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쿠싱 증후군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

        이승환,박병문,송경섭,이수건,윤상필,이재철,이범석,양봉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VFs) in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most reports, vertebral fractures in Cushing syndrome have been found to be related to osteoporosis.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clinical risk factors for OVF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who visited the orthopaedic department complaining of back pai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tanding lateral X-r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ence of vertebral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measured. Results: Of the 32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with back pain, 8 (25%) were diagnosed with OVFs using morphometric criteria. The average weight and body mass index of the vertebral fracture group (VF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bserved in the non-vertebral fracture group (non-VF group) (p=0.004, p=0.018). Lumbar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F group (p=0.006). A risk factor for OVFs in Cushing syndrome was osteoporosis (odds ratio=18.56, 95% confidence interval=1.72-200.21, p=0.016) regardless of gender, obesity, menopause, or urine free cortisol levels. Conclusions: OVFs in Cushing syndrome have be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verweight is an indicator of compliance in the treatment of Cushing syndrome. Therefore, weight reduction and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should be emphasized in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to prevent OVFs. 쿠싱 증후군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이승환 • 박병문 • 송경섭 • 이수건 • 윤상필 • 이재철 • 이범석 • 양봉석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쿠싱 증후군에서 증상이 있는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쿠싱 증후군에서 척추 골절은 대부분은 골다공증과 연관이 있었다. 그러나 척추 골절의 다른 위험 인자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요통으로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한 32명의 쿠싱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요추부 기립위 측면 방사선을 촬영하여 척추 골절을 진단하였고, 척추와 대퇴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척추 골절 그룹과 비골절 그룹의 통계학적 차이를 paired t-test를 이용해 비교하였고,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중 8명(25%)의 환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확인되었다. 척추 골절군의 평균 체중과 체질량 지수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4, p=0.018), 척추 골절군의 요추부 골밀도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6).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는 골다공증으로 나타났다(odds ratio 18.56, 95%CI 1.72-200.21, p=0.016). 결론: 쿠싱 증후군 환자에서 척추 골절의 발생은 과체중과 관련이 있으며, 과체중은 평소 쿠싱 증후군의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라고할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내분비적 치료를 통계 적정 체질량을 유지하고, 골다공증의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쿠싱 증후군의 척추 골절 예방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색인 단어: 쿠싱 증후군, 척추 골절, 골다공증약칭 제목: 쿠싱 증후군과 척추 골절

      • KCI등재

        부분방전 신호와 잡음의 분리

        이승환,유치형,정찬수,김재철,이상철,정양웅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3 No.1

        전력용 변압기의 절연 열화를 탐지하기 위한 연구가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절연유에 함유된 연소성 가스분석 기술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고압 대용량화에따른 사고 파급효과가 커지게 되면서 on-line 탐지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부분방전 신호 검출법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법 중에서 탐촉자의 탈착이 용이한 초음파 신호 측정법에서 가장 큰 문제점인 잡음신호 분리를 위한 연구이다. 신호원의 개수와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초음파 신호가 부분방전에 의한 것인지 외부 잡음인지를 구별할 수 있으며 변압기의 절연열화 판단에 한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The research for retecting of insulating deterioration in transforrrer has been studied from long ago and the analysis rrethod of combustible gas which is included in insulating oil has been used Recently the spreading effect of the accident is larger than before because of high voltage and large capacity, so on-line detecting system is needed and the study for the estimation of partial discharge signals location has begun. This thesis is the study for the sermating noise signal that is the greatest problem in ultrasonic signal measurement which is one of the method of estimation of partial discharge signals location. Because we can measure the number and location of signal, it is r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signal of partial discharge and the external noise. Therefore, we can devolop the credibility of detecting of insulating deterioration in transformer.former.

      • SCOPUSKCI등재

        Pst Ⅰ Methylase 유전자의 cloning

        이승환,노현모 한국유전학회 1985 Genes & Genomics Vol.7 No.1

        The clonings of Pst I restriction-modification system were reproted in two cases. One was by Walder et al. (1981) and the other was by Lee et al. (1982). pRL 829 constructed by Lee et al. was a recombinant plasmid containing 3.7kb insert fragment at Hind III site of pBR 322, which encoded whole Pst I restriction-modification system. In this research, a new recombinant plasmid, pRL 830, containing only Pst I methylase gene was constructed from pRL 829 by partial digestion with Hinc II. pRL 830 contained 2.2kb insert DNA out of 3.7kb insert of pRL 829. The host DNA and plasmid from the cells transformed with pRL 830 were not cleaved by Pst I, suggesting that Pst I methylase gen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the cells. However, E. coli transformed with pRL 830 was easily infected and lysed by bacteriophage Ø80, indicating that Pst I endonuclease gene was at least inactivated or removed from pRL 830. Soluble fractions from the E. coli containing pRL 830 were passed through the DEADEN-cellulose and phosphocellulose columns. Eluted enzyme fraction with salt gradient were assayed for the Pst I endonuclease and methylase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Pst I methylase activity was detected, where-as Pst I endonuclease activity was not. It was convinced pRL 830 encoded Pst I methylase gene, but not endonuclease gene.

