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척추손상후 속발한 화골성근염 : 증예보고 Report of 3 Cases
정태성 최신의학사 1972 最新醫學 Vol.15 No.12
Myositis ossificans in the cord injured patient has special interest from the view point of nature. Several authors had reported on the observation of the etiology, nature, and treatment. Myositisossificans consist of Haversian canal, osteoblast, blood vessel and edematous bone matrix and is due to mesencymal tissue. Radiographically, ossification occured on condyle of the femur, but sometimes extending down to the joint capsule and up to the shaft of the femur. Spiral and network formation of many arteriole around ossification observed in angiogram. Recently, 3 cases of myositis ossifcans of 32 paraplegics have been reported.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FEMOS)을 이용한 아산만 조류모의
정태성,김성곤,강시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4 No.2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 FEMOS를 개발하고, 아산만 조류분포를 모의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조간대 모의를 할 수 있으며, 수치해석방법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격자형성이 자유스러우며, 복잡한 해안선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넓은 조간대와 큰 조차, 얕은 수심을 가진 아산만의 조류분포 모의에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모의결과는 장기간의 중층에서 유속변화, 층별 유속의 시간변화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아산항 건설 전·후 조류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산정한 바닥마찰응력 분포 변화를 수심변화 관측결과와 비교한 결과, 마찰음력이 증가하는 곳에서는 침식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감소하는 곳에서는 퇴적으로 수심이 얕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본 모델링시스템은 그 적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복잡한 해안선과 지형을 가진 연안해역의 해수유동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odeling system for three-dimensional flow (FEMO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simulate the tidal currents of Asan Bay. The system can consider tidal flats changing with time and uses a finite element method that can adapt coastline change effectively. The simulation results for Asan Bay with large tidal flats, shallow water depth and high tidal range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currents of long-term variations at the medium layer and short-term variations of vertical profiles. Based on the simulated tidal currents,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bottom shear stress were calculated and showed close relation with the change of bottom topography. The system can be used widely to study coastal circulation in the coastal region with complex geography.
정태성,김태식,강시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6 No.1
GUI를 이용하여 연안해역에서 항만개발, 방조제 건설, 준설 등의 해상 공사 시 발생하는 부유사(SS)의 이동 및 확산과정을 편리하게 예측할 수 있는 모의시스템(KUSSMOS)을 개발하였다. 모의시스템은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사용하여 해수유동을 모의하고, 입자추적모형을 사용하여 부유사 이송-확산을 모의한다. 군산해역 준설공사에 대해 수립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유속과 부유사 농도가 비교적 관측치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A SS prediction system using GUI in coastal region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dispersion of the suspended sediments occurred by dredging. The prediction system uses a finite element hydrodynamic model to calculate water level and velocities and a random-walk particle tracking model to simulate SS dispersion. The system was applied to hindcast the tidal currents and SS concentrations in the Kunsan coastal waters. The simulated tidal curren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currents. The transport model was verified for analytic solutions and field observation showing good agreements.
정태성,이길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6 No.3
연직 확산계수의 산정에 k-I 난류방정식을 도입하여 예측성을 향상시킨 치안 해수유동 및 온배수 확산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1차원 수로에서 취송류의 연직분포, 정지수역으로의 온배수 젯트에 대하여 수리실험자료와의 비교검증을 실시하고 고리해역에서 조류 및 온배수 확산을 해석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계산결과는 검증에 사용된 자료와 대체로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취송류, 밀도류, 조류에 대하여 동일한 모형상수를 사용하여 연직 확산계수를 계산할 수 있어 난류모형의 상수가 보편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textsck-ι 난류방정식을 도입하여 개발된 수치모형은 연안 해수유동을 대표하는 취송류, 밀도류, 조류에 대하여 난류상수의 보편성과 모형의 예측성을 갖고 있어 연안 해수유동 및 확산을 연구하는 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coastal circulation and heat transport with improved prediction ability. The model uses fully nonlinear, time-dependent three-dimensional, σ -transformed equations of motion and equation of heat transport The model was verified with experimental data for wind-driven current in a one-dimensional channel and thermal jets flowing into stagnant waters and applied for unsteady flow induced by tide and thermal jets in coastal waters around Kori nuclear power plant. The model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data sets for wind-driven current and thermal jet, and field observed data sets in coastal water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κ-ε turbulence model is applicable to various coastal conditions without any modification of turbulence constants.
