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의 탈불교화 과정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는 원불교 교단의 정체성은 물론 원불교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원불교교헌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논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이 과정 속에서 필자는 원불교의 역사를 통해 왜 원불교가 탈불교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물론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에 의해 세워진 불법연구회가 전통적인 불법을 계승하고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관을 제시한 다음, 초기 교서인 『』불교정전(佛敎正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 교단, 즉 불법연구회는 불교 결사운동의 현대적인 활동임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1948년 원불교의 교명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불교와의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1962년 발포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교단 스스로 제출한, 불교와의 관계를 단절하기 위한 정부청원을 계기로 탈불교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원불교교헌」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난 불교에 대한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단의 출발과 함께 제정된 초기 교헌으로부터 현재의 교헌까지는 불교의 진리관과 세계관을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강조한 연원불(淵源佛) 조항은 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도 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원불교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원불교의 탈불교화에 대한 의식은 일련의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것이며, 불교와 원불교의 내적 일치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교조 및 교단의 입장으로부터도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cid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Order but also the orient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Won-Buddhism. Recently it is also emerging up as a heart issue among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such perspective, I tried to elucidate why Won-Buddhism walked a path of de-Buddhistiz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on-Buddhism. This presentation of an issu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established by Sotaesan Park Jungbin`s enlightenmen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Buddhadharma. Accordingly I suggested the Buddhist view of Sotaesan Park Jungbin first, and then analyze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as a scripture of early times. And I suggested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an early Order, was modern activities of the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Nevertheless, after the title of Won-Buddhism has changed in 1948, the Order`s keeping distance from Buddhism had appeared. Especially in order not to be restricted by The Buddhist Property Management Law declared in 1962, the Order itself presented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to sever the relation with Buddhism. From such incident the de-Buddhistization accelerated. As well, it examined the Order`s perspective on Buddhism which was reveal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the early Constitution,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with the Order`s founding, to the present Constitution, the Won-Buddhist Order has inherited the truth view and the world view of Buddhism. Especially the article of The Buddha of an Original Guide shows this point very well. Moreover, in 1990`s the Supreme Dharma Council, the Won-Buddhist highest resolution organization, elucidated clearly the Won-Buddhist standpoint about the relation with Buddhism. Accordingly, the recent Won-Buddhist awareness about the de-Buddhistizatio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torical process, and devi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Order which officially declared the un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 KCI등재

