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홍글자』 소설과 영화의 지향점에 대한 비평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

        김기섭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6 No.-

        이 논문은 영미문학 작품의 최고봉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주홍글자』 소설과 이를 각색한 영화의 지향점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공통성에 초점을 두고 먼저 분석하되 두 작품을 각각 저자의 창의성이 반영된 별개의 작품이라고 인정하고 차이점의 분석과 비평을 하기로 한다. 나다니엘 호돈의 소설은 청교도주의에 대한 직접 비판은 없지만 주인공 헤스터 프린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판적 시각에서 문제점을 드러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롤랑 조페의 영화는 소설과 비교하여 배경, 등장인물, 모티프, 이야기 구성이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유사성을 인정한다. 하지만 펜으로 쓴 소설과 카메라로 쓴 영화는 근본적으로 장르가 다를 뿐 아니라 세부 이야기 내용도 일부 다르게 각색되어 있다. 영화가 소설 저자의 드러나지 않은 행간을 미세하게 읽어내서 더 직설적이고 과감하게 표출하고 있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점을 문학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두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간인 17세기, 공간으로서는 뉴잉그랜드, 패러다임인 청교도주의라는 상황을 다루고 이어서 두 예술 작품이 공통적으로 나타낸 인물의 성격과 사회적 관계라는 양면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두 작품 이야기의 차이점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고 종합하여 분석해 본다. 이로서 작품 안에서 공시적 공감을 추구한다. 최종적으로 비평가 입장에서 두 작품의 지향점에 대한 문제 제기와 비평을 시도한다. 이로서 작품 밖에서의 통시적 비판과 대안도 동시에 추구한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문학 비평들이 주로 했던 작품 안에서의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적 비평에서 좀 더 나아간다.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나 알베르 까뮤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인물과의 대비, 마틴 루터 95개 조항 반박문의 종교 자체에 대한 외향적 비판 방식과의 차이 비교, 문학 작품으로서 성경의 관점에 대한 작품의 입장 분석 등을 통해 외연을 넓혀서 검토해본다. 이를 통해 작품 밖으로부터 작품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요구와 압력의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래서 작품의 지향점이 공통적으로 종교 자체의 정면 비판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근본적 문제점을 제기한다. 작품에 대한 문제 제기와 현재적 의문을 종합해 문학은 사회적 책임 중 특히 종교적으로도 일정 부분 비판, 견제, 대안 제시의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청교도주의와 같은 전통적인 종교 개념에서는 물론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시대, 조선과 고려시대, 그리고 오늘날 종교 개념을 확장하여 시민종교 등을 포함하여 확장된 종교 개념인 종교 또는 신념(religion or belief) 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좀 더 넓게 사유의 위상을 확장한다면 작품과 유사한 시대인 조선시대의 유교 사회에도 유교 종교개혁이나 문학에 의한 종교적 변화가 있었다면 조선은 멸망이 아닌 다른 발전의 길을 갈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잠정적 가설을 설정해 보고 이를 증명하는 후속 연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를 일반화시켜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을 설정하여 그 성립의 타당성과 근거를 작품 내외에서 제시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종교문맹의 문제점에 대하여 인문학적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하나의 응용 가능한 범주로 제시하면서 특별히 『주홍글자』와 같은 영미문학... This thesis seeks to analyze the novel The Scarlet Letter which is regarded as a major work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and its movie adaptation, pos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Focusing on commonality is accordingly the first approach to analysis, and the difference is the next for more analysis and criticism recognizing that they are isolated respectively containing each creativity. Not directly criticizing Puritanism, Nathaniel Hawthorne’s novel indirectly looks on problems with a critical eye through the protagonist Hester Pryn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oland Joffe’s movie generally follows the novel faithfully in terms of background, characters, motifs, and the story’s structu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regarding adapted details between the novel written by pen and the movie created by camera. Within reason, literary theory deals with the points of the movie directly by audaciously exposing things by reading between the lines in the novel. Presenting the context such as the time period, the 17 Century, the place, New England, and the paradigm Puritanism is followed by the bilateral analysis between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their social relations in the two works. Doing so, it tries discern the synchronic sympathy with the works. It furthers lis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comes to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eventually poses questions and makes criticisms as a critic. Furthermore, it simultaneously pursues diachronic criticism and its alternative. This goes further than previous criticisms that mostly stayed within the work. Perspectives are expanded and contrasts and comparisons can be made between characters in different works such as Colin Wilson’s The Outsider or Albert Camus’ The Stranger; the extroverted criticizing way to the very religion of Martin Luther’s 95 theses, the attitude embedded in the work with the point of view that the Bible is literature, etc.. Through which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demand and pressure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is also searched for. Eventually the direction points to that those two works are commonly silent about squarely criticizing the Puritanism per se results in the fundamental issue. Comprehending the problems raised and presenting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terature should take social, particularly religious, responsibility for presenting criticism, restraint, or its alternative. That can also be applied to Martin Luther’s age of Reform, the Joseon or Koryo period, and the enlarged modern concept of religion or belief including civil religion as well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ligion like Puritanism. Expanding the topology of thinking, the same research is seemingly possible enough by establishing the temporary hypothesis that the Reform of Joseon Confucianism or religious change caused by contemporary literature could have presented Joseon with an alternative to maintain society in a prosperous manner. So for the third alternative generaliz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 hypothesis of the socio-religious responsibility of literature takes a position to provide the feasibility and its rational and reasonable basis. As an applied example for this issue’s extens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illiteracy, the necessity of non-confessional religious education in an applied category particularly draws a strong possibility of non-confessional English Bible Study with English literature like The Scarlet Letter. By which this article’s criticism tries to expose a face of fundamentally limitless possibility of literature with proof hopefully expecting it to be a well-established theory.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홍철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한국종교 Vol.36 No.-

