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예측전류제어기를 이용한 3상 PWM 컨버터

        한홍일,함년근,성낙규,이승환,이훈구,오봉환,한경희 명지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0 No.-

        PWM converter has better power factor and low harmonic components than conventional diode rectifiers and phase controlled rectifier. Also the DC link voltage can be regulated fast and stable against the variation in the load. In order to regulate for DC link voltage, rapid current control is need for source current control.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quickness of current controller to know the transient state characteristics of regulated DC link voltage against the variation in the load. To do this, it is adopted to three phase voltage type PWM converter with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SVPWM) method and synchronously rotating d, q axis current. Each d, q axis current is controlled independently. To control d, q axis current, Current control methods to be applied in system are PI current control and Predictive current control respectively. As a result,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 of Predictive current controller is superior to PI current controller.

      • PLD 박막의 물리적 성질

        한용진,조봉균,정재훈,이수빈,박해윤,이태기,채희백,홍진수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4 No.2

        Thin amorphous carbon films were deposited by a Q-switched Nd;YAG 532nm with beam power density of ?? on the high purity graphite (99.7%). The pressure of vacuum chamber was ?? Torr. In order to estimate the quality of the Pulsed Laser Deposition film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tical properties, bandgap energy, was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and reflection in the range of the visible, and an optical direct bandgap energy of 2.45eV and indirect bandgap energy 0.36eV were obtained. Surface morphology of amorphous film was investigated by AFM (Atomic Force Microscopy). Its surface roughness is 70nm. Comparing our results with the published values in the literature we have confidence that our films show the good quality for optical properties.

      • KCI등재
      • 하악 매복 지치의 외과적 발거시 Methylprednisolone의 안면 부종 감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신지훈,박진배,한지용,윤혜경,김우형,이희철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Objective : The third molars, expecially mandibular wisdom teeth, are commonly obliquely impacted, and surgical procedure with odontomy and osteotomy is necessary for their extraction. The surgical extracion of impacted wisdom teeth occasionally in duces variable discomfort. Especially, postoperative swelling, pain and limitation of mouth opening determine the degree of discomfort. For the reduction of these complicaions, drug therapy(antihistamine, enzyme, steroid), cole pack and pressure technique have been studied. It is known that the steroids a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and Meterial : We selected fifty patients in their twenties, who visited Department of Dentistry, Pusan Paik Hospital from March to August in 1998. All of 50 patients has no other medical problems. Total 50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to 30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of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orally administration of methyprednisolone 5㎎ every 8 hours 2 times preoperatively and 7 times postoperatively. Five points were marked on the patients' face, and the distances between the points were measured just before operation and 48 hours after operation. Results : Methyprednisolone reduces swelling about 50% after surgical extraction of obliquely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osteotomy and odontomy.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issue edema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Conclusion : It seems that the use of methylprednisolone is effective to reduce postoperative swelling following surgical extraction of third molars.

      • Rings운동에서의 Giant swing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윤희중,박종훈,한충식,김영란,김충태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 1992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11 No.1

        This study was to investogate the kinematic patterns of the giant. swing on rings by 3 male gymnastic. The motion was filmed at 60frame/sec high video camera. The result was as follows ; 1. Subj. C showed a large displacement in the wrist J. at phase I and Subj. B showed a large displacement at phase 2, 3, 4. 2. Subj. C showed a large displacement in the hip J. at down swig phase and Subj.B, C showed a large displacement. at upward swing phase. 3. Subj. A showed a large velocity a in the hip J. at phase 1 and Subi. C shooed a large velocity at phase 2, 3, 4. 4. Subj. C showed a large velicity in the shoulder J. at whole phase. 5. Subj. C showed a large angular velocity in the hip J. at down swing phase and subj. B showed a large angular velocity at upward swing phase. 6. Subj. B showed a larege angular velocity in the shoulder J. at. phase 1, and Subj. C showed a large angular velocity at phase 2, 4 also subj. A showed a large angular velocity at phase 3.

