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병수,김주항,김경미,최정주 한국통계학회 1993 응용통계연구 Vol.6 No.2
암치료에 있어서 암세포의 약제 내성 극복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제이다.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하여서는 여러 가지 변조물질(modulators)이 항암제와 결합투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 변조물질중 어느 것이 다약제 내성의 극복에 더 효과적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 암세포주를 대상으로 여러 종류의 항암제에다 변조물질들을 결합투여하는 경우 용량-반응곡선으로부터 상승효과를 검정할 수 있게 통계기법을 소개하고, 또한 일반화 선형모형의 계산 프로그램인 글림 패키지(GLIM Package)의 매크로(macro)를 사용하여 실제 실험자료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in-vivo 실험을 통한 실제 임상적용의 근거를 제공하리라 믿어진다. Interaction between anti-cancer agents and various modulators of multidrug resistance in producing their joint effects are of fundamental interest in the chemtherapeutic treatment of cancer. We generate a dose-response curve for each combination of several anti-cancer agents and modulators based on an in-vitro experiment on each of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We employ a log-linear model developed by Wahrendorf et al (1981) and Piegorsch et al (1988) to detect synergism among several compounds. We show two examples of the data analysis and their results. We believe that these results encourage further experiment in-vivo studies.
김병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박사논문 쓰기체험의 과정을 탐구해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 자신이다. 내용은 박사논문 쓰기 과정에서 겪은 연구자의 체험과 그 속에 담긴 여러 의미들을 이야기하였다. 체험의 과정은 시간의 흐름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박사논문을 쓰는 출발점을 점필의 단계로 보았다. 국어교육을 안다고 했지만 실제 국어교육의 본질은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논문을 쓰기 시작한 것이다. 공부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구자는 국어교육의 본질을 깨우쳐가는 줄탁의 단계를 거쳐가고 있다. 줄탁의 단계에서는 고통이 뒤따르지만 자유인으로서 성장해가는 연구자의 모습을 보인다. 계속되는 줄탁의 단계를 통해 연구자는 초등국어교육의 전문가로 성장해 갈 것이다. 그 여정을 통해 연구자는 초등국어교육의 학문적 정립을 하는데 한 몫을 하고자 하는 바랍이 있다.
김병수,김기한 한국통계학회 1993 응용통계연구 Vol.6 No.1
관측치가 (0, T]의 구간에서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가설에 대하여, 관측치의 집락화를 검정하는 과정에서 스캔 통계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캔 통계량의 확률분포의 근사분포가 어떠한 이론적 배경으로 개선되어 왔는 지를 고찰하고, 실제로 응용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광물 매장을 조사하기 위한 항공탐사, 두 개의 아미노산 염기서열(amino-acid sequence)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스캔 통계량은 사용되어 왔다. 지놈(genome)의 連鎖(sequence)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한 위치에 대하여 집락의 가능성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스캔 통계량을 이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 구성은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approximations of the null distribution of a scan statistic and to show how these approximations were improved. Let $X_1, \cdots, X_N$ be a sequence of independent uniform random variables on an interval (0, t]. A can statistic is defined to be the maximum number of observations in a subinterval of length t $\leq$ T, when we continuously (or discretely) move the subinterval from 0 to T. A scan statistic is used to test whether certain events occur in a cluster aganist a null hypothesis of the uniformity.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exact null distribution of a scan statistic. Several authors have suggested approximations of the null distribution of a scan statistic since Naus(1966). We conceive that a scan statistic can be used for detecting a "hot region" is defined to be a region at which the frequencies of mutations are relatively high. A "hot region" may be regarded as a generalized version of a hot spot. We leave it for a further study the concrete formulation of deteciton a "hot region" in a mutational spectrum.uot; in a mutational spectrum.
김병수,김지연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6 No.3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Bacillus subtilis JK-1 was carried out using central composite rotatable design (CCRD)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variables selected for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were soluble starch, skim milk, KNO3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 Response surface analysis showed that the fitted quadratic model had adequately high R2value of 0.9882 and low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01,which indica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The optimum levels of each variable were determined to be as follows:1.550% (w/v) soluble starch, 0.477% (w/v) skim milk, 0.096%(w/v) KNO3 and 37.145oC.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temperature and soluble starch were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whereas skim milk and KNO3 had less effect within the ranges investigated. Our results could be very helpful in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from B. subtilis JK-1.
