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 No.2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1995년 교육개혁이 진행되면서 현행교육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채, 아직도 우리의 교육현장은 실험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검토,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먼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조건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마지막을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요청이기도 하며,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목적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이론과 시행과정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same goal as that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o fost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enabling them to choose curricula and cours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occurring sinc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1995.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uch a curriculum although it has already become a popular approach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W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pplied at the classroom level without any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school becomes an experimental lab, and the students become guinea pigs. Therefore, it is necessit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actively debate its appropriaten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t uses and to find a rational for accept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order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 in Korea. Next,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necessary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range of this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our current era seeks. However, in order to make adequate use of this approach we need first to investigate how well this approach works in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학교 교육을 위한 예술기반(Arts-Based)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 연구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예술을 통한 교육’의 관점 및 그 역할은 전인적 인격의 형성 이나 바르고 아름다운 인간적 품성을 넘어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역량을 기르는 것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다. 학자들이 제시한 뇌기반 학습 (brain-based learning)의 원리들을 살펴보면 예술 활동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 하라는 내용이 발견된다. 뇌 과학 연구자들이 지지하는 예술기반 교육은 학교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 안에서 비예술 교과수업에 예술을 활용하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던 교수· 학습 이론 및 방법이 뇌 과학과 예술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이 예술기반 교육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여 비예술 교과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 였다.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비예술 교과의 학업성 취를 높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잠재된 상상력과 창의성을 예술의 힘으로 이끌어내는 데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교육의 역할이 예술교육을 통해 실현되 기를 기대한다면, 양질의 예술교육과 예술기반 교육의 실천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s we enter the 21 st century, the perspective and role of ‘Education through Art’ is expanding beyond the formation or application of a holistic personality and beautiful human character to developing not only individual capacity,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apacity. Looking into the principles of brain-based learning presented by scholars, content suggesting arts activities to be actively used in education is discovered. Arts-based education, supported by brain science researchers,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utilize arts in non-art subjects within school education. For this, it was recogn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psychology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brain science and arts. Seek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required in the future to be arts-based education, five principles of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re applicable to non-art fields of study are suggested. The ultimate purpose of studying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not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of non-art subjects, but to bring out learners’ potenti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power of arts. If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of education needed for future society be achieved through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arts-based specialty and arts education of high quality.

      • KCI등재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환류 핵심이슈 도출

        송연옥(Yeonok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환류 핵심 이슈를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최근 10년(2014년~2023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논문 총 117건을 대상으로, 서론 및 결론 내용 발췌-키워드 정제-TF 및 TF-IDF를 통한 주요 키워드 산출-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키워드 간 연결 관계 파악-CONCOR 분석을 통한 공출현 키워드 간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1) 비교과 교육과정 환류 핵심 키워드 출현 빈도 상위 10위는 ‘글쓰기-학습공동체-핵심역량-학업성취도-튜터링-대학 생활-온라인-자기주도학습-사고력-협력’ 순으로 나타났다. (2) 의미연결망 분석에서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 상위 5위는 ‘학습공동체-학업성취도-대학생활-튜터링-협력’이, 근접 중심성은 ‘협력-창의력-문제해결-진로-학습공동체’가, 위세 중심성은 ‘학습공동체-학업성취도-협력-자기주도학습-튜터링’이, 매개 중심성은 ‘협력-창의력-문제해결-진로-학습공동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주요 키워드의 CONCOR 분석을 시행한 결과 ‘요구 및 성과관리’, ‘제도개선’, ‘내용 및 방법 개선’, ‘환경변화에의 대응’ 등 4개의 클러스터로 분류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 관련 IR의 실효성 제고, 둘째, 예비 편입생 발굴 및 지원 전략 마련,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를 위한 관리체계 점검, 마지막으로, 정책의 연속성 및 일관성 확보 노력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key issues related to feedback in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level and suggest directions for system improvements. Methods Therefore, the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udy encompassed 117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2014-2023). Details of each Introduction and Conclusion were extracted, keywords were refine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through TF or TF-IDF. Additionally,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nnections between keywords. A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associations between cooccurring keywords. The results were also visualized. Results First, the top 10 most frequent feedback-related core keywords in non-credit extracurricular programs follow: writing, learning community, core competencies, academic achievement,tutoring, university life,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thinking skills, and collaboration. Second, the top fiv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learning community-academic achievement-university life-tutoring-collaboration. The top five keywords with closeness centrality were collaboration-creativity-problem solving-career-learning community. The top five keywords with eigenvector centrality were learning community-academic achievement-collaboration-self-directed learning-tutoring. The top five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ollaboration-creativity-problem-solving-career-learning community.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of the main keywords, the following four clusters were found: demand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content and method improvement, and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measures are emphasized: (1) the higher effectiveness of IR related to non-credit extracurricular programs, (2) the preparation of strategies to identify and support prospective transfer students, (3) the examination of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non-credit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4) efforts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policies.