        우리나라에서는 근세 이후 많은 새로운 종교들이 창립되었다. 그 종교들을 신종교라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신종교의 연구가 시작된 것은 일제시대로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등의 연구물이 나와 있다. 그 뒤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다가 60년대에 접어들어서 현상조사를 중심으로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70년대부터 몇몇 학자들에 의하여 사상을 조명하는 연구업적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80년대 이후 상당한 저술과 다수의 논문들이 나오게 되었으며, 90년대 이후 이 분야의 많은 석·박사들이 배출되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이 글은 그 간의 연구업적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 내용을 크게 ‘현황’과 ‘과제’로 나누고 현황에서는 ‘신종교 연구 시대별 개략과 특징’, ‘신종교 연구의 경향성’으로 나누어 일제강점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연구 약사와 시대별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 신종교 연구에서 대두된 경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과제에서는 ‘신종교 연구상 유의할 점’을 특정종교의 교리사상에 대한 가치평가 문제와 현지조사 문제, 교리해석상의 문제 그리고 연구방법상의 문제로 나누어 보았다. ‘신종교 연구의 과제’는 연구 방법의 다양화의 문제와 공동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연구단체ㆍ학회ㆍ연구소활동의 활성화 문제로 나누어 신종교 연구에서 문제시 되는 몇 가지 유의해야 될 점을 지적해보고, 연구자들이 안고 있는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과제

        노길명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한국종교 Vol.36 No.-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란 사회학의 관점과 이론 그리고 방법론을 ‘신종교’에 적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종교사회학의 연구 내용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신종교는 물론 종교사회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성과가 극히 빈약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논하기보다는 연구대상과 기존 이론의 적용 그리고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는 첫째, 사회사 또는 사회운동사적 관점에서의 연구와 둘째로는 종교사상사 또는 사회사상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 그리고 셋째로는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대상으로서의 신종교의 정의상 문제에 있어 사회학자들은 신종교를 주로 제도화의 측면에서 정의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종교사와 관련시켜 본다면 신종교의 역사성과 제도화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아야 하며 ‘종파’규정의 문제와 ‘신영성운동’으로 불리는 대체 종교의 문제역시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의 기존 이론의 활용 방안과 신종교 실태조사방법상의 문제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지에 대해 논함으로써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전개되는 종교운동으로서의 신종교가 한국사회의 구조나 변동과 갖는 관계를 연구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 및 방법