가산자료(count data)의 과산포 검색: 일반화 과정
김병수,오경주,박철용 한국통계학회 1995 응용통계연구 Vol.8 No.2
생검실험에서는 다산을 통해 번식하는 쥐와 같은 설치류 동물들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이항분포나 포아송분포 하에서 가산자료(count data)를 많이 생성한다. 다산을 통해 태어난 동물들을 독립적인 실험대상으로 간주하여 자료분석을 하면, 同腹仔 효과로 인해 기존의 평균과 분산사이의 관계를 벗어나는 과산포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무시했을 때 모수추정치에 대한 분산을 과소추정하고, 이로 인하여 가설검정에서 낮은 검정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과산포현상을 검색하는 통계량들과 과산포를 반영하는 모형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개관하고 이러한 절차들의 일반화 과정을 자료 유형별로 비교분석한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parametric models and test statistics related to overdspersion of count data. Poisson or binomial assumption often fails to explain overdispersion. We reviewed real examples of overdispersion in count data that occurred in toxicological or teratological experiments. We also reviewed several models that were suggested for implementing experiments. We also reviewed several models that were suggested for implementing the extra-binomial variation or hyper-Poisson variability, and we noted how these models were generalized and further developed. The approaches that have been suggested for the overdispersion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The one is to develop a parametric model for it, and the other is to assume a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nce and the mean of the response variable and to derive a score test staistics for detecting the overdispersion. Recently, Dean(1992) derived a general score test statistics for detecting overdispersion from the exponential family.
cDNA 마이크로어레이에서 유전자간 상관 관계에 대한 보고
김병수,장지선,김상철,임요한,Kim, Byung-Soo,Jang, Jee-Sun,Kim, Sang-Cheol,Lim, Jo-Han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3
A series of recent papers reported that the inter-gene correlations in Affymetrix microarray data sets were strong and long-ranged, and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or weak dependence among gene expression signals which was often employed without justification was in conflict with actual data. Qui et al. (2005) indicated that applying the nonparametric empirical Bayes method in which test statistics were pooled across genes for performing the statistical inference resulted in the large variance of the number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Qui et al. (2005) attributed this effect to strong and long-ranged inter-gene correlations. Klebanov and Yakovlev (2007) demonstrated that the inter-gene correlations provided a rich source of information rather than being a nuisanc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y developed, by transforming the original gene expression sequence, a sequence of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which they referred to as a ${\delta}$-sequence. We note in this report using two cDNA microarray data sets experimented in this country that the strong and long-ranged inter-gene correlations were still valid in cDNA microarray data and also the ${\delta}$-sequence of independence could be derived from the cDNA microarray data. This note suggests that the inter-gene correlations be considered in the future analysis of the cDNA microarray data sets. 최근에 보고되는 일련의 연구는 Affymetrix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서 유전자간 상관관계가 강하고 장범위(長範圍)(long-ranged)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의 "편한" 가정, 즉 유전자간 상관관계가 매우 약하며, 따라서 유전자간 유사 독립성을 가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Qui 등 (2005b)은 각 유전자의 검정통계량을 병합하여 통계적 추론을 하는 이른바 비모수적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적용하면 검색된 특이발현 유전자수의 분산이 커진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고, 이러한 분산의 불안전성 이유로서 유전자간 강한 상관관계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Klebanov와 Yakovlev (2007)는 유전자간 상관관계가 통계적 분석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기 보다는 유용한 정보의 원천이고 적정한 변환을 통하여 근사 독립을 유지할 수 있는 급수를 만들 수 있으며 이 급수를 ${\delta}$-급수라고 불렀다. 본 보고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2조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서 유전자간 상관관계가 비교적 강하며, 장범위(長範圍)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며, 유사 독립성을 전제할 수 있는 ${\delta}$-급수가 cDNA 마이크로어레이에서도 발견되는 것을 보고하고자 한다, 동 보고는 추후 cDNA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분석에서도 유전자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