      • KCI등재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희진(Han He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 503편 중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152편의 논문이다.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152편의 논문을 분석기준 틀에 맞추어 정리하였다. 정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빈도분석, 백분율분석, 교차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는 2019년(51편)에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발행학회지별로 살펴보면, 교양교육연구가 26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가 16편이 발행되었다. 두 번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분석대상 논문 152편 중에서 양적연구가 80편, 질적연구가 60편 그리고 혼합연구가 12편이 수행되었다. 세 번째로 연구대상 논문주제를 탐색한 결과를 제시하면,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시스템(77편), 소양교육(61편), 학습역량교육(53편)과 같은 주제가 상대적으로 다른 주제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비교과 교육과정, 학습공동체 등의 단어가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Korean universities. Subject of study included 152 studie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study among 503 published studies between 2010 and 2019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152 studies selected for final analysi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Based on organized data,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alysis, cross analysis, and word cloud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studies relate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were published the most in 2019 (51 studies). In terms of published journal, 26 wer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and 16 wer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Second, in term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by study method, 80 out of 152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y, 60 were qualitative study, and 12 were mixed methods study. Third, in terms of the topic of the study, studies were conducted relatively more on extracurricular activity operation system (77 studies), refinement education (61 studies), and academic competency education (53 studies) compared to other topics. Lastly, in terms of word cloud analysis, words such as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learning community were related to extracurricular activity. Based on su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follow-up studies regard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 KCI등재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 및 개선 방향 탐색

        조현희(Hyunhe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논문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 과정이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평등하고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정이 정의롭고 평등한 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원리임을 설명하였다. 둘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11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논의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관한 논의가 간과되어 왔으며 (2)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전반에 걸쳐 집단 간 문화다양 성이 표면적인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문화감응교육(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과 지식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섬세하게 고려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모든 학습자를 위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후속 논의들을 확장하고 지속하는 촉진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made progr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ner discourse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with continuous efforts for defining its identity for the last three decades currently encounters another issue: What should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look like? Loca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fforts for multicultural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among people from diverse groups is a key for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concept of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existing studie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found that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at the margin of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2015 nation-level integrat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t a superficial level. Finally, based upon major principle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funds of knowledge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for creating a culturally relevan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cultural diversities among different groups of people composing South Korean society are deeply recognized throughout its nature, goals, content, standards,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ing conversations and scholarship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 KCI등재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융합을 위한 내용 체계 및 교수⋅학습 사례 연구