      • KCI등재

        牛蒡子의 抗알러지 效果에 對한 硏究

        兪漢鐵,金聖勳,金東熙 대한본초학회 2001 大韓本草學會誌 Vol.16 No.1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ctii Fructus(AF) in the treatment of allergy, studies were done experimentall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Cytotoxicity of AF extract on the mouse lung fibroblast cells was not shown below the level of 100 ㎍/㎖ concentration. 2. In the quantification of IL-1β gene development, the amount was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gut which was insignificant. 3. Gene development of IL-4 was suppressed over 70% in the concentration of 100㎍/㎖ and also the of production of IL-4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ncentration of 10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Gene development of Il-5 was decreased to 60% in the concentration of 100 ㎍/㎖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Gene development of IL-4 and IL-10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which was not significant. 6. Gene development of TNF-α was suppressed over 60% in the concentration of 10 ㎍/㎖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7.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Ig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centration of 100㎍/㎖. 8.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Histamine releas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ncentration of 100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F has antiallergic effects and suppression of the immune response. Thus it is suggested that aqua extract of AF could be applied to the aqua-acupuncture for suppressing humoral immune response, and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 KCI등재

        ISP의 BcN 투자 및 요금체계 평가모형 : 실물옵션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응용

        김도훈,정한욱,방정희,박명선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정보화정책 Vol.13 No.3

        모든 정보통신서비스가 All-IP 통합 인프라로 제공되는 BcN 구축은 우리나라의 핵심 국책사업 중의 하나로, 인터넷 강국으로서의 글로벌 입지를 굳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BcN 기술의 성숙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측면에서 이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연구는 드물다. 특히 BcN 요금체계와 같은 정책적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요금정책이 BcN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실물옵션과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BcN 수요의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요금체계와 관련된 정책대안이 사업자의 수익구조와 투자동기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수익과 투자시점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트래픽 규모가 수입에 직접 반영되는 요금체계에서 BcN 투자가 앞당겨짐을 알수 있다. 특히 ISP와 CP간의 요금체계가 투자 의사결정에 보다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업자의 자발적인 첨단 인프라 및 서비스 개발이 국민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동태적 효과를 보다 전향적으로 검토할 것을 요청한다.

      • mecA 양성 메티실린 내성 포도구균의 mec 조절유전자에 대한 분자역학적 연구 및 다양성 분석

        우희연,이남용,맹성호,한승훈,인경수,김상욱,성승용,김익상,최명식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병원 감염과 지역 감염의 원인균으로서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MRSA와 MRCNS의 메티실린 내성 관련 유전자에 대해 분자역학적인 조사를 시행하고 mec 조절유전자의 다양성을 분석하여 분자유전학적 연구와 감염 관리에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일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mecA 양성 MRSA 78균주와 MRCNS 36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와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여 표현형과 유전형의 분포를 알아보고 내성 정도와 유전형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론 :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여 oxacillin 감수성 양상을 알아본 결과 총 90개의 MRSA 임상검체 중 3균주에서 감수성을 보였고, MRCNS 36균주는 모두 내성을 보였으며,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일수록 다제내성을 보이고 있었다.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mecA 유전자 유무를 분석하여 mecA 양성을 보인 MRSA 78균주와 MSCNS 36균주 만을 대상으로 mec 조절유전자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여 유전형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MRSA와 MRCNS 모두에서 mecA-Pr-mecA-mecR1-mecI형, mecA-Pr-mecA-mecR1형과 mecA-Pr-mecA-mecR-1의 5′말단형의 3가지 유전형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는데, 이외에 MRSA에서는 mecA-mecR1형, mecA-mecR1의 5′말단형이, MRCNS에서는 mecA-Pr-mecA형과 mecA형이 추가로 분리되었다. 유전형의 분포를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연도별로 우세한 유전형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전형과 내성 정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mecA-Pr-mecA-mecR1을 보유한 MRSA의 경우 mecA 억제유전자로 생각되는 mecI 유전자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고도 내성을 나타내어 mecI의 유무는 내성 정도와는 일정한 관련이 없었으나, MRSA와 MRCNS 모두에서 mecI와 동시에 mecR1의 3′말단이 결혼된 유전형이 저도 및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에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어 mecI가 결손된 균주에서는 mecR1의 3′말단부위의 유무가 내성 정도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결론 : 국내에서 분리되는 메티실린 내성 포도구균의 유전형의 분포가 국외 분리주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메티실린 내성 정도와 유전형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mec조절유전자가 내성 발현 뿐만 아니라 내성 정도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RSA가 중요한 감염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MRSA의 내성기전에 대해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아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더욱 종합적인 연구와 동시에 발생과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High prevalence of methicillin resistance has been noticed in staphylococci which also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nosocomial and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ec regulator genes and the presence of the mutation in mecIgene to reveal the resistance mechanism at molecular level. Methods : The isolates included 90 clinical isolates of MRSA, 36 MRCNS of which methicillin resistance were determined by disk diffusion test and isolated in a single hospital during 1996-1999. We performed microdilution MIC test for oxacillin resistance and Kirby-Bauer test for other antibiotics. Genotypes of mecA positive (determined by PCR) isolates (78 MRSA, 36 MRCNS) were investigated by PCR amplification of mec regulator genes such as 3' end and 5' end of mecR1. mecI, and Pr-mecA. Results : In MIC assay, all MRSA strains except 3 strains and all MRCNS strains showed oxacillin resistance. The level of resistance correlated to the multi-drug resistance. Seven genotypes were observed in mecA positive MRSA and MRCNS. Differences of predominant genotypes among years isolated and among species were observed. Deletions of the 3' end of mecR1 and the mecI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low- and borderline-level resistant MRSA and MRCNS (P(0.05). So the important role of 3' end of mecRI in determining resistance level was suggested.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enomic distribu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isolated in Korea was different from that of strains isolated in other countries. And important role of mec regulator genes for expression of methicillin resistance was suggested.