        소태산의 평화사상

        원영상 ( Won Yong-s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본 논문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의 평화사상을 논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소태산의 평화사상의 근본을 그의 깨달음의 내용인 일원상의 진리에 있다고 보고,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우주만유의 본원, 제불제성의 심인, 그리고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보고 있는 일원상 진리의 근원성이다. 즉, 모든 진리적 근원을 일원상의 진리로 상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세계 모든 현상이 서로 소통된다는 원융회통성이다. 일원상 진리가 내포하는 불이(不二)의 세계에서는 이원적 대립이 지양(止揚)된다는 점이다. 셋째, 일원상의 진리가 현실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인 원만성이다. 즉, 모든 존재가 부처와 같이 완전한 존재자로 구현되고, 동시에 모든 존재로부터 존중받고 갈등이 사라진 평화세계를 말한다. 이러한 깨달음의 내용은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를 조직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인간과 사회의 고통의 원인인 근대문명의 한계를 목격한 소태산은, 이 교단을 통해 그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제의 핵심을 전통의 해체와 자기 분열적 증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바로잡아 줄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기 위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종교적 방식의 평화 건설을 지향한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중도와 중용, 상생과 조화, 관용과 섭취불사로 살펴볼 수 있다. 중도는 깨달음에서 나온 원만행이며, 중용은 무념과 무착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솔성(率性)을 말한다. 사회적 현실에서는 민주성과 공공성으로 나타난다. 상생과 조화는 사회적 연기론에 입각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절대적인 은혜의 윤리적 관계를 말한다. 이는 구조적인 폭력에 대응 가능한 테제라고 할 수 있다. 관용과 섭취불사는 무한절대의 진리앞에서의 신앙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자대비심에서 발현된, 모든 존재를 포섭하는 구제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그의 제자들이자 교단의 지도자들인 송규, 김대거, 이광정 등에게 계승되어 교단의 주요 지침이 되었다. 송규의 삼동윤리 사상, 김대거의 세계평화의 삼대요소, 이광정의 6가지 통일대도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에 기반한 이러한 사상들이 세계 보편적 가치나 윤리로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ualization of peace of Jung-Bin Park,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The author argues that the basis of Jung-Bin Park`s peace lies in the truth of Il-Won-Sang (One Circle Image), which is the content of his enlightenment. The first point is the nature of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seal of all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In other words, all truth is symbolized by the truth of Il-Won-Sang. The second point is the nature of existence as being interfused and interconnected in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It means that dualistic opposition is rejected in the world of non-duality which the Il-Won-Sang truth contains. The third point is the nature of being perfect, the state in which the Il-Won-Sang truth is presented concretely in rea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eaceful world where all existence is realized as being perfect like buddhas, and at the same time, is revered by all beings so that conflicts have disappeared. These contents of his enlightenment became the ideological bases for organiz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Won-Buddhism. Also, Jung-Bin Park, who observed the limit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were the causes of sufferings for humanity and society, wanted to suggest solutions through this Order. Understanding the key was the destruction of traditions and symptoms based on division, he put forth the slogan of,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ct spiritual civilization. He aimed for peace building in a religious way. The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can be explained as the Middle Way and the Mea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The Middle Way is a perfect practice which comes from enlightenment. The Mean is commanding the nature which appears in the state of no-thought and non-attachment. In social realities it is presented as the character of democracy and public concer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means the ethical relation of absolute grac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dependent origination,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It can be said to confront structural violence.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are the faith activities toward a truthful world. In other words, they can be seen as practices of salvation to embrace all living beings which comes from the mind of great compassion and great loving-kindness. This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was passed down to his disciples and, also, leaders of the Order―Gyu Song, Dae-Geo Kim, Gwang-Jeong Lee and so on―and became principal guidelines in the Order. Gyu Song`s ideology of the Ethics of the Three fold Unity, Dae-Geo Kim`s three great principles for world peace, and Gwang-Jeong Lee`s 6 great ways of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r are the main representatives. More profound studies are required so that these ideologies, based on Jung-Bin Park`s ideology of peace, can be settled into the world`s universal values and ethics.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에 나타난 구조 고찰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불법연구회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태산에 의한 개혁불교로서의 지향점을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현실에 입각한 불법의 원융성 회복, 둘째, 불법에 입각한 제 사상의 포용 정신, 셋째, 불법에 기반한 사회개혁을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 위에 소태산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 또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불보(佛寶)와 법신불 일원상과의 관계이다. 한국의 불교는 사찰에 전통적으로 유래된 불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왔다. 근대의 여러 불교개혁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신화화된 불상은 불법의 진의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불심(佛心)의 상징으로 법신불 일원상을 봉안함으로써 불법의 근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는 법보(法寶)로서 『정전(正典)』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정전』의 원텍스트는 소태산이 친히 감수한 『불교정전(佛敎正典)』이다. 원불교의 핵심경전인 『정전』은 대승불교의 경전관에 의거하고 있다. 소태산 또한 시기상응의 정신에 입각하여 대중을 중시하는 경전관을 피력하고 있다. 셋째는 승보(僧寶)의 의미를 확대하여 승가의 사회화를 지향한 것이다. 즉, 재가와 출가를 동등하게 보고, 차별없이 교단의 운영자로 참여시킨 것과 이러한 평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승가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는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했던 세계관이다. 이처럼 소태산의 불교개혁은 불법의 근원에 입각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불법승 삼보를 해체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삼보로 재구성한 것이다. 소태산의 사후, 개명된 현재의 원불교의 성격 또한 이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by launche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who founde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1924 that has been changed to Won-Buddhism in 1948. This writer think that Sotaesan presented 3 parts as the intention points of Buddhism reform by himself. Firstly, unifying material and spirit, politics and religion, monk and layman, life and practice etc., secondly, all-embracing of religious thoughts in the world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irdly, social reform based on the thoughts of Buddhism. The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launched by Sotaesan who reformed traditional Buddhism world, consists of 3 structural elements too. Firstly, it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k-ya Buddha whose another name is Il-Won(One Circle) in Won-Buddhism. The statues of the Buddha was worshiped as the great object of devotion in most of Korean temples. Sotaesan thought many statues of the Buddha treated as myths should be simplified for catching the true teachings of Buddha as like Buddhism reformers asserted in modern times. He enshrined Dharmak-ya-Buddha instead of Buddhist image to reveal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a. Secondly, Sotaesan completed Jeongjeon(正典) as the text of Buddha- Dharma. It contains the teachings of Buddha and Sotaesan. And Jeongjeon as Won-Buddhist core scripture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Mah.y.na Buddhism. He preached that the teachings in scriptures should be kept up with the times and be angled towards viewers of the public. Thirdly, Sotaesan planed to make traditional Samgha in Buddhism open to society. He put this plan into practice through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t was equally open to both monks and laymen. This system is from Mah.y.na Buddhism that criticized Samgha of the established order. He has broken up three treasures, that is, Buddha, Dharma, and Samgha in traditional Buddhism and reconstructed these to modern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Today Won- Buddhists well maintain the heritage of the teachings of Sotaesan an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Performance Evaluation of Early Streamer Emission Lightning Air Terminal