        이주영,김귀훈,강성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tent system for systematic linkag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 and science subjects and teaching/learning case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Methods First, a draft of the content system was devised by analyzing and extracting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cience subjects for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validity of the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system was verified through expert Delphi. Third, based on the derived content system, teaching/learning cases for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were proposed. Fourth,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ase for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was verified through expert Delphi. Fifth, the implications of the Delphi test results were derived and the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system-based teaching/learning case was systematized. Results First, as the knowledge of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learning hierarchies were established by grades 3-4, 5-6, and middle school student development stages and content levels. 2 areas and 4 cor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15 areas and 35 core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were selected. Second, based on the analyzed and extracted content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cases were presented under the theme of ‘planet’. Thir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 system and teaching/learning cases, expert Delphi was conducted and opinions were collected. As a result, the field composition of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met the conditions of content validity in terms of suitability and importance. Conclusions By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ontent system related to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I-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the learning content in the AI field with science in terms of subjec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ubjects other than science subjects will also be able to utilize the presented cont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 system of each subject. 목적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연계⋅통합⋅융합을 위한 내용 체계와 내용 체계에 기반한 교수⋅학습 사례를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AI-SCIENCE 융합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및 과학 교과에 대한 각 영역별 내용 요소를 분석⋅ 추출하여 내용 체계 초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AI-SCIENCE 융합교육 내용 체계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섯째, 도출된 내용 체계를 기반으로 AI-SCIENCE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사례를 제안하였다. 넷째, AI-SCIENCE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사례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델파이 검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AI-SCIENCE 융합교육 내용 체계 기반 교수⋅학습 사례를 체계화 하였다. 결과 첫째, AI-SCIENCE 융합교육의 지식으로 3-4학년, 5-6학년, 중학교의 학생발달 단계별, 내용 수준별 학습위계를 설정하고인공지능 교육의 2가지 영역과 핵심 개념 4가지, 과학 교육의 15가지 영역과 핵심 개념 35가지를 선정하였다. 둘째, 분석⋅추출된내용 체계를 기초로하여 ‘행성’을 주제로 교수⋅학습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사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위해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합한 결과 AI-SCIENCE 융합교육의 영역 구성의 경우 적합도와 중요도에서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0.59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였다. 결론 AI-SCIENCE 융합교육의 지식⋅이해와 관련된 내용 체계를 분석⋅추출하여 제안함으로써 인공지능 영역의 학습 내용을교과의 특성 측면에서 지식, 개념의 이해가 중심이 되는 교과인 과학과의 연계⋅통합⋅융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과학 교과이외의 교과 또한 제시된 내용 체계를 각 교과의 내용 체계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외국 초등국어과 교과서의 특징과 시사점