      • Capsicum chinense, 재래종 및 저항성 고추 유전자원에서 역병 저항성 계통 선발

        김정훈,여승호,김동우,배수연,한정혜,황희숙,김병수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02 慶北大農學誌 Vol.20 No.-

        2000년도에 검정에서 역병에 살아남은 개체들로부터 채종하여 육성한 Capsicum chinense 31계통에 대하여 역병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고도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2001년도의 검정에서 역병에 살아남은 개체로부터 채종한 재래종 26계통에 대하여 다시 역병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KC180, KC230, KC195, KC194에서 다수의 개체가 살아남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KC180과 KC230은 각각 AC2258과 CM334와 혼종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KC195와 KC194는 재래종의 형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M334의 보존 증식과정에 자연교잡이 일어난 것으로 보여 이의 순도향상을 위하여 채종년도별로 시료를 꺼내어 역병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가장 오래된 1992년도 채종종자에서부터 약간의 이형주가 관찰도기 시작하여 1995년부터 2001년도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많이 변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992년도 종자에서 이형주를 제거하고 원형의 개체로부터 자식종자를 대량으로 채종하였다. 함께 공시한 AC2258은 순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995년도 채종 CM334 종자에서는 비록 혼종은 되었으나 측지발생이 적은 개체들이 발견되어 이들을 개체 선발하여 역병에 저항성이며 측지발생이 적은 계통으로 육성하고 있다. A total of 31 c. chinense lines selected from 2000 screening were tested again for resistance to P. capsici but resistance was not found in the lines. A total of 26 selections from Korean land races tested 2001 spring were tested again for resistance to P. capsici. KC180, KC230, KC195 and KC194 showed moderate resistance to P. capsici. However, it was apparent on the basis of hortivultural characteristics that KC180 and KC230 had been naturally crossed with AC2258 and CM334, respectively. CM334 and AC2248 seed lots that were increased in different years were taken out and tested for resistance to improve their genetic purity because th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have been showing some off-types in the population. Off-types began to be found in 1992 seed lots and the proportion and degree of the offs was increasing with time up to 2001. Plants true to the type in 1992 seed lots were selected and their inbred seeds were mass produced in a net cage in the greenhouse. AC2258 included in the experiment number of lateral branching at cotyledonary axil, although they were off from the original in the experiment together was uniform. In 1995 seed lost of CM334, plants with resistance to P. capsici and low or no number of lateral branching at cotyledonary axil, although they were off from the original CM334, were found and selection was applied to breed lines fixed in th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