        박승길(Park Seung Gil),남춘모(Nam Chun M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종교 신자들의 가치관, 신앙태도 및 정도 그리고 그들의 사회적 고립과 집합의식, 세계관에 관한 수량적 조사는 신자들의 가치관, 그리고 신앙에 바탕을 둔 내면적 동기가 그들의 태도 및 행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종교교단 및 신자들에 대해서 양적 자료를 수집한 데이터와, 그리고 그것들을 처리 및 분석한 결과는 문헌연구나, 질적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혹은 보충하는 데 있어서 역할을 한다. 둘째, 양적 분석결과 그 자체가 질적 연구로는 설명 및 해석할 수 없는 부분까지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통계적 처리 결과를 다른 종교집단 및 사회집단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집단으로서 해당종교가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위치도 확인할 수 있는 측정 수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분석을 위한 조사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서 상당한 제약을 가질 수밖에 없다. 첫째는 ‘접근성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상 종교집단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상황에 대한 통제’를 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셋째, 설문이나 인터뷰의 ‘변수 구성’을 하기 어렵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대안을 만들어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조사가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연구성과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The quantitative approaches on religious believer’s value, faith attitudes, faith degree, their social isolations,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orld view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explain how the religious believer’s values and inner motivations are related with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First, quantitative data about the religious communities could compensate with research results with literature review or qualitative approaches. Secon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tself could explain to the point which qualitative studies could not figure it out. Third, the quantitative data on individual religious communities could be used to as a method to compare the communities it self and to measure the status of their social-cultural status. The quantitative approaches on religious communities have several challenges.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to a research target is prime issue to conduct a research. The efforts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religious group are required to ensure accessibility. The issues of controlling research situation, variable configuration and ensuring the reliability-validity on data results could become raised. The alternativ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could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required.

      • KCI등재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갱정유도의 ‘유도시대’

        한재훈(Han Jae Hoo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19세기 말 개항(開港)으로 대변되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의 급격하고도 광범위한 시대적 조류는 500년 넘게 조선의 지도이념이자 가치체계로서 역할해온 유교에게는 엄청난 시련이자 극복의 과제였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 앞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교 개혁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이의 연장선에서 유교계 종교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당시 등장한 유교계 종교운동은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띠고 있었다. 하나는 근대에 대해 저항하려는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근대에 적응하려는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다. 이들 중 유교개혁을 모토로 한 대표적인 유교계 종교운동으로는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이 주도한 대동교(大同敎) 운동과 이승희(李承熙: 1847-1916)와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의 공교(孔敎) 운동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교계 종교운동은 일제에 의한 식민지배와 함께 소멸되어 갔다. 그동안 한국의 신종교 연구에서 갱정유도(更定儒道)는 대체로 유교계신종교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갱정유도를 기존의 유교계 종교운동과 맥락을 같이 하는 신종교로 분류하는 것은 갱정유도의 종교적 정체성에 비추어보았을 때 적절하지 않다. 우선 갱정유도는 ‘도덕해원(道德解寃)’과 ‘도덕문명(道德文明)’을 내용으로 하는 ‘유도시대(儒道時代)’를 염원하는 독창적인 종교적 이상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선당궁(仙堂宮)이라는 고유한 신앙대상과 365권에 이르는 방대한 경전, 그리고 독자적인 종교의식과 상징물 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갱정유도의 고유한 종교적 정체성에 비추어볼 때 한국의 신종교로서 갱정유도는 유교계가 아닌 갱정유도계로 새롭게 분류될 필요성이 있다. Confucianism, which had taken roles as a guidance ideology and a value system in Joseon Dynasty for 500 years, had to face challenges during western colonial tim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various forms of Confucianism reformation plan were suggested and the religious movements of Confucianism were driven as it’s extension. The religious movements of Confucianism at the time had two aspects. One aspect was to resist against the modernity, the other one was to adapt to the modernity. The representative Confucianism religious movements for reformation are Park, Eun - Shik (朴殷植: 1859-1925)’ Daedonggyo(大同敎) and Lee, Seung-Hee(李承熙: 1847-1916) & Lee, Byeung-Hwan(李炳?: 1870-1940)’s Confusian(孔敎). However, these Confucianism religious movement was destroy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Meanwhile, ‘Gaengjungyoodo(更定儒道)’ in new religion research community has been classified as a Confucianism-affiliate new religion, which is not appropriate in the light of it’s religious identity. Above all, ‘Gaengjungyoodo(更定儒道)’ showed unique religious ideals which was composed with "Rudao Shidai(儒道時代)" and "Daode Jieyyuan(道德解?)". ‘Gaengjungyoodo(更定儒道)’ also has a original subject of belief called ‘Xiantanggong(仙堂?)’, a great collection of 365 bibles, and its own religious rituals and symbols. ‘Gaengjungyoodo(更定儒道)’ has to classified not as Confucianism-affiliation but ‘Gaengjungyoodo(更定儒道)’affiliation with its’ own unique religious identity,