유치열기 다발성치아우식증 아동의 구강내 Streptococcus mutans 및 Lactobacillus의 분포에 관한 연구
정태성 大韓小兒齒科學會 199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7 No.1
With a purpose of elucidating the causativ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oral baterial species and rampant dental caries, the distributions of S. mutans and Lsctobacillus in dental plaque from 21 children with pampant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were exam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 mutans was detrected in the plaque of all children and the distribution to total cultivable oral microorganism was 3.75%,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laque taken from carious surface than from sound surface. 2. Lactobacillus was detected in the plaque of all children and the distribution to total cultibale oral microorgaism was 1.75%,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laque taken from carious surface than from sound surface.
정태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8 No.3
연안 해수유동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에서 연직 과점성계수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해수유동 계산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직 과점성계수 산정방법들을 정상 개수로 흐름과 비정상류인 조류의 해석에 적용하여 수리실험자료와 비교평가하였다. 계산결과에 의하면, 정상류에 대해서는 비교된 모든 모형이 실험치와 대체로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정상류인 조류에 대해서는 난류 수송 방정식을 해석하는 2-방정식과 1-방정식 난류모형들은 대체로 실험치와 일치하는 결과를 주었으나, 0-방정식 모형은 난류의 수송현상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여 위상에서 실험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In estuarine 3-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it is very important to calculate vertical eddy viscosity accurately. Various turbulence models employing eddy viscosity concept were applied to the steady flow in an open-channel and the tidal flow in long tidal channel and compared. The evaluations include the verification tests against experimental data sets for steady and tidal flows. The simul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the compared models are in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data of steady flow while only textsck-ε model, textsck-ι model, and 1-equation model with well-defined mixing length profile give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data of tidal flow.
정태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8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0 No.1
물의 유동을 해석하기 위한 3차원 수치모형이 개발되었다 모형은 균질류에 대한 σ -좌표에서 방정식들 을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해석한다. 모형의 정확성을 정토하기 위하여 1차원 수로에서 취송류 분포, 정사각형 호수에서 취송류 분포를 해석하고 해석해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마산-진해만에서 조류분포를 계산하고 현장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계산결과가 비교된 해석해 및 관측치와 대체로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개발된 모형은 복잡한 육지경계를 갖는 자연 수괴의 3차원적 순환현상을 해석하는 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of water circulation has been developed. The model employs the equations on σ -coordinate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numerical integration. To verify accuracy of the model,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he experiments include wind-driven currents in an one-dimensional channel, wind-driven currents in a square lake, and tidal current distributions in Masan-Jinhae Bay.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analytic solutions for wind-driven current and the field data sets in Masan-Jinhae Bay. The model can be used widely for modeling of water circulation in the waters with a complex geometry.
침식률 측정자료를 이용한 2차원 퇴적물 수송모형의 개발
정태성 한국수자원학회 200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4 No.6
침식률 측정장치인 SEDFLYME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한 침식률 자료를 이용하는 퇴적물 수송에 관한 2차원 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계밀착좌표계를 수평방향에 대해 사용하며, 퇴적물 이동 모의시 침식률 산정에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침식률 측정자료를 직접 사용한다. 개발된 모형은 부유사와 소유사 이동을 모두 고려한다. 모형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차원 수로에서 장갑화 현상을 모의하고 실험자료와 비교하였다. 비 A 2-dimensional numerical sediment transport model has been developed by using erosion rates observed by SEDFLUME. The model un boundary-fitted coordinate can reduce inaccuracy of sediment model with accurate erosion data. Suspended transport and bed load
정태성,이종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 No.1
동해남부해역에서 주요 4개 분조(M₂,S₂,K₁,O₁)의 조석운동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조석수치모형을 수립하여 계산하였다. 계산결과는 조석관측치와 비교되었으며, 기존의 조석도들과도 비교 분석되었다. 계산된 조석은 관측된 조석과 비교적 일치하였으며, 계산결과로부터 주요 4개 분조의 상세한 조석도가 작성되었다. 또한,M₂분조와 K₁분조의 조류타원분포가 제시되었다. 작성된 조석도에 의하면 무조점의 위치는 반일주조의 경우 기존의 조석도와 일치하나, 일주조의 경우는 한국연안에 더 치우쳐 나타났다.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using finite element method. was applied to calculation of the tides and tidal currents of four major tidal constituents(M₂,S₂,K₁,O₁)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The mode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with the existing tidal charts. and the computed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As a result, the detailed tidal charts for four major tidal constituents and the tidal current ellipses of the M₂and K₁tides were produced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phidromic point of diurnal tide locates near Korean coastal lines closer than that of the chart drawn by Nishida(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