        이주섭,전제응,김병수,최규홍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고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새 교육과정에 터한 새 교과서의 개발 방향 모색의 일환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의 초등 국어 교과서의 면면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래서 먼저 자국의 언어 교육 동향, 교육과정, 교과서 발행 제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그 나라의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가진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교과서의 특징은 큰 틀에서는 ‘언어 사용’에 대한 강조와 ‘자국어 교육’의 강조로 나타났으며, 나라별 체제 및 구성 요소들은 교육과정이 추구하고자하는 요소들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새롭게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교수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와 흥미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서와 학습량의 적정화를 통한 완전학습을 추구하는 교과서를 지향해야함을 알 수 있었고, 교과서의 내적 구조와 전개 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겠으며, 자국어에 대한 교육에 좀더 깊은 관심을 기울여 국어 문화 창달과 국어 정신 고양에 힘써야함을 알 수 있었다. 변화된 사회적, 교육적 환경에 따른 교과서 연구는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교과서 만능주의 또한 경계해야 한다. 요컨대, 교과서 자체에 대한 정밀한 논의도 있어야하겠지만, ‘교과서 개발 이후’의 문제와 ‘질 높은 국어 교육을 위한 제 변인들과 교과서의 관계’ 문제에 대한 고민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explore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We have selected three textbooks which are 『Literacy Place』of America, 『Tout le Francais』 of France and 『小學國語』of Japan. We surveyed the tendency of language education each books. Then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tho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ppeared as follows : First, national language art is regarded as a important subject in each country. Especially, In France the national language art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Second, three textbooks have been focused on \ language use\ . So students participate in a lesson voluntarily. Third, each of textbooks have distinctive feature. The 『Literacy Place』 has a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Tout le Francais』 has effective device for student to learn language with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e 『小學國語』has a simple unit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we need to improve continuously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do this, most of all, Korean language textbook which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checked intensively.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강현석(Kang. HyeonSuk),전호재(Jeon. Ho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 큰 압력으로 작용해오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등장한 이후 범교과 학습 주제는 양적 측면에서 엄청난 팽창을 하여 2009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39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범교과학습 주제의 교육에서 당초 의도한 목적에 맞게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더 큰 문제는 교사의 수업과 학습자의 학습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의 배 경에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의 반영 과정에서 그 교육적 가치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교육과정 운영을 어렵게 하는 이유와 그 모습들을 살펴보고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한다. 이어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대안으로 제 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빠르게 변화하는 국가·사회적 요구의 수용 모델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범교과 학습 주제의 정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ion of curricula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national social needs. The national social needs consist of what is worth being learned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cross-curricular subjects were designed to reflect those need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have not been working well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since they were introduced. The curricula revised in 2009 hav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They caused many problems in curriculum practice because there were too many things to do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thes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sharing similar purposes and contents give rise to unnecessary duplication problems. Expecting the number of cross-curricular subjects, there was no proper curriculum revision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quires into varied reasons and phenomena of the current curriculum revision system in the view of schools and classes. Base on revealed reasons, we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subjects. Some preceding studies helped us to explore various valid statuses of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statuses show some examples of new national curriculum. By synthesizing thes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 new cross-curricular subject organiz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5 steps: positioning the cross-curricular subject; rearranging cross-curricular subjects; verifying new needs; deciding presentation methods; and embodying. This new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can be applied continuously to deal with national and social need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영어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적절성을 중심으로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정규과목으로서의 영어교과가 제 7차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초등 영어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더욱 초점을 맞추면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며, 활동중심, 과업중심의 영어교육, 창의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으로 방향을 맞추게 되었다. 이 같은 방향에 따라 제 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수준별 학습(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의사소통기능, 언어기능, 문화 영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 체계를 담고 있다. 내용 체계에서는 언어기능이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으로 구체화되었고, 의사소통기능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언어 재료를 통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와 가치관 등을 포함한 소재, 음운 변화, 어휘, 단일문장의 길이 등에 관한 사항이 진술되어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내용 체계를 근거로 교과서가 제작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들의 지역적인 특수성,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학습자나 교사들의 요구들이 잘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 적용시 제반 문제점은 없었는지 검토하는 일이 필요한 시기다. 이는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이 잘 반영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도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영어과 전반에 걸쳐 면밀한 분석을 하고자 하는데, 그 영역은 크게, 교육과정의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이며, 교재 분석과 더불어 제7차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견해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교육현장의 현실과 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trospectively and to cast a forward look at the possi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s to what to teach, how to teach, and how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To attain the goals of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via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 they have used at least one year. 150 teachers and 667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clos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open questionnaires are classifi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for each field are as follows: (1) content area ① The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needs to be balanced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objectives. ② Number of words exposed to students needs to be better grade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master new words appeared in each lesson. ③ Cultural tips provided in teacher\ s guide ne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esson material for a given class hour. ④ Achievement standards need to be reduced in its number of items and its abstract statement. Instead, they need to be more detailed so that they are observably adequate. (2) method area ① Lessons should be introduced with motivational elements relevant to the lesson objective. ② Role play types need to be expanded in its variety so that they can provide opportunity for meaningful communicative practices. ③ Groupings need to be diversified to cope with each lesson objective. ④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in separate kit instead of being attached to the textbook which make the materials one time use only. (3) Assessment area ① Assessment guidelines need to be presented with examples and evaluation criteria. ② Performative evaluation was encouraged to assess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but most teachers felt that it\ s difficult to apply the performative evaluation for large classes.

      • KCI등재후보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차기 초등 과학 교과서 개선 방안

        장신호,임희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교과서 사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고찰하고,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와 목표에 부합되도록 새로 개발될 초등 과학 교과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하여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개발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운영 과정상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서로 지도하는 초등 교사들의 만족도가 학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난이도와 학습량, 과학 탐구 활동 지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효과적 과학 학습에 어려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참고할 때, 차기 교육과정에 따른 새 과학 교과서를 개발, 운영 시 고려하여야 할 점들을 탐색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하여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some problems found in the process of using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discuss the ideas for improving science textbooks to respond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possible idea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effective scie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elementary teachers, who used the textbooks in their classroom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textbooks tend to be low. In particular, in terms of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amount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eir perceptions were various. Considering the current problems appeared, we make suggest the feasible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xtbook for improving students\ scien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