      • KCI등재

        제주도 단군성주교(檀君聖主敎) 현장조사 연구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39 No.-

        한국 민족종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서 필요한 과제는 현장조사이다. 근대 1860년대 이후 발생하였던 다양한 새로운 민족종교운동의 생존주기는 매우 짧은 편이다. 종교문화 인류학적 접근(Anthropological Approach) 방법은 종별 집회 장소 또는 수행단체의 종교의례에 직접 참여하여 참여관찰, 현장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한 기초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작업으로, 종교의 종합적이며 심층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독특한 종교 문화적 성격을 갖고 있는 한국 신종교의 상징과 의례의 사상적 체계를 무시한 채 서구적 종교학의 입장으로만 이해하려는 것은 적잖은 무리가 있다. 종교에 있어서 교리와 사상이 이념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종교의 의례(儀禮)는 이념의 체계가 공간적 행위로 나타난 것이다. 새로운 민족종교 운동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생성, 발전, 소멸의 과정이 급속도로 전개되기에 이에 대한 집약적인 현장조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관찰조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필자는 2015년 1월 12일부터 15일까지 제주지역 신종교를 답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증산계파의 영향을 받아 제주도 태생인 강승태가 설립한 수산교 ․ 무극대도를 시작으로 토착화한 민족종교의 하나인 단군성주교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제시대 강승태에 대한 「판결문」, 신문과 월간지 등에 소개된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또한, 현재 단군성주교총본부에 ‘통일신단’을 모시고 있는 강봉옥 대표를 방문하여 대화를 나누었다. 단군성주교의 개벽주창과 제주도 토착화과정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고, 단군전승과 증산계 상제신앙이 어떻게 혼합적 특성을 지니는지를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Studies on the religion of Korean people requires more on-site research. Various new religious movements that appeared after the 1860s experienced very short survival periods.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religion and cultu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and in-depth phenomena of religion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rituals of religious groups or places of religious assembly, researchers can collect and analyze basic materials of religion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on-site study, and interviews. Korean native religions do not necessary have to be examined from a western theological perspective while ignoring the ideological symbols and rituals of new Korean religions, which have unique religio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f doctrines and thoughts have an ideological system in a religion, the ideological system represents religious rituals (儀禮) as spatial behavior. The movements of new religions experience cycles of survival, development, and extinction very rapidly, indicating there must be intensive on-site studies accompanied with continuous observational survey. This on-site study took place in the Jeju-region from January 12–15, 2015 and examines new religions in that area. This research mainly analyzes the Susahn religion established by Kang Sūng-tae, a Jeju native influenced by the Chūngsan community, and Tan’gun Religion, one of the national religions that became naturalized starting from the Mugūkdaedo. This research examines materials including the “a written judgment of Kwangju Court” of Sūng-tae Ka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tent introduced in newspapers and monthly periodicals. In addition, the researcher visited Bong-ok Kang, who currently serves as the ‘Unification Altar’ in the headquarters of Tan"gunsōngjugyo. The paper th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ginning advocacy of the Tan’gun Religion and its naturalization in Jeju-do, and then looks at how the Tan’gun transmission and Sangje religion of Chūngsan overlap in several ways.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과 특징

