능력 중심의 사회를 위한 환경 조성에 힘 써 소득이동성 제고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