      • 감 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영양 및 효능 연구

        이승환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6 No.10

        전국적으로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연간 10만톤 이상의 떫은 감이 감말랭이, 곶감, 반건시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과 정에서 감 껍질, 꼭지, 씨 등 감 생산량의 20% 수준의 부산물이 발생하고 있다. 상품 가치가 떨어진 감과 부산물은 폐 기과정에서 초산 발효로 인해 악취를 풍기고,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등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매년 감 생산 량의 증가에 따라 부산물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적절한 산업적 활용도를 찾지 못하고 있어 감 부산물 자원의 고부가 가치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감 껍질과 꼭지, 잎 추출물의 건강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감 부산물 추출액은 시료 의 10배량의 추출용매(70% 에탄올, 물)을 첨가하여 교반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고,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한 후 분석하였다. 추출수율은 과육이 포함되어 있는 감 껍질이 49.23%로 가장 높았으며, 꼭지와 잎은 섬유소 함유량 이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25.29%, 19.91%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부산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분석 결과 잎 추출물이 141.72 mg/g으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여주었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 감 잎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 여주었다. RC50은 175.71 μg/mL(ABTs), 180.90 μg/mL(DPPH)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는 잎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잎 추출물은 71.35%의 -amylase 억제, 55.15%의 Lipase 억제, 34.79% 의 -glucosidase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부산물 추출물의 항균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미백 효능 평가 결 과 감 부산물 추출물의melanin 함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장 우수한 꼭지 추출물의 경우 200 μg/mL 농도에 서 melanin 함량이 50% 이상 감소하여 대조구 arbutin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식품산업에 있어 식품 안전과 함께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고 있으며, 비만, 당뇨, 지질대사 관련 대사성 질환, 주름개선 및 미백 관련 피부미용 효능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아지고 있다. 이에 기본적인 감 가공 부산물의 건강 기능적 특성 연구를 진행하 였고, 현재 전량 폐기되고 있는 감 부산물이 다양한 영양 및 효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 대로 기능적 특성을 구체화하여 감 부산물의 산업적 활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리일분수(理一分殊) 담론의 사회⋅현실적 의미와 기능 -성리학의 신분제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이승환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연구 Vol.0 No.57

        In spite of the metaphysical belief that every human being was endowed with the same original nature, namely Jen(仁), the actual society led by Neo-Confucianism was a caste society in which a clear-cut distinction between noble class and humble class was firmly established. Is the egalitarian view of human nature compatible with the inegalitarian view of human status in which nobles are rigidly distinguished from the lowers? How could the metaphysical belief that every human being was endowed with the same human nature be harmonized with the social reality in which every human being was graded differently in a hierarchical manner?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answer from the famous Neo-Confucian slogan, “the principle is one, but the manifestations are many.” To pursue the theme from a view point of discours analysis, those written materials from the well-known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such as Hoe Jae(晦齋), T’oe Gye(退溪), and Yeo Heon(旅軒) were carefully selected and thoroughly examined. Through out the examination, the author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 Neo-Confucian slogan of li-yi-fen-su(理一分殊) performed a theoretical function to justify the caste system(良賤制) during the Cho Sun Dynasty. 모든 인간이 동등하게 ‘인’의 본성을 품부 받고 태어난다는 성리학의 이론과는 별개로, 성리학이 지배하던 현실 사회는 신분의 상/하와 귀/천이 철저하게 나뉘었던 등급사회였다. 모든 인간이 동등하게 ‘인’의 본성을 품부받고 태어난다는 평등주의적 인성론은 신분의 귀/천을 당연시하는 차등주의적 인간관과 어떻게 양립할 수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모든 인간이 동등하게 ‘인’의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형이상학적 믿음은 신분차별적인 사회현실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었던 것일까?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성리학의 리일분수(理一分殊) 담론에서 찾는다. 장횡거의 「서명」(西銘)에 대한 해석사를 통해 전개된 ‘리일분수’ 담론은 ‘인’으로 대변되는 보편도덕(理一)을 ‘의’로 대변되는 차등윤리(分殊)와 연결시켜주는 마법의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였다. 송대에 정이천, 양귀산, 주자 등을 거치며 정립된 ‘리일분수’의 도덕형이상학은 조선유학으로 전해져서 양천제(良賤制)를 정당화하는 입론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유학자 가운데서 특히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 그리고 여헌 장현광의 관련 문헌에 초점을 맞추어 ‘리일분수’의 형이상학적 이론이 ‘양천제’라는 신분제도를 정당화하기 위해 활용되는 과정을 담론분석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장횡거의 「서명」(西銘)에 대한 해석사를 통해 전개된 ‘리일분수’ 담론은‘인’으로 대변되는 보편도덕(理一)을 ‘의’로 대변되는 차등윤리(分殊)와 연결시켜주는 마법의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였다. 송대에 정이천, 양귀 산, 주자 등을 거치며 정립된 ‘리일분수’의 도덕형이상학은 조선유학으 로 전해져서 양천제(良賤制)를 정당화하는 입론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유학자 가운데서 특히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 그리고 여헌 장현광의 관련 문헌에 초점을 맞추어 ‘리일분수’의 형이상학적 이론이 ‘양천제’라는 신분제도를 정당화하기 위해 활용되는 과정을 담론분석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