        허남진(Heo Nam Ji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2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 특히 계룡산 신도안이 성지로서 인식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신종교 성지의 특성을 규명해고자 한 것이다. 한국 신종교 성지구획의 지표는 한국 신종교의 성지관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국 신종교의 성지의 외연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조의 종교체험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여시바윗골과 용담정, 증산교의 대원암, 원불교의 영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교조와 성인의 행적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최제우와 최시형의 생가터, 은적암, 내원암, 용담성지, 통일교의 범냇골, 증산교의 동곡약방, 원불교의 영산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 등이 해당된다. 셋째, 교조와 성인의 유해가 묻혀있는 장소이다. 증산교의 삼청전, 최제우의 태묘, 최시형과 손병희의 묘소, 원불교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넷째, 종교사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이다. 천도교의 봉황각, 대종교의 청파호, 원불교의 영산 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섯째, 현세의 이상세계 건설지이다. 통일교회의 청평성지, 증산교의 용화동, 일원산 기도원의 일월산, 산성기도원의 동래산성, 세계일가공회와 새일수도원 및 세계종교연합법황청의 계룡산 신도안 등이 해당된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specificall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Sindoan of Mt. Gyeryong-San (鷄龍山 新都案) as a sacred sit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list of indicators for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This study arrives at the conclusion that these indicators determining the sacred sites for new Korean religions can be understood as holding ideas about the sacred sites of new Korean relig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se indicators are as follows. First, a sacred site may be a place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eligion’s Founder. Second, it may be a place related to doctrines and the Founder’s activities. Third, it may be a place where doctrine and the Founder’s remains are buried. Fourth, it may be a location of meaningful historic religious events. Fifth, it may be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ideal world (Utopi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new Korean religions in Sindoan, Mt. Gyeryong-San and the nature of utopian thought can be said to be simply embodied as a place of existence and a place for construction of a Utopia, in combination with the longing for the ideal of the people.