        Choi, Sang-Won,Her, Yong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Vol.5 No.2

        Studies have claimed that ESE (Early Streamer Emission) air terminals offer a vastly increased zone of protection over that of traditional lightning rods (Franklin rods) by causing the emission of an upward streamer/leader: The upward streamer/leader will propagate towards the tip of the downward leader at an early stage in the attachment process..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of a performance evaluation test of a particular type of the ESE air terminal (called "ElecHippo") with a simple rod tested at the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ERI). The corona emission current of the ElecHippo made by Yong-Jin Enterprise Corp. has also been measured at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The results show that the ElecHippo meets the French standard of NFC 17-102-1995. The results also verify the ES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ion emission current generat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gap as a function of the capacitance and inductance of the equipped devices. Finally, we propose a new method for grounding the system to reduce the lightning damage by combining the ESE air terminal, the early discharge earth plate, the lightning strike recorder and the surge protection device.

      •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 아산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김용배,장원기,황보영,김화성,안규동,이병국,이용진,이남수,이상건,이상범,이상우,이선정,이성수 순천향대학교 200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2 No.1

        Objective : As the average lifespan of human increases,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ave become major health care problems. Despite recent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in general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analyzed the relating factors. Method : A population-based sample of 1086 adults in Asan-city, Korea was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s and height, w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economic state), lifestylef exercise, smoking, alcohol),medical history(progestin, GH, steroid, calcitonin, PTH), demographic parameter, obesity, stress, and family history was collected through an interview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level of obesity was measured by the body mass index(BMI). BMD(Bone mineral density)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Osteoporosis was considered to be T-score below -2.5. Results :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age, decreased with BMI and predominant in women by the result of x^(2) -test, T-test. Age, weight, BM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1ysis(P<0.05). And age, gender, BMI,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 gender, BMI might b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And the history taking about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is helpful for diagnosing osteoporosi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야뇨증 환아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다기관 연구 : 행동 및 정서 문제를 중심으로

        조수철,김재원,신민섭,황준원,한상원,박관현,이상돈,김경도,김건석,서홍진,이유식,정재용,김영균,문두건,남궁미경,한창희,조원열,김영식,배기수,이종국,정우영,신의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6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n children. Methods : Three hundred eightee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together with their parents, complete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according to DSM-IV (DBD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HCSC). Ninety-three normal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mean scores with regard to the withdrawn, social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profi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according to the CBCL results.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also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HD and ODD profiles of the DBDS.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was more depressed and anxious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DI and STAI. The mean score of the PHC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 have clinically releva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findings support the link between nocturnal enuresis and psychopathology in Korea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