      • KCI등재

        한국근대 민족종교 원초자료 연구와 LOD시스템화의 과제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한국 근ㆍ현대 종교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가장 큰 한계는 무엇보다도 연구의 토대가 될 문헌적 자료를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특히, 근대 민족종교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해방이후 많은 학자들이 역사와 사상사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개별적인 연구업적이 산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자료가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였다. 근대 한국사회의 종교지형이 어떻게 형성되어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선, 1860년대 조선조 후기 개항기를 거쳐 일제치하(1910~1945)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대화과정의 혼란과 격동시기에 일어난 민족종교운동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집된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시기의 종교정책에 대한 연구를 위해선 대한제국시기 한국통감부에서 간행된 종교에 관한 잡건철(宗敎ニ關スル雜件綴)(1905-1909)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 문서는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 행정과 관련된 공문서철로서 「종교의 선포에 관한규칙」을 포함하여 일제의 종교법규 및 통감부의 종교와 관련한 행정,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현황과 동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에서 발간한 『사상월보(思想月報)(1931-34년)의 후속지인 『사상휘보(思想彙報)(1934-43년)의 기사에는 1930-40년대 일제의 사상통제와 탄압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근대한국 민족종교운동과 문화에 대하여 ①시간을 축으로 한 역사적 원초자료(Raw Data)에 대한 조명, ②원초자료에 대한 주제중심의 심층적 비교분석, 그리고 ③공간적 차원에서 일본과의 연동성을 다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단순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아닌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토대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는 데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limitations in past and present studies on modern Korean religions is based upon the difficulty of accessing original literary sources that should be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Especially, as for the study of modern ethnic religions, even though many scholars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ir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ideology after liberation, fundamental materials were not comprehensively arrang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religious topography in modern Korean society was formed and changed, there is a great need for basic researches on the ethnic religious movement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of confusion and turbulence during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from the latter period of ports being opened in the 1860’s of the Joseon Dynasty to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indexes, have original texts translated, and interpret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a filtering system. This kind work in which a data base is created can help us maximize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and enhance and promote better quality research and study. For the study of religious polic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Joseon Chong"dogbu)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File of Miscellaneous Matters on Religions (1905-1909), which was issued by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Joseon Tong"gambu) during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is document is a public document file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Japanese religious missionaries in Korea. It is a precious material that allows us to know about the regulations on religions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relation to religions of Japan, and then current situation of that time to propagate Japanese religions in Korea as well as ‘Regulations about the Proclamation of Religion.’ Furthermore, in articles of The Collection of Reports on Ideologies (Sasang-huibo, 1934-1943) which was issued following the Monthly Report of Ideologies (Sasang-wolbo, 1931-1934) issued by the Inspection Bureau of the High Cour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 can find valuable materials which clearly reveal how ideologies and circumstances were suppressed and controlled by Japan.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ximize research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by creating a data ba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indexes, th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and the interpretation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based on a filtering system. We should carry such works concerning ethnic religious movements and culture of modern Korea through the an understanding and clarification of the historical raw data in terms of time, through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raw data by theme, and through a multi-dimensioned illumination on interoperability with Japan in terms of space. By doing such research works, we can not only supply simply basic materials but achieve academic products based on comprehensive and specialized foundation research.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윤승용(Yoon Seung-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한국종교 Vol.36 No.-

        이글은 한국 신종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그 의의를 근대 신종교와 현대 신종교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신종교들은 개화기로부터 민주화기 이후까지 각 시대마다 시대적인 과제와 신종교의 사회적 역할에 따라 주도하는 신종교가 변화해 왔다. 개항기와 식민지하에서는 전통적 근대신종교가,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전쟁에 이르는 시기가 되면 기독교계 한국적인 신종교가, 산업화 도시화 시기에는 산업사회에 잘 적응한 종파형 기독교계 신종교가 신종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는 이전 신종교와는 전혀 성향이 다른 인간해방을 지향하는 현대적 신종교들이 대거 출현한다. 특히, 전통적인 근대 신종교들은 개항기와 식민지하에서는 사회변혁과 문명개화 그리고 민족독립 등의 사회 중심과제를 수용하여 민족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해방 이후 급격하게 쇠락한다. 또 도시화 산업화기에는 사회적응력이 부족하여 일부 종교를 제외하고는 성장의 혜택을 입지 못했다. 이후 기독교계 신종교들이 한국 신종교계를 지배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현대 신종교 즉, 영성종교가 출현한 것이다. 이런 전개 과정에서 신종교사 서술과 관련해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종교를 한국문화사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개별신종교들의 서술만이 아니라 신종교들의 지형변화 중심으로 문화사적 의미에서 되물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다음은 근대 신종교의 역사를 보존하는 문제다. 이는 미래 남북통일의 문화적 기반을 다지는 것이고, 동시에 민족의 얼과 근대 민중의 생활사·정신사를 보존하는 일이 된다. 마지막으로 ‘종교 이후의 종교’, 현대 신종교들이 밀려오고 있는데 대한 조사연구다.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해 왔던 기독교중심의 ‘문명종교’라는 개념, 즉 성과 속의 이분법을 중심으로 형성된 종교적인 삶의 틀걸이들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근대적 신종교와 현대적 신종교간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심층 검토하고, 향후 다양한 신종교들의 전개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